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귀여움을 이용해라, 우리 증산도의 귀여운 캐릭터를 만들어야 합니다. 글쓴이 안창현 날짜 2024.07.24 17:59

https://www.msn.com/ko-kr/news/other/%EA%B7%80%EC%97%AC%EC%9B%80%EC%9D%98-%EC%8B%AC%EB%A6%AC-%EC%99%9C-%EC%9A%B0%EB%A6%AC%EB%8A%94-%EA%B7%80%EC%97%AC%EC%9B%80%EC%97%90-%EB%81%8C%EB%A6%B4%EA%B9%8C/ss-BB1qr8iI?ocid=msedgntp&pc=CNNDDB&cvid=8a14417cc5af40cdadaac8708b0ca0cb&ei=12#image=1


귀여움을 이용해라, 우리 증산도의 귀여운 캐릭터를 만들어야 합니다.

 그리하여 본부 및 국내외 도장에 세우고 이를 통해 빛꽃수행을 확산시켜 나가야 합니다. 만화제작국과 세종유통 성물기획부 등 전도생이 참여하여 함께 귀여운 캐릭터를 만들어 확산의 기회를 만들어야 합니다. 그러한 홍보 캐릭터의 예는 아주 많습니다.  공모전을 통해서던지, 아니면 기존에 있는 언청계용신, 수행시 올리는 그림의 빛꽃요정, 휴대전화 고리, 대한사랑 삼족오 모자, 삼성기 등 만화 캐릭터 등에서 가져올 수 있다고 봅니다. 수행 단계별 캐릭터를 만들어 태라천궁 내에 수행단계에 따른 수행실을 편성하여도 좋을 것입니다. 이러한 제안을 꼭 검토하여 빠른 시일 내에 실행되기를 바랍니다. 보은!


귀여움을 이용해라

©Shutterstock

때로 귀여움이 우리의 의도와는 반대로 이용되는 방식을 이해하면, 귀여움이 우리를 위해 작동시킬 수 있는 방법도 배울 수 있다.

 

귀여움의 심리, 왜 우리는 귀여움에 끌릴까?

©Shutterstock

'귀여움에 대한 연구'는 새로운 학문이다. 심리학자들과 문화 전문가들은 귀여움이 무엇이고 우리 뇌는 어떻게 반응하는지, 그리고 그것이 우리의 일상 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한다.

 

헬로 키티부터 베이비 요다에 이르기까지, 우리가 귀여움에 끌리는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그 이면에 숨겨진 심리를 이해한다면 우리는 그것을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클릭으로 더 많은 것을 배워보자!

 

귀여움에 대한 반응

©Getty Images

아기와 동물의 귀여움이 유발하는 강렬한 반응은 무생물이나 가상의 캐릭터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마케팅 전문가들이 한 세기 전부터 이미 알고 있었던 내용이다.

 

 

아기 도식

©iStock

1940년대에, 오스트리아의 생태학자 콘라드 로렌츠는 킨첸스키마, 즉 아기 도식을 생각해 냈다. 그는 아기와 동물의 특징들이 사람들에게 특정한 반응을 유발한다는 것을 알아차렸는데 그것을 "~~ 요인"이라고 부를 수 있다.

 

사랑스러운 이목구비

©iStock

통통한 볼과 큰 눈, 휘청거리는 걸음걸이 등의 특징은 강아지든 아기든 똑같이 사랑스럽다.

 

보호 본능

©BrunoPress

이러한 어린 징후를 보면 우리는 그들과 즉시 연결되고 사랑하고 보호하려는 충동을 갖게 된다.

 

카와이

©Shutterstock

'카와이'라는 단어는 일본어로 "귀여움"을 의미한다. 귀여움 트렌드는 1970년대 일본에서 시작되어 동아시아 전역으로 퍼져 나갔다고 생각된다. 이제는 세계적인 주류 문화의 한 부분이 되었다.

 

보호자 가설

©Shutterstock

이 반응은 어른들에게 다 자란 고양이와 개의 사진을 보여주거나 강아지와 아기 고양이의 사진을 보여주는 연구로 테스트되었다. 사진을 본 후 사람들은 수술 게임을 하도록 요청 받았다.

그들은 더 귀여운 동물에 노출될수록 더 조심스러웠고, 이것은 보호 본능이 이러한 "귀여운" 미학의 출현에 의해 유발된다는 것을 암시한다.

 

신경이미지

©Getty Images

연구원들은 뇌가 시각적인 귀여움뿐만 아니라 사랑스러운 소리와 냄새에도 반응한다는 연구를 수행했다.

 

유대

©Reuters

귀여움은 유대감, 공감, 전반적인 웰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루캬라

©Getty Images

귀여움의 진원지, 일본에서 마스코트는 미국의 스포츠 경기장에서 발견되는 마스코트보다 훨씬 더 큰 역할을 한다. 그들은 유루캬라라고 불리며, 지역, 기업, 학교, 심지어 감옥이나 군대의 지부도 대표한다.

 

구마몬

©Getty Images

마스코트들은 개성이 있으며 널리 사랑 받는다. 한 예로 일본 구마모토 현의 대표인 구마몬이 있다. 2015년 구마몬 덕분에 구마모토는 10억 달러를 벌었다.

구마모토 지진

©Getty Images

2016, 일련의 심각한 지진이 구마모토를 강타했다. 가상의 캐릭터인 구마몬은 괜찮은지, 왜 그의 트위터가 조용한지를 묻는 소셜 미디어 게시물이 일본 전역에서 들어왔다. 그의 안전에 대한 우려는 압도적이었다.구마모토 관리들은 어려운 시기에 사람들이 구마몬을 필요로 한다고 보았다. 그들은 구마몬의 머리에 붕대를 감아 구마모토 성의 무너진 벽을 재건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집중력 증가

©Shutterstock

과제를 시작하기 전에 귀여운 동물 사진을 보면 집중력과 정확도가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소지품의 의인화

©Shutterstock

만약 소지품을 잃어버리거나 남용하는 습관이 있다면, 보살핌이 필요한 귀엽고 무력한 생물체라고 상상해 보자. 생물학적으로 그것들을 잘 관리할 가능성이 높다.

