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학전 이끈 '아침이슬' 김민기 별세 소식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07.22 23:10

                    학전 이끈 '아침이슬' 김민기 별세 소식


집에서 요양 중 악화…유족 측 "가족 등 지인에 '고맙다'고 전해"

1991년 '배움의 밭' 학전 개관…김광석·설경구 거쳐간 예술인 산실

가수 시절 대표곡 '아침이슬'·'상록수'는 저항정신 상징

대학로 소극장 학전 이끈 가수 김민기 별세
대학로 소극장 학전 이끈 가수 김민기 별세

(서울=연합뉴스) 대학로 소극장의 상징 '학전'을 30여년간 운영하며 후배 예술인을 배출해 온 가수 김민기가 21일 지병으로 별세했다. 향년 73세.
지난 2011년 2월 21일 극단 '학전'의 창단 20주년을 맞아 서울 종로구 동숭동 대학로에서 고인이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2024.7.22[연합뉴스 자료사진]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임순현 오보람 최주성 기자 = 대학로 소극장의 상징 '학전'을 30여년간 운영하며 후배 예술인을 배출해 온 가수 김민기가 위암 투병 끝에 21일 별세했다. 향년 73세.

김민기의 조카이자 학전 총무팀장인 김성민 씨는 22일 서울 대학로 학림다방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댁에서 요양 중이던 선생님(김민기)의 건강이 지난 19일부터 조금 안 좋아졌고 20일 오전 응급실을 찾았다"며 "병원에 갔을 때부터 상태가 좋지 않아 다음 날 오후 8시 26분에 돌아가셨다"고 밝혔다.

김씨는 고인이 눈을 감기 직전 유언이 없었느냐는 질문에 "갑작스럽게 떠나셨지만 3∼4개월 전부터 가족 등 가까운 사람들에게 고맙다는 말을 많이 하셨다"며 "학전과 관련해선 '지금 끝내는 게 맞다. 나는 할 만큼 다 했다'고 말씀하셨다"고 전했다.

이어 "선생님은 배우 설경구, 장현성 씨가 와도 '밥은 먹었냐'고 하실 분"이라며 "(평소 성격을 미뤄) 가족들과 상의한 끝에 조의금과 조화를 받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

김민기는 1951년 전북 익산에서 10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경기중·고등학교를 다닐 당시 미술에 몰두했던 학생이었으나 1969년 서울대학교 회화과에 입학한 뒤 붓을 놓고 가수의 길로 접어들었다.

서울대학교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고(故)김민기 학전 대표 빈소
서울대학교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고(故)김민기 학전 대표 빈소

[학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획일적인 수업 방식에 거부감을 드러낸 그는 1학년 1학기를 마친 뒤 고등학교 동창 김영세와 포크송 듀오 '도비두'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1970년 명동 '청개구리의 집'에서 공연을 열며 그를 대표하는 곡 '아침이슬'을 작곡했다.

양희은이 노래한 '아침이슬'은 대학생들의 입에서 입으로 퍼져나갔다. 1987년 민주항쟁 당시 광장에 모인 군중들은 '아침이슬'을 부르며 저항정신을 되새겼다.

실상 고인의 가수 생활은 외압에 맞선 저항의 역사였다. 1971년 발표한 데뷔 음반 '김민기'는 출반 직후 압수당했다. '꽃 피우는 아이', '늙은 군인의 노래', '상록수' 등 그의 노래들은 줄줄이 금지곡으로 지정됐다.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봉제 공장과 탄광에서 일하면서도 노래로 생각을 드러내는 데 주저함이 없었다. 1977년 봉제 공장에서 일하며 '상록수'를 작곡해 발표했고, 1984년에는 민중가요 노래패 '노래를 찾는 사람들'을 결성해 프로젝트 음반을 발매했다.

학전 소극장 건물
학전 소극장 건물

[연합뉴스 자료 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연극에도 활발히 참여했던 고인은 1973년 김지하의 희곡 '금관의 예수'와 이듬해 마당극 '아구' 제작에 참여했다. 1978년 노래극 '공장의 불빛'을 시작으로 1983년 연극 '멈춰선 저 상여는 상주도 없다더냐' 등을 연출했다.

1991년 대학로에 소극장 학전을 개관한 뒤로는 공연을 연출하며 스타들을 배출했다. 그곳에서 1천회 이상 라이브 공연을 열며 팬들과 호흡한 고(故) 김광석은 학전이 배출한 최고 스타였다. 권진원, 나윤선, 윤도현, 정재일 등 음악가들이 학전 출신으로 성장했다.

