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대전 유일 독립운동가 정완진 옹 "진정한 독립은 통일" 희망 남기고 타계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4.17 01:18

                                              대전 유일 독립운동가 정완진 옹 "진정한 독립은 통일" 희망 남기고 타계


AKR20210414159200504_01_i_P4
빼앗긴 조국을 되찾기 위해 16살 나이로 독립운동에 가담했던 대전 유일의 생존 독립운동가 정완진 옹이 14일 눈을 감았다. 향년 94세.

경북 김천 태생인 정완진 옹은 대구상업학교 재학 중인 1943년 4월 항일결사조직 태극단에 가입해 나라를 되찾기 위한 독립운동을 했다. 조국 광복을 염원한 태극단은 무장항일투쟁 준비와 군사관계서적 번역·폭발물 제조 연구 등을 하던 중 동료의 밀고로 전원 체포됐다. 정완진 옹은 6개월가량 수감된 채 갖은 고문을 당했다. 함께 독립운동을 하던 동지를 잃기도 했다.

정부는 독립운동에 헌신한 정완진 옹의 공훈을 인정해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과 1963년 대통령 표창을 수여했다.

대전 유성구 계산동에 거주하던 정완진 옹은 생전 여러 차례 중도일보 인터뷰를 통해 70여 년 전 조국 해방의 기쁨을 전한 바 있다. 정완진 옹은 1945년 8월 15일을 '생애 최고의 감격'이라고 회고했다.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을 기념하기 위한 3·1절도 정완진 옹에겐 특별하다. 1930년 3월 1일 기미독립선언일을 기념해 쓰인 심훈의 시(詩) '그날이 오면'을 여러 번 언급했던 정완진 옹은 그 정신을 특별히 여겼다. 각계 전언에 따르면 정완진 옹은 기력이 쇠약하던 중에도 지난 3·1절 무렵 의식과 기운이 평소보다 좋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조선민족 단결로 독립을 위해 투쟁하며 나아가 세계인류의 영원한 평화·자유·평등을 찾는다'는 태극단의 강령처럼 정완진 옹은 나라를 되찾은 오늘날 진정한 광복은 '평화 통일'에 있다고 강조했다.

광복 70주년이던 2015년 정완진 옹은 본보 인터뷰에서 "광복으로 긍정적인 면도 있었지만 한국전쟁 후 남북 분단이라는 어두운 측면도 남아 있다"며 "앞으로 자주적이고 평화적인 방법으로 한반도 통일을 이루는 것이 진정한 광복의 길"이라고 말한 바 있다.

2018080901000862000037571
비록 평화 통일의 염원을 끝내 목격하지 못한 채 영면했지만 그의 뜻과 정신을 이어받고자 하는 각계 인사들의 추모가 이어지고 있다. 유성구청장 시절부터 광복절과 명절 등 주요 시기에 정완진 옹을 찾아간 허태정 대전시장은 지난 14일 밤 장례식장을 찾아 조문하고 SNS를 통해 명복을 전했다. 허 시장은 지난 2월 설 명절을 앞두고도 정완진 옹의 자택을 방문한 바 있다. 정용래 유성구청장은 15일 오전 조문 후 "독립운동에 헌신하시고 나라 발전을 위해 노력해오신 뜻을 잘 받들어 튼튼하고 부강한 나라를 만드는 데 더 열심히 노력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정완진 옹은 16일 대전현충원에 애국지사 제6묘역에 잠든다.
                                                                                          <참고문헌>

    1. 임효인, " 대전 유일 독립운동가 정완진 옹 "진정한 독립은 통일" 희망 남기고 타계", 중도일보, 2021.4.16일자. 7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5/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548 2018.04.12
2345 고려 남경은 어떻게 조선의 서울이 됐나 신상구 381 2024.10.12
2344 세종대, '2025 THE 세계대학평가' 국내 7위에 올라 신상구 391 2024.10.12
2343 한국계 미국 작가 김주혜, 톨스토이 문학상 20여년 만 한인 첫 수상 신상구 351 2024.10.12
2342 소설가 한강, 한국 최초로 노벨문학상 수상 사진 신상구 332 2024.10.11
2341 &lt;특별기고&gt; 제578돌 한글날의 역사적 의의와 사진 신상구 385 2024.10.10
2340 2024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발표 신상구 400 2024.10.10
2339 2024년 노벨 화학상’ 베이커·허사비스·점퍼 공동수상 사진 신상구 355 2024.10.10
2338 서붕 박병배 선생 저서 국가유지론 재발간 사진 신상구 337 2024.10.09
2337 임금 향한 충절만큼이나 한글 사랑했던 사육신 성삼문의 충절과 한글사랑 신상구 392 2024.10.09
2336 노벨 생리의학상에 '마이크로RNA 발견' 美앰브로스·러브컨 사진 신상구 321 2024.10.08
2335 금강산의 화가 소정 변관식 사진 신상구 514 2024.10.08
2334 제4356주년 개천절 경축식 개최 신상구 422 2024.10.03
2333 광기의 역사에 이용당한 청소년 사례 사진 신상구 370 2024.10.03
2332 76주년 국군의날을 경축하며 신상구 339 2024.10.02
2331 왕과 신하의 비밀 대화 독대 사진 신상구 429 2024.09.30
2330 산업데이터 연계로 생산성과 제조업 경쟁력 높여야 신상구 344 2024.09.29
2329 시간이 멈춘 땅, 한반도 허리를 걷다 신상구 353 2024.09.29
2328 항일 현장 촉석루 논개바위는 진주의 자부심 신상구 337 2024.09.28
2327 노벨상/대한민국의 분야별 현황 신상구 358 2024.09.27
2326 세계 한국학의 3세대 등장, 2세대를 뛰어넘을 수 있을까? 사진 신상구 403 2024.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