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소제동 철도관사촌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2.04.21 13:47

                         소제동 철도관사촌

                                     이희준 건축학박사(대전시문화재전문위원)


   대전은 경부선철도의 부설과 함께 발전한 근대도시이다. 넓은 밭과 논이었던 곳에 철로가 놓이고 대전역이 개통되면서 들판이었던 주변 경관은 완전히 다른 도시의 모습으로 탈바꿈하게 된다. 격자체계의 도로망이 만들어지고 도로변에는 상점들이 지어지고 백화점과 은행, 시장 등이 들어서면서 많은 사람이 혼잡하게 거니는 그야말로 당시로써는 가장 번화한 도시로 변모했던 것이다.

   철도 관련 종사원들이 거주하는 철도관사촌도 대전역 주변 남쪽과 북쪽에 조성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대전역의 규모가 커지고 철도종사원들이 증가하면서 철도관사촌은 대전역 동쪽(현재의 소제동)까지 확장되었는데, 이곳에는 오래전부터 소제마을이라는 전통마을이 자리 잡고 있었고, 마을사람들의 삶과 함께 해왔던 소제호(蘇堤湖)가 위치해 있었다. 그런데 철도관사촌의 규모가 확장됨에 따라 이 마을의 상징이었던 소제호가 메워지고 그 위에 철도관사들이 건축되었다. 결국 철도가 놓이기 이전의 옛 모습은 거의 다 사라지게 되었다.

   해방 이후 한국전쟁과 대전역 주변의 개발로 인해 대전역 남관사촌과 북관사촌은 그 흔적이 없어졌고, 현재는 소제동 철도관사들만 남아 근대기 이 지역의 변화했던 모습들을 보여주고 있다.

   이 철도관사들은 메워진 소제호라는 철도 이전의 시간 위에 중첩된 철도시대라는 새로운 시간을 알려주고 있는 것이다.

   몇 년 전 소제동 관사촌을 관통하는 도로가 개설되면서 10여 채의 철도관사가 철거되었다. 얼마 전에는 이 지역의 재개발이 확정되면서 20여 채의 철도관사가 철거될 위험에 처하게 되었다. 총 40여 채의 철도 관사 중 10여 채만 남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 10여 채의 철도 관사들도 카페, 음식점 등으로 개조되면서 원래의 모습을 보존하고 있는 철도관사는 거의 없다.

   소제동 철도관사촌은 40여 채의 관사들이 하나의 마을을 이루고 있는 곳으로, 현존하는 규모로는 전국에서 가장 크고 오래되었으며 원형도 잘 보존되어 있다. 이에 우리나라 근대기의 건축적·역사적 자료로서 매우 소중하며 그 활용가치도 높다.

   10여 년 전부터 여러 전문가들과 시민단체들은 소제동 철도관사촌을 보존하고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왔다. 당시에는 지금보다 더 많은 철도관사들이 남아 있었고 더 잘 보존되어 있었다. 관사촌 전체를 박물관으로 조성하자는 제안을 했었는데, 마을 일부를 옛 모습 그대로 보존해놓은 서울의 '돈의문 박물관마을' 처럼 실현되었다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크게 남는다.

   어쩔 수 없는 현 상황에서 철거될 수밖에 없는 철도관사들을 어떻게 해야 할까?

   소제동 철도관사촌은 6~8등급의 관사가 남아 있고, 건축된 시기에 따라 평면형태와 마감 재료, 외부형태에 차이가 있다. 이렇게 등급별로, 유형별로 잘 보존되어있는 관사들을 선정하고, 선정된 관사들을 존치구역으로 이전시키는 방법이 아쉬움이 많이 남기는 하지만 현재로서는 최선책이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문화재 이전 복원의 실패사례로 언급되고 있는 뾰족집이나 4채의 소제동 철도관사를 국가등록문화재로 신청했으나 원형 훼손의 문제 등으로 인해 탈락했던 일들을 반면교사(反面敎師) 삼아, 철도관사들을 이전할 때는 최대한 원형을 보존해야 하는 원칙을 지키며 시민을 위한 공간이 되도록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예전에 이곳엔 소제호가 있었고, 그 후엔 철도관사촌이 있었으며, 앞으로는… 또….

   이렇게 '시간의 켜'를 보존함으로써 도시는 역사와 함께하게 되고, 도시 속에 사는 우리는 그 도시의 역사를 이해하고 그 도시의 시민으로서 자긍심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1. 이희원, "소제동 철도관사촌", 중도일보, 2022.4.21일자. 19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4/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030 2018.04.12
2365 강남 압구정과 한명희1 사진 신상구 489 2024.10.26
2364 압구정과한명희 사진 신상구 253 2024.10.26
2363 <특별기고>독도의 날의 역사적 의의와 기념행사 신상구 297 2024.10.26
2362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이 남긴 우리의 과제 신상구 286 2024.10.25
2361 배우 전무송 이야기 사진 신상구 321 2024.10.25
2360 천안시, 석오 이동녕 선생 학술회의 개최 공적 재평가 모색 사진 신상구 272 2024.10.24
2359 3·8민주의거기념관 2024.11.19일 정식 개관 이전 기사보기다음 기 신상구 815 2024.10.24
2358 소년이 묻는다, 인간이란 무엇인가 신상구 295 2024.10.22
2357 석오 이동녕 선생 재조명 학술대회 신상구 269 2024.10.22
2356 노벨상 수상이 가져다 줄 베이스캠프 효과 사진 신상구 293 2024.10.22
2355 항일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인 길영희 선생의 생애와 업적과 사상 신상구 298 2024.10.20
2354 한강 문학은 통치술에 대한 감각적 불복종 사진 신상구 296 2024.10.19
2353 조선의 K소설, 한강의 선배들 신상구 307 2024.10.18
2352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이 떠올려준 생각들 신상구 296 2024.10.18
2351 한강 노벨문학상, 한국 문화의 새 역사 신상구 295 2024.10.15
2350 ‘한강의 기적’에 분노하는 사람들 신상구 326 2024.10.15
2349 세계 문학계 '포스트 한강 누구냐' 주목 신상구 278 2024.10.15
2348 『통합정치와 리더십』에서 경합과 협치의 정치 방안 모색 사진 신상구 267 2024.10.13
2347 육영수 여사와의 추억 신상구 304 2024.10.13
2346 청의 간섭에도 美 공사관에 태극기 걸며 '자주 외교' 펼쳤죠 사진 신상구 286 2024.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