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무위(無爲)’와 ‘무아(無我)의 참뜻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4.05 16:42

                                                                              무위(無爲)’와 ‘무아(無我)의 참뜻

   노자(老子) 사상을 연구하고 강의하는 철학자의 연구실은 뜻밖에도 명품 매장이 즐비한 서울 청담동 한복판에 있었다. “어쩌다 보니 그렇게 됐다”고 했지만, 노자의 ‘도덕경’이 결코 은둔의 철학이 아니라는 그의 지론과 무관하지 않은 듯했다.

   최진석(62) 서강대 명예교수는 지난 연말 5·18 특별법을 비판하는 시를 발표해 주목받았다. 그가 새로 낸 책 ‘나 홀로 읽는 도덕경’(시공사)은 본업인 노자 철학으로 돌아가 ‘도덕경’의 독해를 도와주는 책이다. 대화체로 쉽게 풀어낸 40가지 문답 뒤에 ‘도덕경’의 원문과 해석이 펼쳐진다.

최진석 교수는“도덕경의 세계는 각성된 개인들이 주체”라며“생각하지 않는‘예능 국가’에서 스스로 생각하는‘예술 국가’로 도약하게 도와준다”고 했다. /김연정 객원기자
최진석 교수는“도덕경의 세계는 각성된 개인들이 주체”라며“생각하지 않는‘예능 국가’에서 스스로 생각하는‘예술 국가’로 도약하게 도와준다”고 했다. /김연정 객원기자

   “21세기야말로 노자 사상에 새롭게 주목해야 하는 시대입니다. 지난 근대가 본질과 실체를 중시하고 사람과 사물을 규정하던 시대, 공자의 사상에 어울리는 시대였다면, 지금은 사람들 사이의 상호 관계에 대해 깊이 살펴야 하기 때문이죠.” 그는 노자가 한 측면만 본 것이 아니라 일(日)과 월(月), 명(明)과 암(暗), 유(有)와 무(無) 같은 ‘대립면의 상호 의존’을 인식한 고도의 통찰력을 지닌 사상가였다고 했다. 이것이야말로 현대인에게 필요한 통찰력이라는 것이다. “도덕경의 세계는 각성하고 생각할 줄 아는 개인들이 모여 이뤄집니다.”

   공자 사상이 중앙 집권적, 이념적 특성을 보였다면 노자는 지방 분권적이고 실용적인 사상가였다고 그는 말했다. “저는 마오쩌둥(毛澤東)이 공자에 가깝고, 덩샤오핑(鄧小平)이 노자에 가깝다고 봅니다.”

   흔히 생각하는 것처럼 노자를 반(反)문명이나 현실 도피적 사상가로 보는 것은 틀린다고 했다. “그냥 자연 속으로 돌아가라는 게 아니라, 자연의 운행 원칙을 인간의 삶 속에서 제대로 구현하자고 한 것이죠. 그건 현실에서 성공하기 위해서입니다.” 그렇다면 노자는 오히려 성공 지향적, 문명 지향적 사상가였던 셈이다.

   ‘무위(無爲)’나 ‘무아(無我)’ 같은 개념도 ‘나를 없애고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나를 규정하는 굳은 틀을 걷어낸 뒤 드러난 진짜 자기가 세계와 진실한 관계를 맺는 것’이 된다. “이미 정해진 가치와 이념을 통해 보고 싶은 것만 보는 게 아니라, 눈에 보이는 대로 보고 나의 길을 찾는 것이 무위입니다.”

   노자의 눈으로 볼 때 지금의 우리 현실도 새롭게 해석된다. 최 교수는 “이 세상을 노자처럼 상호 의존적 대립 관계로 보기는커녕 이념 지향적으로 한 면만 보는 정치 세력이 문제”라고 했다. “예를 들어 아파트 값이 오르면 ‘가진 자와 못 가진 자’ 사이의 갈등 문제로만 보고 세금을 올립니다. 조세 공정성 훼손, 건설 경기 침체, 국민 불신감 증폭 같은 다른 여러 부작용을 함께 고려하는 능력이 결여돼 있는 것이죠.” ‘도덕경’ 3장에서 ‘저 헛똑똑이들이 과감하게 행동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사부지자불감위야·使夫智者不敢爲也)’고 질타한 것이 이 상황에 꼭 어울린다는 얘기다.

   최 교수는 대학원 박사과정 시절 거울 속의 자기 모습에서 행복한 표정을 읽지 못해 충격을 받고, 수교 전의 중국으로 건너가 2년 동안 방랑하며 ‘이념과 결별하고 나 자신을 찾았다’고 했다. 대학교수를 하다 ‘나만의 고유한 비린내가 사라지고 있다’는 느낌에 정년을 8년 남기고 교수직을 던져버렸다. 최근 정부를 비판한 뒤 ‘약간의 강한 반대와 폭넓고 부드러운 지지를 동시에 받았다’고 했다. 그는 ‘국가란 무엇인가’란 주제를 다룬 책 ‘대한민국 읽기’의 출간을 준비 중이다.

                                                                                      <참고문헌>

    1. 유석재, "지금 정권은 헛똑똑이...노자라면 질타했을 것", 조선일보, 2021.4.5일자. A25면.

공감 

시청자 게시판

2,426개(6/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809 2018.04.12
2325 청주고 대표 언론인 남재희 前 노동부 장관 별세 사진 신상구 415 2024.09.20
2324 조선·일본 무역 조약의 기틀 마련한 조선의 '일본통' 외교관 이예 사진 신상구 386 2024.09.20
2323 대학의 우수 인재 유치 없이는 대한민국 미래도 없다 신상구 406 2024.09.19
2322 뉴라이트의 함정 신상구 430 2024.09.18
2321 한국 사찰 최초 국가현충시설, 양산 통도사 사진 신상구 482 2024.09.15
2320 한·일 관계 퇴행 막는 장치 필요, DJ·오부치 선언 2.0 만들어야 사진 신상구 397 2024.09.15
2319 <특별기고> 추석의 의미와 유래와 민속놀이 사진 신상구 409 2024.09.12
2318 북한 MZ 탈북 사유 사진 신상구 411 2024.09.08
2317 우리 조국 대한민국의 국제적 위상 신상구 387 2024.09.08
2316 모바일 《태백진훈과 천부사상》 사진 첨부파일 김동섭 585 2024.09.07
2315 프레더릭 아서매켄지가 종군기자가 되어 1907년 고발한 의병 양민 학살 신상구 716 2024.09.07
2314 이중섭은 늘 한국인으로서 어떻게 그릴 것인가 고민했다. 신상구 360 2024.09.07
2313 이승만의 북진통일론, 당시 국회도 만장일치 지지 사진 신상구 332 2024.09.07
2312 학력평가원 역사 교과서 해부 신상구 358 2024.09.07
2311 북한의 핵위협에 대응하는 현실적인 세 가지 방법 신상구 436 2024.09.07
2310 이승만의 '정읍 선언' 사진 신상구 489 2024.09.06
2309 이승만과 김창룡, 6.25전쟁에서 대한민국 지켰다 사진 신상구 325 2024.09.06
2308 미분 적분으로 만든 완벽한 문학 신상구 495 2024.09.05
2307 손인주의 경제 번영을 위한 강대국 전략 신상구 384 2024.09.04
2306 백곡 김득신의 독서와 문학세계 신상구 387 2024.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