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과학의 날을 맞이하여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4.23 10:12


                                                                                  과학의 날을 맞이하여

        
   
     1934년 4월 19일, 식민지 조선의 일반인들에게 과학사상을 보급하기 위한 ‘과학데이’ 관련 행사가 서울(당시 ‘경성’), 평양, 선천 등에서 개최되었다. 서울 행사는 중앙기독교청년회관(YMCA)에서 열렸는데, ‘과학의 개념’, ‘산업과 발명’, 그리고 ‘화학공업의 현재와 장래’에 대한 강연이 있었으며, 이날 청강자는 800여 명이었다고 한다. 평양의 백선행 기념관에서 개최된 평양 행사에서는 ‘물질과학과 상식’, ‘과학의 힘으로 조선을 개척하자’라는 강연이 있었고, 기독교회가 최초로 설립된 선천에서도 ‘현대물질의 구조’, ‘유전에 관하야’라는 강연이 있었다.

[이미지=utoimage]


     당시 ‘과학데이’를 주도한 김용관 선생은 일본 유학 중에 일본의 공업 발전과 근대화에 충격을 받았다. 이에 “조선의 독립을 위해서는 미신 타파, 문맹 퇴치와 더불어 과학지식을 전 조선인들에게 보급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이에 조선의 여러 지식인들을 모아 우리나라 최초의 과학진흥단체인 ‘발명학회’를 설립하고, 우리 역사 최초의 과학종합잡지인 《과학조선》을 발행했다. 그리고 각계 인사들과 함께 1934년 4월 19일, 찰스 다윈의 사망일을 기념하며 ‘과학데이’ 행사를 개최했다.

    ‘과학데이’는 당시 식민지 조선의 일반인들이 아주 오랜 풍습과 미신을 타파하고 합리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사회적 변화의 시작점이 되었으며, 암울했던 일제강점기에 과학기술을 대중화함으로써 우리 민족의 역량을 키웠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미가 있는 날이다.

     첫 ‘과학데이’에는 당시 첨단기술의 집합체였던 자동차들이 1934년 4월 19일 정오를 기해 시내 중심가에서 열을 지어 행진했다. 차량들은 라디오와 축음기, 확성기를 장착하고 행진곡을 방송하면서 시내를 활보했다. 저녁에는 특별강연을 했다. 평양에서는 당시 ‘3극 진공관 출력’에 관한 논문으로 미국 인디애나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조응천 물리학 선생이 강연자로 나왔다. 조응천 선생은 라디오에 대해 설명하면서 증폭기와 통신의 원리도 곁들였다.

                                                                 ▲최정식 보안뉴스 발행인[사진=보안뉴스]

 

    이렇듯 일제강점기의 첨단기술 분야는 자동차, 라디오와 통신, 그리고 유전 공학이었다. 그런데 재미있는 사실은 80여 년이 훌쩍 넘은 지금도 이 분야가 전 세계적 관심 사항이라는 점이다. 자율주행 자동차, 스마트폰과 5G, 그리고 ‘바이오(Bio)’와 ‘의료’로 진화되었을 따름이다. 그러니 일제시대에 우리 대중의 관심이 지속되었더라면 아마도 해방 후 우리의 과학기술은 세계적인 수준으로 성장할 수 있었을 것이다. 당시 우리를 압제하던 조선총독부도 이를 우려했는지 제5회 과학데이 행사 후, 항일운동 주도 혐의로 김용관 선생 등 관계자들을 체포함으로써 과학지식 보급을 차단했다. 이러한 역사적 단절이 너무나 안타깝다. 또한, 성과와 실적만 중시하는 요즘 세태에서 과학기술인에게만 자긍심과 애국심을 요구하는 것 역시 안타까운 현실이다.

    ‘제54회 과학의 날’을 맞이하여, 과학기술이 국가 경제를 부강하게 해줄 ‘성장 엔진’이요, ‘원동력’이라는 사실을 정부와 국민들이 다시 한 번 인식해야 한다. 그리고 과학기술인들이 자긍심과 의욕을 고취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특히, 기술전쟁이 첨예하게 벌어지고 있는 인공지능, 반도체, 사이버보안 등 핵심 분야의 우수한 인재를 많이 확보해야 한다. 그래야 이 치열한 기술전쟁에서 이길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선 이들이 열정과 도전정신을 발휘하여 그들의 아이디어를 현실화시킬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최정식, "과학의 날을 맞이하여", 보안뉴스, 2021.4.20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5/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546 2018.04.12
2345 고려 남경은 어떻게 조선의 서울이 됐나 신상구 381 2024.10.12
2344 세종대, '2025 THE 세계대학평가' 국내 7위에 올라 신상구 391 2024.10.12
2343 한국계 미국 작가 김주혜, 톨스토이 문학상 20여년 만 한인 첫 수상 신상구 351 2024.10.12
2342 소설가 한강, 한국 최초로 노벨문학상 수상 사진 신상구 331 2024.10.11
2341 &lt;특별기고&gt; 제578돌 한글날의 역사적 의의와 사진 신상구 385 2024.10.10
2340 2024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발표 신상구 400 2024.10.10
2339 2024년 노벨 화학상’ 베이커·허사비스·점퍼 공동수상 사진 신상구 355 2024.10.10
2338 서붕 박병배 선생 저서 국가유지론 재발간 사진 신상구 337 2024.10.09
2337 임금 향한 충절만큼이나 한글 사랑했던 사육신 성삼문의 충절과 한글사랑 신상구 392 2024.10.09
2336 노벨 생리의학상에 '마이크로RNA 발견' 美앰브로스·러브컨 사진 신상구 321 2024.10.08
2335 금강산의 화가 소정 변관식 사진 신상구 513 2024.10.08
2334 제4356주년 개천절 경축식 개최 신상구 422 2024.10.03
2333 광기의 역사에 이용당한 청소년 사례 사진 신상구 370 2024.10.03
2332 76주년 국군의날을 경축하며 신상구 339 2024.10.02
2331 왕과 신하의 비밀 대화 독대 사진 신상구 428 2024.09.30
2330 산업데이터 연계로 생산성과 제조업 경쟁력 높여야 신상구 344 2024.09.29
2329 시간이 멈춘 땅, 한반도 허리를 걷다 신상구 353 2024.09.29
2328 항일 현장 촉석루 논개바위는 진주의 자부심 신상구 337 2024.09.28
2327 노벨상/대한민국의 분야별 현황 신상구 358 2024.09.27
2326 세계 한국학의 3세대 등장, 2세대를 뛰어넘을 수 있을까? 사진 신상구 403 2024.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