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천안시 대한독립만세길 조성사업 백지화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5.07 19:12

                                                            천안시 대한독립만세길 조성사업 백지화

    아우내 독립만세운동 지역의 상징성을 높이기 위한 천안시 '대한독립만세길 조성사업'이 백지화됐다. 수억 원을 들여 실시설계까지 마쳤지만 사업 백지화 방침으로 국비 30억여 원을 반납케 됐다.
    5월 6일 천안시에 따르면 서부내륙권 광역관광개발 기본구상 및 계획 확정으로 2017년 12월 대한독립만세길 조성 사업이 승인됐다. 승인 당시 사업비는 국비 38억 3000만 원 등 총 96억 6000만 원이다. 독립만세길 조성 사업은 1919년 아우내 독립만세운동 현장인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병천리 209-4번지 일원 500m 구간의 새 단장이 핵심이다. 시는 아우내 장터가 속한 500m 구간의 도로를 4차선에서 3차선으로 축소해 보도 설치로 보행자 중심 가로환경을 조성하고 만세기념공원을 확장해 매봉산 봉화대, 순국자 48인 추모조형물 등 만세운동의 스토리가 담긴 역사 조형물 설치 및 스트리트 뮤지엄을 건립한다는 계획이었다.
    시는 2억 원을 투입해 2018년 5월부터 2019년 11월까지 대한독립만세길 조성사업 실시설계용역도 마쳤다.
    대한독립만세길 조성사업은 주민 반발이 불거지며 난항을 겪었다. 주민들은 도로 축소 등에 이의를 제기하며 2018년 7월 53인 서명으로 사업 백지화 탄원을 제출했다. 민원 제기 이후 시는 주민설명회 3회, 주민협의체 회의 5회를 개최했다. 주민의견 수렴 절차가 이어지며 당초 2019년 완료 예정이었던 사업은 해를 넘기고도 착공조차 못한 채 추진이 더뎌졌다.
    시는 주민 협의 사항을 반영해 2020년부터는 문화체육관광부에 사업계획 변경 승인을 요청했지만 변경은 불발됐다.
    천안시 관계자는 "변경 사업안에 역사 조형물이 없어지고 뮤지엄이 축소되는 등 대한독립만세길 조성사업이 당초 취지에서 벗어나 전선 지중화 등 보도정비 성격으로 변했다는 것이 문체부의 판단"이라고 말했다.
    시는 국비 반납 후 계속 사업시 시비 부담 등을 고려해 대한독립만세길 조성사업 취소를 이달 결정했다.
    천안시의회 허욱 의원은 "아우내 독립만세운동의 역사성과 상징성을 높일 수 있는 호기가 사라져 안타깝다"며 "다른 사업을 통해서라도 만세기념공원 일대의 확장과 정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참고문헌>
    1. 윤평호, "  천안시 대한독립만세길 조성사업 백지화", 대전일보, 2021.5.7일자. 8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6/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19909 2018.04.12
2325 청주고 대표 언론인 남재희 前 노동부 장관 별세 사진 신상구 394 2024.09.20
2324 조선·일본 무역 조약의 기틀 마련한 조선의 '일본통' 외교관 이예 사진 신상구 364 2024.09.20
2323 대학의 우수 인재 유치 없이는 대한민국 미래도 없다 신상구 387 2024.09.19
2322 뉴라이트의 함정 신상구 409 2024.09.18
2321 한국 사찰 최초 국가현충시설, 양산 통도사 사진 신상구 455 2024.09.15
2320 한·일 관계 퇴행 막는 장치 필요, DJ·오부치 선언 2.0 만들어야 사진 신상구 378 2024.09.15
2319 <특별기고> 추석의 의미와 유래와 민속놀이 사진 신상구 393 2024.09.12
2318 북한 MZ 탈북 사유 사진 신상구 392 2024.09.08
2317 우리 조국 대한민국의 국제적 위상 신상구 370 2024.09.08
2316 모바일 《태백진훈과 천부사상》 사진 첨부파일 김동섭 563 2024.09.07
2315 프레더릭 아서매켄지가 종군기자가 되어 1907년 고발한 의병 양민 학살 신상구 679 2024.09.07
2314 이중섭은 늘 한국인으로서 어떻게 그릴 것인가 고민했다. 신상구 342 2024.09.07
2313 이승만의 북진통일론, 당시 국회도 만장일치 지지 사진 신상구 317 2024.09.07
2312 학력평가원 역사 교과서 해부 신상구 343 2024.09.07
2311 북한의 핵위협에 대응하는 현실적인 세 가지 방법 신상구 421 2024.09.07
2310 이승만의 '정읍 선언' 사진 신상구 475 2024.09.06
2309 이승만과 김창룡, 6.25전쟁에서 대한민국 지켰다 사진 신상구 304 2024.09.06
2308 미분 적분으로 만든 완벽한 문학 신상구 473 2024.09.05
2307 손인주의 경제 번영을 위한 강대국 전략 신상구 364 2024.09.04
2306 백곡 김득신의 독서와 문학세계 신상구 379 2024.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