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무엇이 달라져야 하는가!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5.27 21:31

                                                                                    무엇이 달라져야 하는가!

    “돈 때문에 일하지 말고 일속에서 보람과 행복을 찾으면 정년 후에도 일이 찾아온답니다.”

    베스트셀러 <백년을 살아보니>의 저자이자 '102세 철학자'인 김형석 연세대 철학과 명예교수가 24일 오후 5시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세계한인지도자대회 초청 특별강연에서 ‘무엇이 달라져야 하는가!’를 제목으로 한 기조연설을 통해 이 같이 말했다.

    지금도 일간지에서 객원논설위원을 하고, 전국에 특강을 다닐 정도로 맑은 정신과 정정한 체력을 유지하고 있는 김형석 교수는 “고 안병욱 숭실대 명예교수와 고 김태길 서울대 철학과 명예교수와 동갑내기 친구로 50년 동안 가깝게 지내오면서 83세 때 셋이 만나 우리 인생의 계란 노른자에 해당할만한 시기에 보람과 행복을 찾아 열심히 일해보자고 말했던 기억이 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50대까지는 아직 세상을 모르고 일만 하다가 60이 되어서야 내가 나 자신을 믿을 수 있게 되더라”며 “사람은 성장하는 동안은 늙지 않는데 성장이 끝나면 그때부터 늙게 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김태길 선생의 <한국의 가치관>은 76세에 나온 책인데 저도 책을 많이 써보니 괜찮다 싶은 책은 다 70대에 나왔다”며 “인생은 60부터 시작해 75세까지도 성장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안병욱 교수는 93세에 세상을 떠날 때까지 나라 걱정을 하고 갔다”며 “30세까지는 교육을 받고 30부터 60까지는 직장에서 일하고 60부터는 사회인으로 다시 태어나 90까지 소중한 인생을 만들어 가게 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특히 “75세가 우리 인생에서 가장 보람있게 사는 나이”라며 “사람이 늙는다는 것은 신체가 늙는 것이지,정신이 늙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제가 50대, 60대보다 좋은 것은 사상”이라며 “정신은 늙지 않는데 육체가 늙다 보니 정신이 육체를 업고 가는 느낌이 든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60에 직장을 떠나 90까지 내 인생의 의미와 가치를 느끼기 위해서 사회에 어떤 열매를 맺고 기여할 것인가를 생각하게 된다”며 “60 이후는 아들 딸도 독립해서 가정에서 해방되고 직장에서 해방되는 나이인 만큼 사회인으로 다시 태어나 인생의 보람을 찾기 위해 노력해야 된다”고 조언했다. 또 “돈을 목적으로 한 삶이 아니라 의미와 보람을 찾는 삶이 중요하다”며 “돈을 쫓지 않고 일을 사랑하게 되면 오히려 수익이 더 많이 생기고 경제적으로도 더 윤택하게 된다”고 말했다. 또 “내가 더 인간답게 행복하게 살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을 얼마나 행복하게 해주는가가 중요하다”며 “정치인은 국민을 행복하게 해주기 위해 정치를 하고, 기업인은 가난한 사람들이 인간답게 살 수 있도록 기업을 운영하면 된다”고 말했다.

20210524_165412

  

    김 교수는 "나 자신만을 위한 삶이 아니라, 이웃과 사회와 민족과 국가를 걱정하고 사랑하는 마음을 갖고 사는 사람의 인생이 역사에 남는 것이고, 그런 삶이 보람 있고 행복하다"고 말했다.

    한편 김형석 교수는 1920년 평안남도 대동 출생으로 일본 조치대학교 철학과를 나왔고 1954년부터 1985년까지 연세대 철학과 교수를 지냈다. 인촌상과 유일한상을 받았고,제1대 한우리독서문화운동본부 회장을 역임했다. 2016년 베스트셀러 <백년을 살아보니>를 출간한 김 교수는 현재 연세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와 동아일보 객원논설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참고문헌>
    1. 한성일, "육체는 늙어도 정신은 늙지 말아야", 중도일보, 2021.5.26일자. 7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6/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442 2018.04.12
2325 청주고 대표 언론인 남재희 前 노동부 장관 별세 사진 신상구 406 2024.09.20
2324 조선·일본 무역 조약의 기틀 마련한 조선의 '일본통' 외교관 이예 사진 신상구 378 2024.09.20
2323 대학의 우수 인재 유치 없이는 대한민국 미래도 없다 신상구 399 2024.09.19
2322 뉴라이트의 함정 신상구 422 2024.09.18
2321 한국 사찰 최초 국가현충시설, 양산 통도사 사진 신상구 470 2024.09.15
2320 한·일 관계 퇴행 막는 장치 필요, DJ·오부치 선언 2.0 만들어야 사진 신상구 390 2024.09.15
2319 <특별기고> 추석의 의미와 유래와 민속놀이 사진 신상구 404 2024.09.12
2318 북한 MZ 탈북 사유 사진 신상구 401 2024.09.08
2317 우리 조국 대한민국의 국제적 위상 신상구 381 2024.09.08
2316 모바일 《태백진훈과 천부사상》 사진 첨부파일 김동섭 579 2024.09.07
2315 프레더릭 아서매켄지가 종군기자가 되어 1907년 고발한 의병 양민 학살 신상구 700 2024.09.07
2314 이중섭은 늘 한국인으로서 어떻게 그릴 것인가 고민했다. 신상구 353 2024.09.07
2313 이승만의 북진통일론, 당시 국회도 만장일치 지지 사진 신상구 325 2024.09.07
2312 학력평가원 역사 교과서 해부 신상구 354 2024.09.07
2311 북한의 핵위협에 대응하는 현실적인 세 가지 방법 신상구 430 2024.09.07
2310 이승만의 '정읍 선언' 사진 신상구 484 2024.09.06
2309 이승만과 김창룡, 6.25전쟁에서 대한민국 지켰다 사진 신상구 319 2024.09.06
2308 미분 적분으로 만든 완벽한 문학 신상구 480 2024.09.05
2307 손인주의 경제 번영을 위한 강대국 전략 신상구 378 2024.09.04
2306 백곡 김득신의 독서와 문학세계 신상구 383 2024.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