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한강 노벨문학상, 한국 문화의 새 역사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10.15 10:21


                                                    한강 노벨문학상, 한국 문화의 새 역사

소설가 한강이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한씨의 노벨문학상 수상은 한국 문학의 높은 수준을 세계 최고 권위의 문학상을 통해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한씨 개인의 영예일 뿐 아니라 국가적 쾌거이기도 하다. 이로써 노벨문학상 수상자 배출이라는 한국 문학의 오랜 숙원이 풀리게 됐다. 한·중·일 동아시아 3국 가운데 유일하게 노벨 문학상을 받지 못한 나라에서도 벗어났다.

한강은 우리 작가들 가운데 노벨문학상의 본고장이라 할 수 있는 유럽에서 가장 잘 알려진 작가다. 2016년 ‘채식주의자’로 노벨문학상·공쿠르상과 함께 세계 3대 문학상으로 꼽히는 영국 맨부커상을 수상했고, 지난해에도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프랑스 4대 문학상 중 하나인 메디치상을 수상하며 한국 작가 중 노벨문학상에 가장 가깝게 다가갔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여기에는 한강 자신의 문학적 역량이 가장 크게 작용했겠지만, 한국을 노벨문학상 수상 국가 반열에 올리기 위해 한국문학번역원과 대산문화재단 등이 번역 지원을 통해 우리 문학을 꾸준히 세계에 알려온 공도 컸다.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은 개인의 영광을 넘어 문화 강국 한국의 국제적 위상을 높여주는 계기가 될 것이다. 우리 문학 작품을 읽고자 하는 세계 각국 문학 독자들의 주목을 받으며 한국 문학 시장의 규모를 전에 없이 키우고, 한국 문학 국제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 분명하다. 일본과 중국 문학도 노벨 문학상 수상 이후 세계 시장에 본격적으로 뻗어나갈 수 있었다. 노벨문학상 수상자를 배출한 나라들의 선례에서 볼 수 있듯, 우리 문학 작품이 영화와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으로 제작되는 파급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한국 문화에 대한 세계의 관심은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뜨겁다.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의 K팝에 열광하고, ‘기생충’ ‘오징어 게임’ 등 한국 영화와 드라마는 아카데미상과 에미상의 주인공이 됐다.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등 글로벌 OTT는 한국인 감독이 만들거나 배우가 출연하고 한국을 배경으로 한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여기에 한국 문학도 가세하며 한국은 명실상부 대중문화뿐 아니라 문학에서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발돋움하게 됐다. 한반도 역사에 일찍이 없었던 큰 성취가 이어지고 있다.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을 거듭 축하한다.

                                                                    <참고문헌>

  1. "한강 노벨문학상, 한국 문화발전을 상징하는 쾌거", 조선일보, 2024.10.11일자. A31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4/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02055 2018.04.12
2365 강남 압구정과 한명희1 사진 신상구 328 2024.10.26
2364 압구정과한명희 사진 신상구 146 2024.10.26
2363 <특별기고>독도의 날의 역사적 의의와 기념행사 신상구 194 2024.10.26
2362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이 남긴 우리의 과제 신상구 178 2024.10.25
2361 배우 전무송 이야기 사진 신상구 208 2024.10.25
2360 천안시, 석오 이동녕 선생 학술회의 개최 공적 재평가 모색 사진 신상구 177 2024.10.24
2359 3·8민주의거기념관 2024.11.19일 정식 개관 이전 기사보기다음 기 신상구 518 2024.10.24
2358 소년이 묻는다, 인간이란 무엇인가 신상구 181 2024.10.22
2357 석오 이동녕 선생 재조명 학술대회 신상구 176 2024.10.22
2356 노벨상 수상이 가져다 줄 베이스캠프 효과 사진 신상구 189 2024.10.22
2355 항일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인 길영희 선생의 생애와 업적과 사상 신상구 187 2024.10.20
2354 한강 문학은 통치술에 대한 감각적 불복종 사진 신상구 203 2024.10.19
2353 조선의 K소설, 한강의 선배들 신상구 198 2024.10.18
2352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이 떠올려준 생각들 신상구 173 2024.10.18
>> 한강 노벨문학상, 한국 문화의 새 역사 신상구 194 2024.10.15
2350 ‘한강의 기적’에 분노하는 사람들 신상구 198 2024.10.15
2349 세계 문학계 '포스트 한강 누구냐' 주목 신상구 179 2024.10.15
2348 『통합정치와 리더십』에서 경합과 협치의 정치 방안 모색 사진 신상구 170 2024.10.13
2347 육영수 여사와의 추억 신상구 181 2024.10.13
2346 청의 간섭에도 美 공사관에 태극기 걸며 '자주 외교' 펼쳤죠 사진 신상구 186 2024.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