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부처님 오신 날’ 봉축법요식 거행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5.19 19:06

                                                                       ‘부처님 오신 날’ 봉축법요식 거행

19일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부처님 오신 날 봉축법요식이 거행되고 있다. 조계종 총무원 제공    
        5월 19일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부처님 오신 날 봉축법요식이 거행되고 있다. 조계종 총무원 제공

    불기 2565년 부처님 오신 날 봉축법요식이 19일 서울 종로구 조계사 등 전국 사찰에서 일제히 거행됐다.

조계종 봉축법요식은 이날 오전 10시 조계사 대웅전 앞마당에서 여섯 가지 공양물을 부처님께 올리는 육법공양, 중생의 어리석음을 깨치기 위해 북과 종을 울리는 명고와 명종, 번뇌와 탐욕을 씻어내는 관불의식 순으로 진행됐다.

    법요식엔 조계종 종정 진제 스님과 총무원장 원행 스님, 이웃 종교 지도자들,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주한 외국 대사 등이 참석했다. 또 사회 이웃 인사로 김미숙 김용균재단 이사장, 우다야라이 이주노동자노조위원장, 헤이만 재한미얀마청년연대 대표, 청주방송 고 이재학 피디의 동생 이대로씨, 김계월 아시아나항공케이오청소노동조합 지부장, 정진영 쿠팡노동조합 지부장 등이 함께했다.

    원행 스님은 봉축사에서 “오랜 불교 전통을 유지해 온 미얀마의 사태는 우리 마음을 매우 아프게 하고 있다”며 “미얀마 당국은 북방의 부처님 오신 날인 (음력) 4월 초파일(5월19일)부터 남방의 부처님 오신 날인 4월 보름(5월26일)까지 모든 적대행위의 중단을 선언해주실 것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 “한때나마 훈풍이 불었던 우리나라 남북관계도 차갑게 식어가고 있다”며 “우리 자신의 평화와 행복을 위해서라도 조속히 대화와 협력의 길이 열리도록 불교계가 힘을 모으겠다”고 다짐했다.

    황희 문체부 장관은 문재인 대통령의 봉축 메시지를 대독했다.

    법요식에 이어 조계종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는 부처님 오신 날 기념공연 <뚜껑 없는 열차>가 펼쳐졌다. 무료로 열린 이 공연은 지금 시대 젊은이가 우연한 기회에 1948년으로 거슬러 올라가 과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순심이를 만나면서 벌어지는 내용을 담았다. 조계종 쪽은 “부처님 오신 날에 다시 한 번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을 위로하고 그분들의 아픔을 새기는 기림공연을 준비했다”고 밝혔다.

                                                                                       <참고문헌>
      1. 조현, "  ‘부처님 오신 날’ 봉축법요식 거행", 한겨레신문, 20201.5.19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6/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211 2018.04.12
2325 청주고 대표 언론인 남재희 前 노동부 장관 별세 사진 신상구 401 2024.09.20
2324 조선·일본 무역 조약의 기틀 마련한 조선의 '일본통' 외교관 이예 사진 신상구 370 2024.09.20
2323 대학의 우수 인재 유치 없이는 대한민국 미래도 없다 신상구 393 2024.09.19
2322 뉴라이트의 함정 신상구 418 2024.09.18
2321 한국 사찰 최초 국가현충시설, 양산 통도사 사진 신상구 464 2024.09.15
2320 한·일 관계 퇴행 막는 장치 필요, DJ·오부치 선언 2.0 만들어야 사진 신상구 382 2024.09.15
2319 <특별기고> 추석의 의미와 유래와 민속놀이 사진 신상구 398 2024.09.12
2318 북한 MZ 탈북 사유 사진 신상구 397 2024.09.08
2317 우리 조국 대한민국의 국제적 위상 신상구 377 2024.09.08
2316 모바일 《태백진훈과 천부사상》 사진 첨부파일 김동섭 571 2024.09.07
2315 프레더릭 아서매켄지가 종군기자가 되어 1907년 고발한 의병 양민 학살 신상구 693 2024.09.07
2314 이중섭은 늘 한국인으로서 어떻게 그릴 것인가 고민했다. 신상구 349 2024.09.07
2313 이승만의 북진통일론, 당시 국회도 만장일치 지지 사진 신상구 322 2024.09.07
2312 학력평가원 역사 교과서 해부 신상구 350 2024.09.07
2311 북한의 핵위협에 대응하는 현실적인 세 가지 방법 신상구 426 2024.09.07
2310 이승만의 '정읍 선언' 사진 신상구 481 2024.09.06
2309 이승만과 김창룡, 6.25전쟁에서 대한민국 지켰다 사진 신상구 315 2024.09.06
2308 미분 적분으로 만든 완벽한 문학 신상구 475 2024.09.05
2307 손인주의 경제 번영을 위한 강대국 전략 신상구 373 2024.09.04
2306 백곡 김득신의 독서와 문학세계 신상구 382 2024.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