1994년 초연한 록 뮤지컬 '지하철 1호선'은 한국 뮤지컬 역사에 기념비적 작품으로 남아있다. 김민기는 독일 원작을 한국 정서에 맞게 번안해 2023년까지 8천회 이상 공연을 올리며 70만명이 넘는 관객을 모았다.

김민기 학전 대표
김민기 학전 대표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고인은 2008년 '지하철 1호선'의 4천번째 공연을 올렸을 당시를 학전 역사에서 가장 의미 있는 순간으로 꼽았다. '학전 독수리 5형제'로 불린 설경구·김윤석·황정민·장현성·조승우를 배출하기도 했다.

만성적인 재정난에 시달리면서도 뮤지컬 '의형제'(2000), '개똥이'(2006)와 '어린이극 '우리는 친구다'(2004), '고추장 떡볶이'(2008) 등을 연출하며 대학로 공연 문화를 이끌었다.

올해 3월 15일 학전이 개관 33주년 만에 문을 닫으며 마지막으로 연출한 작품은 '고추장 떡볶이'가 됐다.

그는 학전을 기억하는 이들에게 "좀 더 열심히, 더 많이 뛸 수는 없었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학전을 기억해 주시는 분들에게 감사하다는 말씀을 꼭 전하고 싶다"는 소회를 밝히기도 했다.

'의형제'로 2001년 백상예술대상 연극부분 대상과 연출상을 받았고, '지하철 1호선'으로 한국과 독일 문화교류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독일 정부로부터 괴테 메달을 수상했다.

유족으로는 배우자 이미영 씨와 슬하 2남이 있다.

빈소는 서울대학교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됐다. 유족은 발인일인 24일 오전 옛 학전이 자리한 아르코꿈밭극장에 들렀다가 장지인 천안공원묘원에 유해를 봉안할 예정이다.

                                                      <참고문헌>

   1. 오보람/임순현/최주성, "학전 이끈 '아침이슬' 김민기 별세…할 만큼 다 했다'는 말 남겨"(종합2보), 2024.7.22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5/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030 2018.04.12
2345 고려 남경은 어떻게 조선의 서울이 됐나 신상구 367 2024.10.12
2344 세종대, '2025 THE 세계대학평가' 국내 7위에 올라 신상구 381 2024.10.12
2343 한국계 미국 작가 김주혜, 톨스토이 문학상 20여년 만 한인 첫 수상 신상구 338 2024.10.12
2342 소설가 한강, 한국 최초로 노벨문학상 수상 사진 신상구 321 2024.10.11
2341 &lt;특별기고&gt; 제578돌 한글날의 역사적 의의와 사진 신상구 373 2024.10.10
2340 2024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발표 신상구 393 2024.10.10
2339 2024년 노벨 화학상’ 베이커·허사비스·점퍼 공동수상 사진 신상구 342 2024.10.10
2338 서붕 박병배 선생 저서 국가유지론 재발간 사진 신상구 329 2024.10.09
2337 임금 향한 충절만큼이나 한글 사랑했던 사육신 성삼문의 충절과 한글사랑 신상구 377 2024.10.09
2336 노벨 생리의학상에 '마이크로RNA 발견' 美앰브로스·러브컨 사진 신상구 309 2024.10.08
2335 금강산의 화가 소정 변관식 사진 신상구 492 2024.10.08
2334 제4356주년 개천절 경축식 개최 신상구 411 2024.10.03
2333 광기의 역사에 이용당한 청소년 사례 사진 신상구 358 2024.10.03
2332 76주년 국군의날을 경축하며 신상구 329 2024.10.02
2331 왕과 신하의 비밀 대화 독대 사진 신상구 413 2024.09.30
2330 산업데이터 연계로 생산성과 제조업 경쟁력 높여야 신상구 332 2024.09.29
2329 시간이 멈춘 땅, 한반도 허리를 걷다 신상구 342 2024.09.29
2328 항일 현장 촉석루 논개바위는 진주의 자부심 신상구 329 2024.09.28
2327 노벨상/대한민국의 분야별 현황 신상구 342 2024.09.27
2326 세계 한국학의 3세대 등장, 2세대를 뛰어넘을 수 있을까? 사진 신상구 395 2024.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