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광복, 소중한 유산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08.08 07:20


                                                                                                         광복, 소중한 유산


태극기 휘날리는 광복의 그날, 거리에 울려 퍼졌던 만세 소리를 기억하는 이들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오늘날 우리나라 국민의 95%는 그 역사적인 순간을 직접 경험하지 못했다. 혹시 우리는 선조들의 피와 땀으로 되찾은 광복의 의미를 단순히 역사책 속 한 페이지로, 또는 매년 돌아오는 빨간날로만 여기고 있지는 않은가.

광복은 단순한 과거의 사건이 아니다. 그것은 우리의 현재이자 미래이며, 우리 모두의 가슴속에 살아 숨 쉬어야 할 소중한 유산이다. 이 땅의 주인으로 살아가는 우리 한국인에게, 광복의 진정한 의미를 되새기는 것은 우리의 정신이며 정체성이다.

광복 이후 우리 민족은 외세에 의해 남북으로 갈라졌고, 6.25 전쟁이라는 참혹한 비극을 겪었다. 그러나 우리는 불굴의 의지로 이를 극복했다. 폐허 위에서 일어나 세계가 놀랄만한 '한강의 기적'을 일으켰고, 민주화도 이뤄냈다. 오늘날 우리는 K-팝, K-드라마, K-푸드, K-교육 등 한류 문화를 전 세계에 전파하며 선진국 반열에 올랐다.

하지만 눈부신 외적 성장의 이면에는 우리가 주목해야 할 그림자가 있다. 이념, 세대, 성별, 지역 간 갈등이 심화되고 있으며, 물질만능주의의 팽배로 인해 인간 본연의 가치, 인성이 무너지고 있다. 특히 청소년들의 높은 자살률과 낮은 행복지수는 우리 사회의 근본적인 문제를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이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정신의 광복'이다. 물질적 풍요를 넘어 정신적 풍요를 추구해야 할 때다. 우리 선조들이 면면히 이어온 한국인의 정신인 '홍익인간'과 '천지인 정신'을 현대적 맥락에서 재해석하고 적용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우리 시대의 새로운 광복 운동이 돼야 한다.

정신의 광복을 이루기 위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첫째, 상호 이해와 존중의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 다양성을 인정하는 가운데 공통의 가치를 찾아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우리 사회의 갈등을 해소하고 화합을 이룰 수 있다.

둘째, 공동체 의식을 회복해야 한다. 극단적 개인주의를 넘어 우리 사회 구성원 모두가 연결돼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개인의 성공이 곧 사회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상생의 정신을 되살려야 한다.

셋째, 물질적 가치와 정신적 가치의 균형을 추구해야 한다. 경제적 성장과 함께 삶의 질 향상과 정신적 풍요로움을 동시에 추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 문화, 예술, 교육에 대한 투자와 관심을 높여야 한다.

넷째, 미래 세대를 위한 교육 혁신이 필요하다. 경쟁 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인성을 바탕으로 개개인의 잠재력을 발견하고 키워주는 교육으로 전환해야 한다. 이를 통해 우리 청소년들의 행복지수를 높이고, 창의적이고 건강한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자연과 인간이 공생하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자연환경의 가치와 중요성을 인식하고, 생태계 보전에 힘써야 한다. 또한 국가 이기주의를 넘어 지구촌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책임을 다해야 한다.

이번 광복절을 맞아, 우리는 단순히 과거를 기념하는 데 그치지 말아야 한다. 이를 미래를 향한 새로운 출발점으로 삼아야 한다. 광복절은 우리의 현재를 돌아보고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가는 계기가 돼야 한다. 오늘 우리 모두가 정신의 광복을 향한 첫걸음을 내딛기를 희망한다. 그것이 우리 선조들의 희생에 보답하는 길이며, 진정한 광복의 의미를 실현하는 길일 것이다.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마음, 공동체를 위해 헌신하는 정신, 자연과 조화롭게 살아가는 지혜를 되살리는 것, 이것이야말로 우리가 후손들에게 물려줄 수 있는 가장 값진 유산이다. 정신의 광복을 통해 우리는 모든 국민이 행복하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진정으로 자유롭고 독립된 대한민국을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1. 권나은, "광복, 소중한 유산", 대전일보, 2024.8.7일자. 18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4/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574 2018.04.12
2365 강남 압구정과 한명희1 사진 신상구 512 2024.10.26
2364 압구정과한명희 사진 신상구 266 2024.10.26
2363 <특별기고>독도의 날의 역사적 의의와 기념행사 신상구 303 2024.10.26
2362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이 남긴 우리의 과제 신상구 298 2024.10.25
2361 배우 전무송 이야기 사진 신상구 332 2024.10.25
2360 천안시, 석오 이동녕 선생 학술회의 개최 공적 재평가 모색 사진 신상구 281 2024.10.24
2359 3·8민주의거기념관 2024.11.19일 정식 개관 이전 기사보기다음 기 신상구 840 2024.10.24
2358 소년이 묻는다, 인간이란 무엇인가 신상구 307 2024.10.22
2357 석오 이동녕 선생 재조명 학술대회 신상구 279 2024.10.22
2356 노벨상 수상이 가져다 줄 베이스캠프 효과 사진 신상구 305 2024.10.22
2355 항일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인 길영희 선생의 생애와 업적과 사상 신상구 307 2024.10.20
2354 한강 문학은 통치술에 대한 감각적 불복종 사진 신상구 319 2024.10.19
2353 조선의 K소설, 한강의 선배들 신상구 317 2024.10.18
2352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이 떠올려준 생각들 신상구 304 2024.10.18
2351 한강 노벨문학상, 한국 문화의 새 역사 신상구 305 2024.10.15
2350 ‘한강의 기적’에 분노하는 사람들 신상구 339 2024.10.15
2349 세계 문학계 '포스트 한강 누구냐' 주목 신상구 285 2024.10.15
2348 『통합정치와 리더십』에서 경합과 협치의 정치 방안 모색 사진 신상구 276 2024.10.13
2347 육영수 여사와의 추억 신상구 311 2024.10.13
2346 청의 간섭에도 美 공사관에 태극기 걸며 '자주 외교' 펼쳤죠 사진 신상구 298 2024.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