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의당 박세화 선생의 절명시(絶命詩) 원본, 111년만에 공개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6.01 03:59


                                                  의당 박세화 선생의 절명시(絶命詩) 원본, 111년만에 공개


noname01
'의당 박세화선생 절명시'...절명시 좌측의 절필(絶筆) 글씨 중 필(筆)자의 길게 내려 그은 획이 가슴 저미게 한다.

   의당(毅堂) 박세화(朴世和·1834~1910년) 선생의 절명시(絶命詩) 원본이 111년만에 공개됐다. 

   박세화 선생이 단식한지 3일째 되는 날 생애 마지막으로 쓴 글씨이다.

   박세화 선생은 월악산 용하동에서 용하영당(후칭 병산영당)을 창건하고 제천에서 수 없이 많은 문인들을 지도했다.1905년 춘추대의 정신으로 월악산 용하동에서 의병을 일으켜, 이로 인해 제자들과 함께 8개월간 조선헌병사령부에 연행돼 구금되기도 했다. 1910년 경술국치를 당하자 '글 읽은 선비로 책임을 통감한다'며 23일간의 절식(絶食) 끝에 순국(殉國)하신 선비정신의 표상이자 한말의 대유학자이다.

   또 단식 중지를 종용코자 찾아 온 일제헌병의 말장화를 곰방대로 내리치며, 당장 물러가라고 호통 친 일화는 지금까지도 전설처럼 전해지고 있다. 의당선생의 순국은 봉건적인 충(忠)을 지키기 위한 것이 아니라 '글을 아는 자', 즉 '선비로서의 양심'을 지키기 위한 것이었다.

   절명시는 신념을 지키기 위해 목숨까지도 버리는 장엄한 선택으로 육신의 사라짐으로 인해 선생의 글씨와 시는 더욱 아름다워지고 시간이 흐르면서 더욱 향기를 낸다.

noname01ㅇ
                                 의당 박세화 선생

   이 유묵은 의당 선생의 몸에서 완전히 녹아서 흘러나온 육필이다. 죽음을 앞둔 선비가 모든 것을 비우고 써내려 간 글씨야 말로 박세화선생의 사상과 철학을 다시금 알 수 있는 즉, 불교로 말해 사리(舍利)나 마찬가지다.

   그래서 의당 선생의 유묵은 죽음으로 완성된 글씨이기에 더욱 애절하고 아름답다. 그의 순국이 시(詩)'절명시'를 빛나게 하고, 또 글씨가 다시 그의 이름을 빛나게 한다. 절명시는 한지에 먹으로 쓰여 졌으며 크기는 85×30㎝이다.
                                                                       절명시(絶命詩)
                                                 白頭山色映蒼空(백두산색이 푸른 하늘에 비치니)
                                                華夏一區箕子東(중화의 한 구역 기자의 동쪽이구나)
                                                齊月光風何處在(밝은 달 맑은 바람 그 어디에 있는가)
                                                沒人氛祲太濛濛(사람을 죽이는 나쁜 기운이 너무 심하구나)
                                                道亡吾奈何(도가 망했는데 내 어찌해야 하는가)
                                                仰天一慟哭(하늘을 우러러 보고 한바탕 크게 통곡하노라)
                                                自靖獻聖賢(자정하여 성현께 내 몸을 바치니)
                                                嗚呼君莫惑(오호라! 그대들은 미혹되지 말지어다)
                                                경술 8월8일 의당노인 절필 (역해:원광대 정경훈 교수)    
   이 절명시를 공개한 양승운 의병연구가는 병산영당 학술위원장으로 의당 박세화와 문인 학술대회를 8회 연속으로 개최했고, 의당학파를 알리는데 적극 활동하고 있다.

   이 절명시를 본 원광대 정경훈 교수는 "한말 망국의 현실에서 많은 유교지식인들이 각각의 방식으로 현실을 애탄(哀歎)했지만 순도(殉道)로 자신의 신념을 표출한 분들은 극히 적었다. 의당 선생은 순정한 성리학자였고, 순도를 자신의 마지막 임무로 여겼으며, 순도의 순간을 두 편의 절명시로 표현했다. 의당선생의 절명시는 매천 황현(1855~1910)의 절명시보다 더욱 애처로운 현실을 표현한, 진정한 유교지식인의 한 면모를 드러낸다"고 평가했다.

                                                                                         <참고문헌>
   1. 손도언, "의당 박세화 선생의 절명시(絶命詩) 원본, 111년만에 공개", 2021.6.1일자. 17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6/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19976 2018.04.12
2325 청주고 대표 언론인 남재희 前 노동부 장관 별세 사진 신상구 398 2024.09.20
2324 조선·일본 무역 조약의 기틀 마련한 조선의 '일본통' 외교관 이예 사진 신상구 365 2024.09.20
2323 대학의 우수 인재 유치 없이는 대한민국 미래도 없다 신상구 390 2024.09.19
2322 뉴라이트의 함정 신상구 411 2024.09.18
2321 한국 사찰 최초 국가현충시설, 양산 통도사 사진 신상구 457 2024.09.15
2320 한·일 관계 퇴행 막는 장치 필요, DJ·오부치 선언 2.0 만들어야 사진 신상구 378 2024.09.15
2319 <특별기고> 추석의 의미와 유래와 민속놀이 사진 신상구 394 2024.09.12
2318 북한 MZ 탈북 사유 사진 신상구 393 2024.09.08
2317 우리 조국 대한민국의 국제적 위상 신상구 370 2024.09.08
2316 모바일 《태백진훈과 천부사상》 사진 첨부파일 김동섭 565 2024.09.07
2315 프레더릭 아서매켄지가 종군기자가 되어 1907년 고발한 의병 양민 학살 신상구 685 2024.09.07
2314 이중섭은 늘 한국인으로서 어떻게 그릴 것인가 고민했다. 신상구 343 2024.09.07
2313 이승만의 북진통일론, 당시 국회도 만장일치 지지 사진 신상구 317 2024.09.07
2312 학력평가원 역사 교과서 해부 신상구 343 2024.09.07
2311 북한의 핵위협에 대응하는 현실적인 세 가지 방법 신상구 421 2024.09.07
2310 이승만의 '정읍 선언' 사진 신상구 476 2024.09.06
2309 이승만과 김창룡, 6.25전쟁에서 대한민국 지켰다 사진 신상구 307 2024.09.06
2308 미분 적분으로 만든 완벽한 문학 신상구 474 2024.09.05
2307 손인주의 경제 번영을 위한 강대국 전략 신상구 366 2024.09.04
2306 백곡 김득신의 독서와 문학세계 신상구 379 2024.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