 

답답함의 해소

©Shutterstock

누군가가 본인을 좌절시키거나 위협한다면, 그들을 어린아이로 생각하도록 노력하라. 그러면 방어심보다는 공감을 활성화하고, 관계를 완화할 수 있다.

 

귀여운 환경

©Shutterstock

주변 환경에 귀여운 요소들을 도입하면 진정되고 편안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시도해 보자!

출처: (Psychology Today) (Quartz)

 

'귀여움'의 기원

©Shutterstock

'귀엽다'는 영어 단어는 날카롭거나 뾰족하다는 뜻의 라틴어에서 유래했다. 원래 귀여움은 사고가 날카롭거나 날렵하다는 뜻이었다. 귀여움이 인간의 뇌를 조작하는 도구로 사용되는 방식을 생각하면 아주 적절하다.

 

귀여움 캠페인

©Getty Images

이런 반응을 이끌어내기 위해 정치 캠페인 포스터에 귀여운 이미지가 사용된 적도 있다. 그리고 물론 미국 정치권에는 아기를 이용하는 상투적인 분위기가 있다.

 

카와이 소비주의

©Getty Images

이 거대 기업들은 귀여움이 사람들을 끌어당기고 소유하려는 욕구를 유발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귀엽다는 것은 접근이 쉽고, 위협적이지 않으며, 사랑스럽다는 것이다.

이러한 반응은 자연스럽게 귀여운 제품을 구매하거나 귀여운 캐릭터를 가진 미디어를 소비하려는 강한 욕구를 발생시킨다. 우리는 이러한 욕구에 의문을 제기하거나 마케팅의 속임수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헐리우드

©BrunoPress

할리우드에서는 사랑스러운 조력자 없이는 슈퍼히어로나 공상과학 영화가 완성되지 않는다.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의 그루트를 예로 들어보자.

©Getty Images

그들은 심지어 요다의 아기 버전도 만들었다!

 

헬로 키티

©Getty Images

헬로 키티는 1970년대에 등장했다. 매년 대략 50억 달러의 가치가 있는 헬로 키티 상품이 팔린다! 아시아에는 헬로 키티 테마 파크, 레스토랑, 호텔 스위트룸, 그리고 심지어 여객기도 있다.

 

미키 마우스

©BrunoPress

그 후 수십 년 동안, 그는 더 부드럽고, 더 둥글고, 더 사랑스러운 쥐로 진화했다. (1940년 영화 '판타지아' 포스터의 큐피들을 주목하라.).

 

큐피

©Getty Images

광고에 등장하는 귀여운 이미지들은 1900년경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예술가 로즈 오닐은 1909년에 최초의 "큐피"를 디자인했다. 그들은 큰 머리와 작은 날개를 가진 귀여운 아기천사 캐릭터였다.

큐피

©Getty Images

이 캐릭터는 미국의 주요 회사 Jell-O에 의해 사용되었다. 큐피들은 광고와 포장지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미키 마우스

©Getty Images

귀여움의 성공은 미키 마우스의 진화를 통해서도 추적할 수 있다. 1920년대에 미키는 약간의 악역 캐릭터로 시작했다.

 

 

시청자 게시판

2,426개(5/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97597 2018.04.12
2345 고려 남경은 어떻게 조선의 서울이 됐나 신상구 219 2024.10.12
2344 세종대, '2025 THE 세계대학평가' 국내 7위에 올라 신상구 208 2024.10.12
2343 한국계 미국 작가 김주혜, 톨스토이 문학상 20여년 만 한인 첫 수상 신상구 210 2024.10.12
2342 소설가 한강, 한국 최초로 노벨문학상 수상 사진 신상구 199 2024.10.11
2341 &lt;특별기고&gt; 제578돌 한글날의 역사적 의의와 사진 신상구 207 2024.10.10
2340 2024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발표 신상구 214 2024.10.10
2339 2024년 노벨 화학상’ 베이커·허사비스·점퍼 공동수상 사진 신상구 191 2024.10.10
2338 서붕 박병배 선생 저서 국가유지론 재발간 사진 신상구 213 2024.10.09
2337 임금 향한 충절만큼이나 한글 사랑했던 사육신 성삼문의 충절과 한글사랑 신상구 215 2024.10.09
2336 노벨 생리의학상에 '마이크로RNA 발견' 美앰브로스·러브컨 사진 신상구 191 2024.10.08
2335 금강산의 화가 소정 변관식 사진 신상구 234 2024.10.08
2334 제4356주년 개천절 경축식 개최 신상구 243 2024.10.03
2333 광기의 역사에 이용당한 청소년 사례 사진 신상구 233 2024.10.03
2332 76주년 국군의날을 경축하며 신상구 209 2024.10.02
2331 왕과 신하의 비밀 대화 독대 사진 신상구 247 2024.09.30
2330 산업데이터 연계로 생산성과 제조업 경쟁력 높여야 신상구 205 2024.09.29
2329 시간이 멈춘 땅, 한반도 허리를 걷다 신상구 208 2024.09.29
2328 항일 현장 촉석루 논개바위는 진주의 자부심 신상구 203 2024.09.28
2327 노벨상/대한민국의 분야별 현황 신상구 201 2024.09.27
2326 세계 한국학의 3세대 등장, 2세대를 뛰어넘을 수 있을까? 사진 신상구 266 2024.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