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21세기 교육의 방향: 들뢰즈(Deleuze)의 생성적 교육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08.08 07:54

                                      21세기 교육의 방향: 들뢰즈(Deleuze)의 생성적 교육


최재모 대전동부교육지원청 교육장

들뢰즈의 철학은 오늘날 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고 있다. 그의 저서 '차이와 반복'에 나타난 '되기의 철학'과 '천 개의 고원'에 제시된 '노마디즘'은 고정된 정체성과 위계질서에 얽매이지 않는 사유를 통해 21세기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먼저, '되기의 철학'은 고정된 정체성을 거부하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과정'을 강조한다. 전통적인 교육에서는 이상적 틀로서의 인간상을 제시하고, 학생들을 이러한 이상적 인간상에 부합하는 존재로 만들기 위해, 그에 걸맞은 지식과 기술을 주입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하지만 들뢰즈의 관점에서 볼 때, 이는 학생들의 잠재력을 억누르고 고정된 틀에 가두는 것이다.

대신 '되기의 철학'에 바탕을 둔 교육에서는 학생들을 끊임없이 변화하며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나가는 존재로 본다. 21세기 교육은 학교가 이러한 '되기'의 과정을 자유롭게 펼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교육 현장에서는 학생 개개인의 차이와 다양성을 존중하고, 그들이 자신만의 독특한 경로를 탐색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한편 들뢰즈의 '노마디즘'은 고정된 위계질서를 거부하고 수평적인 연결망을 강조한다. 전통적인 교육이 교사-학생, 학교-사회 등의 수직적인 관계 속에서 이루어졌다면, '노마디즘'은 이러한 위계질서를 허물고 모든 구성원이 자유롭게 소통하며 새로운 연결고리를 만들어 나가는 것을 지향한다. 이를 교육 현장에 적용하면,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간의 수평적 관계 형성이 중요해진다. 교사는 더 이상 지식의 권위자가 아니라 학생들과 함께 배우고 성장하는 동반자가 되어야 한다. 또한 학생들 간의 자유로운 교류와 협력을 통해 새로운 지식과 아이디어가 생성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한다.

이처럼 들뢰즈의 '되기의 철학'과 '노마디즘'은 21세기의 생성적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고정된 정체성과 위계질서를 넘어서, 학생 개개인의 잠재력을 자유롭게 발현시키고 구성원 간의 수평적 관계를 통해 새로운 지식과 가치를 생성하는 교육이 필요한 시대이다.

                                                    <참고문헌>

    1. 최재모, "21세기 교육의 방향: 들뢰즈(Deleuze)의 생성적 교육", 대전일보, 2024.8.7일자. 18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4/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208 2018.04.12
2365 강남 압구정과 한명희1 사진 신상구 496 2024.10.26
2364 압구정과한명희 사진 신상구 260 2024.10.26
2363 <특별기고>독도의 날의 역사적 의의와 기념행사 신상구 298 2024.10.26
2362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이 남긴 우리의 과제 신상구 292 2024.10.25
2361 배우 전무송 이야기 사진 신상구 324 2024.10.25
2360 천안시, 석오 이동녕 선생 학술회의 개최 공적 재평가 모색 사진 신상구 274 2024.10.24
2359 3·8민주의거기념관 2024.11.19일 정식 개관 이전 기사보기다음 기 신상구 827 2024.10.24
2358 소년이 묻는다, 인간이란 무엇인가 신상구 300 2024.10.22
2357 석오 이동녕 선생 재조명 학술대회 신상구 274 2024.10.22
2356 노벨상 수상이 가져다 줄 베이스캠프 효과 사진 신상구 298 2024.10.22
2355 항일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인 길영희 선생의 생애와 업적과 사상 신상구 301 2024.10.20
2354 한강 문학은 통치술에 대한 감각적 불복종 사진 신상구 308 2024.10.19
2353 조선의 K소설, 한강의 선배들 신상구 310 2024.10.18
2352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이 떠올려준 생각들 신상구 297 2024.10.18
2351 한강 노벨문학상, 한국 문화의 새 역사 신상구 300 2024.10.15
2350 ‘한강의 기적’에 분노하는 사람들 신상구 331 2024.10.15
2349 세계 문학계 '포스트 한강 누구냐' 주목 신상구 282 2024.10.15
2348 『통합정치와 리더십』에서 경합과 협치의 정치 방안 모색 사진 신상구 270 2024.10.13
2347 육영수 여사와의 추억 신상구 306 2024.10.13
2346 청의 간섭에도 美 공사관에 태극기 걸며 '자주 외교' 펼쳤죠 사진 신상구 291 2024.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