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이승만과 김창룡, 6.25전쟁에서 대한민국 지켰다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09.06 02:10

                                       이승만과 김창룡, 6.25전쟁에서 대한민국 지켰다

                          이대인 한국정보문화연구원장, '이승만포럼'서 "이승만이 국방과 국법질서의 머리였다면, 김창룡은 손발..."


  “이승만이 국방과 국법질서의 머리였다면, 김창룡은 손발 이었다. 반공의 선봉장, 타공(打共)의 영웅, 멸공의 일인자, 부정부패 척결의 선봉장인 김창룡 장군의 뇌리에는 군과 자유 대한민국, 그리고 국가를 이끌어 가는 이승만 대통령만이 존재했다. 1948년 10월 10일의 여순사건 직후부터 김창룡이 주도한 숙군 사업이 없었다면, 6·25전쟁에서 자유대한민국은 지구상에서 사라졌을 것이다.” 13일 오후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이승만포럼’에서 이대인 한국정보문화연구원장이 토로한 발표 내용이다.

 이대인 한국정보문화연구원장은 이 날 프레스센터 기자회견장에서 발표한 ‘이승만과 김창룡’을 주제로 한 강연에서 이렇게 말하고 “건국 대통령 이승만 박사는 국방을 국가정책의 제1순위라는 신념으로 일관한 인물"이라며 이 박사를 “서독의 아데나워 수상, 일본의 기시 수상과 함께 지난 세기 세계사를 움직였던 3인의 한 사람”이라고 지칭했다.

 ▲ 13일 뉴데일리가 주관한 '이승만 포럼'에서 '이승만과 김창룡'제하로 강연하고 있는 이대인 한국정보문화연구원장ⓒkonas.net

 그는 또, “리더십 전문가인 웨런 버니스가 지적하였듯이, 역사상 성공한 지도자들은 최악의 절망감을 겪은 뒤 삶에 대한 신념을 새롭게 하고, 꼭 필요한 것이라고 판단하는 일에 모든 인생을 건다”며 이승만과 김창룡이 그러한 경우라고 주장했다.

 특히, 이 원장은 이승만 박사가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할 수 있도록 손발이 되어준 사람이 ‘대한민국특무대장 김창룡’이라며 그의 사상과 업적을 조명했다.

 이 원장은 김창룡에 대해 “6·25전쟁 기간과 휴전 후에 이승만 정권을 넘보던 군내부의 세 차례 쿠데타 시도를 막고 두 차례의 대통령 암살 기도를 차단했다”며 김창룡의 공적을 “2차대전 후 건국된 다수의 신생국들이 군부 쿠데타와 부정부패의 악순환에서 벗어나지 못했던 사실에 비추어 보면 더욱 더 가치가 있어 보인다”고 표명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각에서는 김창룡 장군에 대해 ‘자신의 영달을 꾀하는 폭군, 이승만 독재의 사병, 정치의 시녀, 친일파, 김구 선생 암살의 배후 인물’로 왜곡되고 있다며 안타까워 하면서 사실이 아님을 강조했다.

 이 원장은 김창룡 장군의 출생과 관동군 특무대 발탁 후 활약 상, 2차례의 사형수 신세, 탈출 월남, 군 입대와 숙군과정 등을 소개 하면서 “그가 벌인 활약 중 6·25직전까지 이루어진 남한내의 숙군작업은 군사 전문가들도 그로 인해 6.25전쟁 중 UN군 투입이 가능했다고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김창룡 장군은 6·25전쟁 발생부터 1956년 1월 30일, 저격을 받아 사망하기까지 "이승만 대통령 저격범 유시태 사건 처리, 군부의 세 차례 쿠데타 시도·부정부패 척결, 부산 정치파동과 군부 쿠데타 모의 수습 등으로 당시 대한민국 체제 전복 예방에 혼신의 노력을 기울여 왔다"며 김창룡 장군의 일생이 국민들에게 왜곡되지 않고 올바르게 전달 되어 그의 넋이 참된 가치로 위로 되기를 염원했다.(Konas)

                                                                                                <참고문헌>

   1. 이영찬, "이승만과 김창룡, 6.25전쟁에서 대한민국 지켰다", Konas, 2011.7.14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4/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75260 2018.04.12
2365 강남 압구정과 한명희1 사진 신상구 92 2024.10.26
2364 압구정과한명희 사진 신상구 68 2024.10.26
2363 <특별기고>독도의 날의 역사적 의의와 기념행사 신상구 81 2024.10.26
2362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이 남긴 우리의 과제 신상구 73 2024.10.25
2361 배우 전무송 이야기 사진 신상구 76 2024.10.25
2360 천안시, 석오 이동녕 선생 학술회의 개최 공적 재평가 모색 사진 신상구 69 2024.10.24
2359 3·8민주의거기념관 2024.11.19일 정식 개관 이전 기사보기다음 기 신상구 64 2024.10.24
2358 소년이 묻는다, 인간이란 무엇인가 신상구 76 2024.10.22
2357 석오 이동녕 선생 재조명 학술대회 신상구 73 2024.10.22
2356 노벨상 수상이 가져다 줄 베이스캠프 효과 사진 신상구 75 2024.10.22
2355 항일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인 길영희 선생의 생애와 업적과 사상 신상구 83 2024.10.20
2354 한강 문학은 통치술에 대한 감각적 불복종 사진 신상구 87 2024.10.19
2353 조선의 K소설, 한강의 선배들 신상구 87 2024.10.18
2352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이 떠올려준 생각들 신상구 81 2024.10.18
2351 한강 노벨문학상, 한국 문화의 새 역사 신상구 87 2024.10.15
2350 ‘한강의 기적’에 분노하는 사람들 신상구 96 2024.10.15
2349 세계 문학계 '포스트 한강 누구냐' 주목 신상구 79 2024.10.15
2348 『통합정치와 리더십』에서 경합과 협치의 정치 방안 모색 사진 신상구 72 2024.10.13
2347 육영수 여사와의 추억 신상구 81 2024.10.13
2346 청의 간섭에도 美 공사관에 태극기 걸며 '자주 외교' 펼쳤죠 사진 신상구 82 2024.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