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무위(無爲)’와 ‘무아(無我)의 참뜻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4.05 16:42

                                                                              무위(無爲)’와 ‘무아(無我)의 참뜻

   노자(老子) 사상을 연구하고 강의하는 철학자의 연구실은 뜻밖에도 명품 매장이 즐비한 서울 청담동 한복판에 있었다. “어쩌다 보니 그렇게 됐다”고 했지만, 노자의 ‘도덕경’이 결코 은둔의 철학이 아니라는 그의 지론과 무관하지 않은 듯했다.

   최진석(62) 서강대 명예교수는 지난 연말 5·18 특별법을 비판하는 시를 발표해 주목받았다. 그가 새로 낸 책 ‘나 홀로 읽는 도덕경’(시공사)은 본업인 노자 철학으로 돌아가 ‘도덕경’의 독해를 도와주는 책이다. 대화체로 쉽게 풀어낸 40가지 문답 뒤에 ‘도덕경’의 원문과 해석이 펼쳐진다.

최진석 교수는“도덕경의 세계는 각성된 개인들이 주체”라며“생각하지 않는‘예능 국가’에서 스스로 생각하는‘예술 국가’로 도약하게 도와준다”고 했다. /김연정 객원기자
최진석 교수는“도덕경의 세계는 각성된 개인들이 주체”라며“생각하지 않는‘예능 국가’에서 스스로 생각하는‘예술 국가’로 도약하게 도와준다”고 했다. /김연정 객원기자

   “21세기야말로 노자 사상에 새롭게 주목해야 하는 시대입니다. 지난 근대가 본질과 실체를 중시하고 사람과 사물을 규정하던 시대, 공자의 사상에 어울리는 시대였다면, 지금은 사람들 사이의 상호 관계에 대해 깊이 살펴야 하기 때문이죠.” 그는 노자가 한 측면만 본 것이 아니라 일(日)과 월(月), 명(明)과 암(暗), 유(有)와 무(無) 같은 ‘대립면의 상호 의존’을 인식한 고도의 통찰력을 지닌 사상가였다고 했다. 이것이야말로 현대인에게 필요한 통찰력이라는 것이다. “도덕경의 세계는 각성하고 생각할 줄 아는 개인들이 모여 이뤄집니다.”

   공자 사상이 중앙 집권적, 이념적 특성을 보였다면 노자는 지방 분권적이고 실용적인 사상가였다고 그는 말했다. “저는 마오쩌둥(毛澤東)이 공자에 가깝고, 덩샤오핑(鄧小平)이 노자에 가깝다고 봅니다.”

   흔히 생각하는 것처럼 노자를 반(反)문명이나 현실 도피적 사상가로 보는 것은 틀린다고 했다. “그냥 자연 속으로 돌아가라는 게 아니라, 자연의 운행 원칙을 인간의 삶 속에서 제대로 구현하자고 한 것이죠. 그건 현실에서 성공하기 위해서입니다.” 그렇다면 노자는 오히려 성공 지향적, 문명 지향적 사상가였던 셈이다.

   ‘무위(無爲)’나 ‘무아(無我)’ 같은 개념도 ‘나를 없애고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나를 규정하는 굳은 틀을 걷어낸 뒤 드러난 진짜 자기가 세계와 진실한 관계를 맺는 것’이 된다. “이미 정해진 가치와 이념을 통해 보고 싶은 것만 보는 게 아니라, 눈에 보이는 대로 보고 나의 길을 찾는 것이 무위입니다.”

   노자의 눈으로 볼 때 지금의 우리 현실도 새롭게 해석된다. 최 교수는 “이 세상을 노자처럼 상호 의존적 대립 관계로 보기는커녕 이념 지향적으로 한 면만 보는 정치 세력이 문제”라고 했다. “예를 들어 아파트 값이 오르면 ‘가진 자와 못 가진 자’ 사이의 갈등 문제로만 보고 세금을 올립니다. 조세 공정성 훼손, 건설 경기 침체, 국민 불신감 증폭 같은 다른 여러 부작용을 함께 고려하는 능력이 결여돼 있는 것이죠.” ‘도덕경’ 3장에서 ‘저 헛똑똑이들이 과감하게 행동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사부지자불감위야·使夫智者不敢爲也)’고 질타한 것이 이 상황에 꼭 어울린다는 얘기다.

   최 교수는 대학원 박사과정 시절 거울 속의 자기 모습에서 행복한 표정을 읽지 못해 충격을 받고, 수교 전의 중국으로 건너가 2년 동안 방랑하며 ‘이념과 결별하고 나 자신을 찾았다’고 했다. 대학교수를 하다 ‘나만의 고유한 비린내가 사라지고 있다’는 느낌에 정년을 8년 남기고 교수직을 던져버렸다. 최근 정부를 비판한 뒤 ‘약간의 강한 반대와 폭넓고 부드러운 지지를 동시에 받았다’고 했다. 그는 ‘국가란 무엇인가’란 주제를 다룬 책 ‘대한민국 읽기’의 출간을 준비 중이다.

                                                                                      <참고문헌>

    1. 유석재, "지금 정권은 헛똑똑이...노자라면 질타했을 것", 조선일보, 2021.4.5일자. A25면.

공감 

시청자 게시판

2,114개(6/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5285 2018.04.12
2013 보문산 구암사 신상구 412 2023.05.27
2012 <특별기고> 불기 2567주년 부처님 오신 날을 봉축하며 사진 신상구 210 2023.05.25
2011 모바일 남원지역 헬로비젼 채널번호 확인 요망 [1] 남조선배 387 2023.05.15
2010 김해시 조선 후기 기녀 시인 지재당 강담운 한시 관광콘텐츠 활용 사진 신상구 442 2023.05.09
2009 공주시 이삼평 ‘왜군에 적극적 부역’ 불편한 진실 사진 신상구 352 2023.05.02
2008 통일한반도 꿈꾼 아산… “통일되면 세계 1위 경제 강국 될 것” 사진 신상구 213 2023.05.01
2007 중부매일, 전국 일간지 평가 '충청권 최고 신문 선정 축하 사진 신상구 179 2023.04.28
2006 <특별기고> 대한민국 상해임시정부 수립 제104주년을 기념하며 사진 신상구 214 2023.04.13
2005 충남의 선비정신 신상구 442 2023.04.06
2004 <특별기고> 제주 4.3사건 75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추념식 신상구 393 2023.04.05
2003 문형순, 김익열 제주 4·3사건 의인들은 ‘역사의 은인’ 사진 신상구 306 2023.04.04
2002 1920년 천마산대 소년통신원이었던 한암당 이유립 선생 사진 신상구 193 2023.04.02
2001 대전시의 미래 관광과 나비효과 양동기 사진 신상구 166 2023.03.31
2000 동여도 품은 ‘대동여지도’ 고국품으로 신상구 348 2023.03.31
1999 독도 명칭의 유래와 일본의 독도 영유권 억지 증거 사진 신상구 266 2023.03.28
1998 <특별기고> 안중근 의사의 생애와 업적과 순국 113주년 기념 사진 신상구 209 2023.03.28
1997 <특별기고> 서해수호의 날 8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기념식과 안 사진 신상구 219 2023.03.27
1996 ​거북등딱지부터 챗GPT까지, 점괘의 발달 사진 신상구 221 2023.03.18
1995 짧고 불꽃 같은 생을 살았던 조영래 천재 인권변호사 사진 신상구 385 2023.03.17
1994 무원칙과 편의의 원칙 사이에 광화문 월대의 비밀은 영원히 비밀로 남고. 사진 신상구 679 2023.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