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우리 역사 바로잡기에 평생을 바친 고고학자 손보기 선생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5.19 03:42

                                              우리 역사 바로잡기에 평생을 바친 고고학자 손보기 선생                    


     손보기(孫寶基, 1922년 7월 7일 ~ 2010년 10월 31일[1])는 대한민국의 사학자, 고고학자이다.[2] 는 파른이며,[주 1한반도 구석기 연구의 아버지’로 불린다.[3]

   1964년의 충남 공주 석장리 구석기 유적 발굴로 널리 알려졌다.[5] 이 발굴로 한반도에 구석기시대가 존재했음을 처음으로 증명했다. 이로써 ‘일본을 앞서 한반도에 사람이 살고 있지 않았다’라는 일제 식민사학의 주장을 과학적이며 합리적으로 뒤집었다. 그 뒤 92년까지 12차례에 걸쳐 발굴과 조사 작업을 벌였다. 2009년, 손보기의 업적을 기리기 위한 ‘파른 손보기 기념관’이 공주 석장리에 문을 열었다.[3]

   1974년 ~ 1980년에는 충북 제천의 점말동굴유적을 발굴하였으며, 한자와 일본어 용어를 한국어로 대체하여 사용하는 등 대한민국 고고학에 업적을 남겼다.[6]


   1969년부터는 국립중앙도서관에서 구성한 고서위원회에 참여하였으며,[7] 1945년 구입한 《규원사화》 고서에 대하여 1972년 11월 3일, 당시 국립중앙도서관 고서심의의원이었던 이가원(李家源), 임창순(任昌淳)과 함께 조선 중기에 씌여진 진본임을 확인하고 인증서를 작성하여 국립중앙도서관의 직인으로 인증하였다.[8]

또한 1972년부터 직지심경금속활자로 인쇄된 것임을 주장하였고, 이듬해 활자를 연구한 공로로 독일 마인츠시에서 메달을 받는 등,[9] 고인쇄술 연구에도 기여하였다.

  저서로는《한국의 고활자》(1971년),《금속활자와 인쇄술》(1977년),세종대왕집현전》(1985년), 《세종시대의 인쇄출판》(1987년),《한국 구석기학 연구의 길잡이》(1988년),《석장리 선사 유적》(1993년),장보고청해진》(1996년),《공부의 즐거움》(공저, 2006년),《석장리 유적과 한국의 구석기 문화》(2009년)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이조전기정치기구의 기능적 분석〉,〈석장리 자갈돌 찍개문화층〉,〈석장리 후기구석기시대 집자리〉,〈미국에 있어서의 광복운동〉,〈체질학상으로 본 한국사람의 뿌리〉 등이 있다.

  상훈 경력으로는 한국일보 출판문화상, 한국인쇄문화상, 1976년 외솔상 문화부문, 1989년 성곡문화재단상, 1990년 목관문화훈장,  1996년 제2회 용재학술상, 2000년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세종성왕상, 2003년 위암 장지연상 등이 있다.

                                                            <참고문헌>

    1.  "고고학자 손보기", 네이버 나무위키, 2021.5.19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6/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809 2018.04.12
2325 청주고 대표 언론인 남재희 前 노동부 장관 별세 사진 신상구 415 2024.09.20
2324 조선·일본 무역 조약의 기틀 마련한 조선의 '일본통' 외교관 이예 사진 신상구 386 2024.09.20
2323 대학의 우수 인재 유치 없이는 대한민국 미래도 없다 신상구 406 2024.09.19
2322 뉴라이트의 함정 신상구 430 2024.09.18
2321 한국 사찰 최초 국가현충시설, 양산 통도사 사진 신상구 481 2024.09.15
2320 한·일 관계 퇴행 막는 장치 필요, DJ·오부치 선언 2.0 만들어야 사진 신상구 397 2024.09.15
2319 <특별기고> 추석의 의미와 유래와 민속놀이 사진 신상구 408 2024.09.12
2318 북한 MZ 탈북 사유 사진 신상구 411 2024.09.08
2317 우리 조국 대한민국의 국제적 위상 신상구 387 2024.09.08
2316 모바일 《태백진훈과 천부사상》 사진 첨부파일 김동섭 585 2024.09.07
2315 프레더릭 아서매켄지가 종군기자가 되어 1907년 고발한 의병 양민 학살 신상구 716 2024.09.07
2314 이중섭은 늘 한국인으로서 어떻게 그릴 것인가 고민했다. 신상구 359 2024.09.07
2313 이승만의 북진통일론, 당시 국회도 만장일치 지지 사진 신상구 332 2024.09.07
2312 학력평가원 역사 교과서 해부 신상구 358 2024.09.07
2311 북한의 핵위협에 대응하는 현실적인 세 가지 방법 신상구 436 2024.09.07
2310 이승만의 '정읍 선언' 사진 신상구 489 2024.09.06
2309 이승만과 김창룡, 6.25전쟁에서 대한민국 지켰다 사진 신상구 325 2024.09.06
2308 미분 적분으로 만든 완벽한 문학 신상구 494 2024.09.05
2307 손인주의 경제 번영을 위한 강대국 전략 신상구 384 2024.09.04
2306 백곡 김득신의 독서와 문학세계 신상구 387 2024.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