제목 제26회 환경의 날을 맞이하여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6.05 02:35

                                                                               제26회 환경의 날을 맞이하여                                           

    

    미국 바이든 대통령 취임 첫날인 2021년 1월 20일 파리협정에 복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이후, 지구온난화의 주원인인 이산화탄소를 줄이기 위한 탄소중립의 중요성에 대해서 다시 한번 그 의미를 되새기는 계기가 됐다. 기후변화를 비롯해 미세먼지, 폐기물, 멸종위기종 보호와 같은 환경문제는 더 이상 먼나라의 일이 아닌 우리 도민의 일상적인 문제가 됐다. 세계 환경의 날(6월 5일)을 맞이해 세계 환경의 날의 유래와 우리의 환경의 날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1. 세계 환경의 날(world environment day)의 유래

    l968년 5월 제44회 국제연합 경제사회이사회에서 스웨덴의 유엔 대사인 오스트룀(Astrom)이 국제환경회의를 제의한 뒤 4년 후, 1972년 6월 5일부터 16일까지 스웨덴의 수도인 스톡홀름에서 유엔인간환경회의가 열렸다. 113개 회원국과 국제연합 전문기구가 참여한 이 회의에서 ‘인간환경선언’이 채택됐고, 1972년 12월 15일 제27차 국제연합 총회에서 인간환경선언을 채택하는 한편, 유엔인간환경회의 개막일인 6월 5일을 ‘세계 환경의 날’로 지정했다.

   그로부터 2년 후인 1974년 하나뿐인 지구(Only one Earth)라는 주제로 미국 스포캔市에서 최초로 ‘환경의 날’이 개최된 이후로, 매년 전지구적으로 개최지와 주제를 선정해 이날을 기념해 왔다. 그리하여 세계 환경의 날은 해양오염, 지구 온난화, 그리고 야생생물 범죄와 같은 환경현안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주는 전지구적 기념일로 안착했다. 2018년에는 `플라스틱 오염을 해결하자`라는 주제로 인도 뉴델리에서, 2019년에는 ‘대기 오염을 해결하자’라는 주제로 중국에서, 그리고 지난해 ‘자연을 위한 시간’이란 주제로 콜롬비아에서 개최됐으며 올해 ‘세대회복’이란 주제로 파키스탄에서 개최한다.

                                                                                  2. 충청북도 환경의 날

    우리나라는 1996년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매년 6월 5일을 법정기념일로 정하고, 국민의 환경보전 의식 함양과 실천의 생활화를 위해 행사를 개최해 왔다. 충북도에서도 1996년 제1회 환경의 날 이후 매년 기념식을 개최해 환경보전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는 한편, 도내 환경 유공자를 표창해 그 공적을 치하해 왔다.

    제26회 환경의 날을 맞이하는 올해는 전대미문의 코로나19 사태를 맞아 코로나19 확산을 예방하면서도 환경보전에 대한 인식을 일깨워주기 위해 환경의 날 기념행사를 생략하고, 청주 무심천 작천보 일대에서 하천 정화활동을 실시한다. 아울러 도내 환경유공자 69명에 대해 도지사 표창을 실시해 그동안의 노고와 공헌을 치하한다. 또한, 제천에서는 의림지솔밭공원 정화활동, 보은에서는 속리산 일원에서 하천 및 저수지 주변 쓰레기 수거 등 도내 각지에서 환경 정화활동을 실시해 환경보전의 소중함을 반추하는 자리를 마련한다.

    충북도는 쓰레기 없는 깨끗한 세상을 만드는 것은 물론 폐기물의 재활용 등 자원순환을 위한 사업 등을 통해 다양한 환경문제에 대해서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환경정책을 추진할 것이며, 도민 모두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환경보전을 위한 활동을 실천할 수 있게 되기를 희망한다.

                                                                                             <참고문헌>

                                                                         

시청자 게시판

2,426개(6/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213 2018.04.12
2325 청주고 대표 언론인 남재희 前 노동부 장관 별세 사진 신상구 401 2024.09.20
2324 조선·일본 무역 조약의 기틀 마련한 조선의 '일본통' 외교관 이예 사진 신상구 370 2024.09.20
2323 대학의 우수 인재 유치 없이는 대한민국 미래도 없다 신상구 393 2024.09.19
2322 뉴라이트의 함정 신상구 418 2024.09.18
2321 한국 사찰 최초 국가현충시설, 양산 통도사 사진 신상구 464 2024.09.15
2320 한·일 관계 퇴행 막는 장치 필요, DJ·오부치 선언 2.0 만들어야 사진 신상구 382 2024.09.15
2319 <특별기고> 추석의 의미와 유래와 민속놀이 사진 신상구 398 2024.09.12
2318 북한 MZ 탈북 사유 사진 신상구 397 2024.09.08
2317 우리 조국 대한민국의 국제적 위상 신상구 377 2024.09.08
2316 모바일 《태백진훈과 천부사상》 사진 첨부파일 김동섭 571 2024.09.07
2315 프레더릭 아서매켄지가 종군기자가 되어 1907년 고발한 의병 양민 학살 신상구 693 2024.09.07
2314 이중섭은 늘 한국인으로서 어떻게 그릴 것인가 고민했다. 신상구 349 2024.09.07
2313 이승만의 북진통일론, 당시 국회도 만장일치 지지 사진 신상구 322 2024.09.07
2312 학력평가원 역사 교과서 해부 신상구 350 2024.09.07
2311 북한의 핵위협에 대응하는 현실적인 세 가지 방법 신상구 426 2024.09.07
2310 이승만의 '정읍 선언' 사진 신상구 481 2024.09.06
2309 이승만과 김창룡, 6.25전쟁에서 대한민국 지켰다 사진 신상구 315 2024.09.06
2308 미분 적분으로 만든 완벽한 문학 신상구 475 2024.09.05
2307 손인주의 경제 번영을 위한 강대국 전략 신상구 373 2024.09.04
2306 백곡 김득신의 독서와 문학세계 신상구 382 2024.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