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충남 천안시 2035년 도시기본계획 ‘승인’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5.12 02:44

                                충남 천안시 2035년 도시기본계획 ‘승인’

  
   천안시는 주간활동인구를 포함한 인구 92만인이 ‘행복과 흥이 넘치는 안전한 인간중심의 혁신도시’를 비전으로 하는 ‘2035년 천안 도시기본계획’을 충남도로부터 지난 6일 최종 승인받았다고 7일 밝혔다.

   시는 2017년 4월부터 추진한 ‘2035년 천안도시기본계획’을 시민공청회, 천안시의회 의견 청취, 관계기관 협의, 충청남도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의 절차를 거쳐 승인받았다.

   도시기본계획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자체에서 수립해야 하는 법정 계획이자, 토지의 이용‧개발 및 보전과 관련된 모든 공간계획들의 방향을 제시하는 최상위 계획이다.

   시는 2035년 천안도시기본계획에 주민 참여를 통한 ‘행복과 흥이 넘치는 안전한 인간중심의 혁신도시’라는 미래상을 설정하고 세부 전략목표를 수립해 분야별 실천전략을 제시했다.

   주요내용은 대부분의 도시가 격고 있는 인구감소에 따른 도시정책과 제도 변화, 국토종합계획 등 상위계획과 대내외 사회․경제적 여건변화 등을 고려한 장기적인 도시공간 구조 설정, 생활권 설정 및 인구배분 계획, 광역교통·도시교통계획 등이다.

   도시공간구조는 도시 기능의 집약화와 탄력적인 인구배분계획을 위해 1도심과 2부도심(성환·직산, 목천·병천), 3지역중심(입장·성거, 청룡, 풍세·광덕)으로 압축하고, 천안시 인접 시군의 특성을 고려해 상생

    계획인구는 천안시의 과거 10년 동안의 증가 추이를 바탕으로 천안시 주요 관광지 및 철도 이용객, 대학교 기숙사 인원 등의 주간활동인구를 고려해 최종 92만인으로 책정했다.


   생활권 계획은 기존 2020년 천안도시기본계획(변경)의 생활권계획 체계의 기조를 유지해 천안시 전체를 1개의 대생활권으로 설정하고, 4개의 중생활권(중심, 북부, 동부, 남부)으로 구분했다. 특히 북부생활권의 종축장부지 개발사업 등 첨단산업단지와 인접한 충남-경기 상생협력권, 경기남부의 해상물류․산업단지와 연계한 복합산업벨트 구축 방안을 담았으며,  당진~천안 고속도로, 세종~포천 고속도로 등 광역적 도로 연계 및 서해안 벨트를 고려한 동서횡단철도 노선을 구축해 중부권 물류의 거점 도시 육성에 이바지하는 상생발전 방안 등도 확정했다.

    교통계획은 천안시의 고질적인 문제인 도심내 혼잡한 통과교통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기존 계획도로망을 기반으로 천안시 지역 간 효과적인 교통량을 분산하는 번영로~서북․성거간도로~성거․목천우회도로~ 신방․목천우회도로를 잇는 제1순환망 계획을 반영했다.

    또 광역도로망인 공주․천안 간 고속도로~국도43호․국도1호선~세종․포천고속도로~국도43호선을 활용한 제2순환망 체계를 도입해 장래 물류거점지역(북부지역 및 남부 지역의 산업단지 등)을 경유하는 순환도로 구축으로 물류시스템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했다.

    최종 확정된 2035년 천안도시기본계획은 5월 1일 천안시 누리집을 통해 공보(시보)에 게재돼 일반에 공개될 예정이다.

    박상돈 천안시장은 “이번 2035년 천안시 도시기본계획 승인으로 공간계획뿐만 아니라 교통, 개발방향 등 정책수립의 기본방향이 확정돼 도******전의 기틀을 마련하게 됐다”며, “지역균형 발전은 물론 고품격 문화도시, 시민의 희망이 담긴 ‘새로운 천안 행복한 시민’을 완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참고문헌>                      

    1. 이정복,  "천안시 2035년 도시기능",  DAEJEONTODAY, 2021.5.10일자. 6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6/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713 2018.04.12
2325 청주고 대표 언론인 남재희 前 노동부 장관 별세 사진 신상구 412 2024.09.20
2324 조선·일본 무역 조약의 기틀 마련한 조선의 '일본통' 외교관 이예 사진 신상구 383 2024.09.20
2323 대학의 우수 인재 유치 없이는 대한민국 미래도 없다 신상구 404 2024.09.19
2322 뉴라이트의 함정 신상구 429 2024.09.18
2321 한국 사찰 최초 국가현충시설, 양산 통도사 사진 신상구 477 2024.09.15
2320 한·일 관계 퇴행 막는 장치 필요, DJ·오부치 선언 2.0 만들어야 사진 신상구 395 2024.09.15
2319 <특별기고> 추석의 의미와 유래와 민속놀이 사진 신상구 407 2024.09.12
2318 북한 MZ 탈북 사유 사진 신상구 406 2024.09.08
2317 우리 조국 대한민국의 국제적 위상 신상구 385 2024.09.08
2316 모바일 《태백진훈과 천부사상》 사진 첨부파일 김동섭 583 2024.09.07
2315 프레더릭 아서매켄지가 종군기자가 되어 1907년 고발한 의병 양민 학살 신상구 709 2024.09.07
2314 이중섭은 늘 한국인으로서 어떻게 그릴 것인가 고민했다. 신상구 358 2024.09.07
2313 이승만의 북진통일론, 당시 국회도 만장일치 지지 사진 신상구 330 2024.09.07
2312 학력평가원 역사 교과서 해부 신상구 357 2024.09.07
2311 북한의 핵위협에 대응하는 현실적인 세 가지 방법 신상구 435 2024.09.07
2310 이승만의 '정읍 선언' 사진 신상구 487 2024.09.06
2309 이승만과 김창룡, 6.25전쟁에서 대한민국 지켰다 사진 신상구 324 2024.09.06
2308 미분 적분으로 만든 완벽한 문학 신상구 491 2024.09.05
2307 손인주의 경제 번영을 위한 강대국 전략 신상구 382 2024.09.04
2306 백곡 김득신의 독서와 문학세계 신상구 385 2024.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