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우리 역사 바로잡기에 평생을 바친 고고학자 손보기 선생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5.19 03:42

                                              우리 역사 바로잡기에 평생을 바친 고고학자 손보기 선생                    


     손보기(孫寶基, 1922년 7월 7일 ~ 2010년 10월 31일[1])는 대한민국의 사학자, 고고학자이다.[2] 는 파른이며,[주 1한반도 구석기 연구의 아버지’로 불린다.[3]

   1964년의 충남 공주 석장리 구석기 유적 발굴로 널리 알려졌다.[5] 이 발굴로 한반도에 구석기시대가 존재했음을 처음으로 증명했다. 이로써 ‘일본을 앞서 한반도에 사람이 살고 있지 않았다’라는 일제 식민사학의 주장을 과학적이며 합리적으로 뒤집었다. 그 뒤 92년까지 12차례에 걸쳐 발굴과 조사 작업을 벌였다. 2009년, 손보기의 업적을 기리기 위한 ‘파른 손보기 기념관’이 공주 석장리에 문을 열었다.[3]

   1974년 ~ 1980년에는 충북 제천의 점말동굴유적을 발굴하였으며, 한자와 일본어 용어를 한국어로 대체하여 사용하는 등 대한민국 고고학에 업적을 남겼다.[6]


   1969년부터는 국립중앙도서관에서 구성한 고서위원회에 참여하였으며,[7] 1945년 구입한 《규원사화》 고서에 대하여 1972년 11월 3일, 당시 국립중앙도서관 고서심의의원이었던 이가원(李家源), 임창순(任昌淳)과 함께 조선 중기에 씌여진 진본임을 확인하고 인증서를 작성하여 국립중앙도서관의 직인으로 인증하였다.[8]

또한 1972년부터 직지심경금속활자로 인쇄된 것임을 주장하였고, 이듬해 활자를 연구한 공로로 독일 마인츠시에서 메달을 받는 등,[9] 고인쇄술 연구에도 기여하였다.

  저서로는《한국의 고활자》(1971년),《금속활자와 인쇄술》(1977년),세종대왕집현전》(1985년), 《세종시대의 인쇄출판》(1987년),《한국 구석기학 연구의 길잡이》(1988년),《석장리 선사 유적》(1993년),장보고청해진》(1996년),《공부의 즐거움》(공저, 2006년),《석장리 유적과 한국의 구석기 문화》(2009년)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이조전기정치기구의 기능적 분석〉,〈석장리 자갈돌 찍개문화층〉,〈석장리 후기구석기시대 집자리〉,〈미국에 있어서의 광복운동〉,〈체질학상으로 본 한국사람의 뿌리〉 등이 있다.

  상훈 경력으로는 한국일보 출판문화상, 한국인쇄문화상, 1976년 외솔상 문화부문, 1989년 성곡문화재단상, 1990년 목관문화훈장,  1996년 제2회 용재학술상, 2000년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세종성왕상, 2003년 위암 장지연상 등이 있다.

                                                            <참고문헌>

    1.  "고고학자 손보기", 네이버 나무위키, 2021.5.19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5/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208 2018.04.12
2345 고려 남경은 어떻게 조선의 서울이 됐나 신상구 373 2024.10.12
2344 세종대, '2025 THE 세계대학평가' 국내 7위에 올라 신상구 387 2024.10.12
2343 한국계 미국 작가 김주혜, 톨스토이 문학상 20여년 만 한인 첫 수상 신상구 342 2024.10.12
2342 소설가 한강, 한국 최초로 노벨문학상 수상 사진 신상구 322 2024.10.11
2341 &lt;특별기고&gt; 제578돌 한글날의 역사적 의의와 사진 신상구 376 2024.10.10
2340 2024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발표 신상구 395 2024.10.10
2339 2024년 노벨 화학상’ 베이커·허사비스·점퍼 공동수상 사진 신상구 345 2024.10.10
2338 서붕 박병배 선생 저서 국가유지론 재발간 사진 신상구 333 2024.10.09
2337 임금 향한 충절만큼이나 한글 사랑했던 사육신 성삼문의 충절과 한글사랑 신상구 382 2024.10.09
2336 노벨 생리의학상에 '마이크로RNA 발견' 美앰브로스·러브컨 사진 신상구 313 2024.10.08
2335 금강산의 화가 소정 변관식 사진 신상구 499 2024.10.08
2334 제4356주년 개천절 경축식 개최 신상구 416 2024.10.03
2333 광기의 역사에 이용당한 청소년 사례 사진 신상구 361 2024.10.03
2332 76주년 국군의날을 경축하며 신상구 332 2024.10.02
2331 왕과 신하의 비밀 대화 독대 사진 신상구 421 2024.09.30
2330 산업데이터 연계로 생산성과 제조업 경쟁력 높여야 신상구 337 2024.09.29
2329 시간이 멈춘 땅, 한반도 허리를 걷다 신상구 345 2024.09.29
2328 항일 현장 촉석루 논개바위는 진주의 자부심 신상구 331 2024.09.28
2327 노벨상/대한민국의 분야별 현황 신상구 344 2024.09.27
2326 세계 한국학의 3세대 등장, 2세대를 뛰어넘을 수 있을까? 사진 신상구 397 2024.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