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김환기 화백의 생애와 업적과 작품세계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11.29 03:08

                                                                             김환기 화백의 생애와 업적과 작품세계


   김환기(金煥基) 화백은 1913년 4월 3일 전라남도 신안군 안좌면 읍동리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김해(金海)이고 호는 수화(樹話)이이다.

   안좌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중동중학교를 다니디가 중퇴했다. 도일하여 도쿄 부천정보산업고등학교와 니혼 대학 미술학과를  졸업하고  니혼 대학 대학원에서 미술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1936년 일본 니혼 대학 미술학부를 마치고 도쿄에서 개인전을 개최하였다. 1946년-1949년 사이에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교수를 역임하고 신사실파전(新寫實派展)에 출품했다. 여러 차례 국전 심사위원으로 활약하고 1952년 홍익대 미술학부 교수, 1954년에 예술원 회원이 되었다. 1956년 프랑스로 건너가 파리 엠베지트 화랑을 위시하여 1957년 파리·니스·브뤼셀 등에서 계속 개인전을 가졌다. 1959년 귀국하여 홍익대 교수·초대 예술원 회원·한국미술협회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1963년 제7회 상파울로 비엔날레 한국 대표로 참가하게 되어 브라질로 갔고, 동 국제전의 명예상을 받았으며, 그곳 현대미술관에 작품이 소장되었다. 1964년 이후 부인인 수필가 김향안(金鄕岸, 본명 변동림)과 함께 미국에 체류하며 작품 활동 중 그곳에서 1974년 7월 25일 61세를 일기 사망했다.

   2015년 김환기의 1971년작 작품 <19-Ⅶ-71#209>은 서울옥션 홍콩 경매서 한화 47억 2100만원 (3100만 홍콩달러)에 낙찰되었고, 이로써 이전의 최고가로 남아있던 박수근의 <빨래터>를 제치고 국내 작가 미술품 경매 중 최고가를 기록했다.[4].

   2019년 11월 23일 김환기의 1971년작 작품<Universe 5-IV-71#200>은 크리스티 홍콩 경매서 한화 132억 3600만원 (8800만 홍콩달러)에 낙찰되었고, 한국 미술품 중 최초로 한화 100억을 넘긴 작품이 되었다.[5]

   한국의 서양화가로 한국 근현대미술사를 대표하는 거장으로 서구 모더니즘을 한국화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초창기 추상미술의 선구자였고, 프랑스와 미국에서 활동하며 한국미술의 국제화를 이끌었다. 김환기는 추상 계열에서 벗어나 구상을 추구하면서도 오히려 조형수단의 자율적인 표현을 추구했다. 또한 사실적인 표현보다는 면, 선, 형태, 색체, 리듬 등으로 대상을 조형적으로 새롭게 표현했다.

                                

   전후 14회의 개인전을 국내외에서 가졌고, 1970년 한국일보사 주최 한국미술대상전(韓國美術大賞展)에서 대상을 받았다. 작품경향은 초기의 기하학적인 추상에서 출발하여 동양적인 관조(觀照)와 아취(雅趣)를 근간으로 한 반추상(半抽象)의 세계를 보이다가 도미(渡美) 후에는 완전히 추상화풍으로 전환하여 옵티컬한 양식의 새로운 사조(思潮)를 받아들이고 있음을 보인다.

   그의 대표 작품으로 〈론도〉,〈산〉, 〈산월(山月)〉, 〈야상곡(夜想曲)〉,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등이 있다. 그의 작품 중 〈론도〉는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535호로 등록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1. "김환기 화백", 네이버 위키백과, 2021.12.29.


시청자 게시판

2,426개(4/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574 2018.04.12
2365 강남 압구정과 한명희1 사진 신상구 512 2024.10.26
2364 압구정과한명희 사진 신상구 266 2024.10.26
2363 <특별기고>독도의 날의 역사적 의의와 기념행사 신상구 303 2024.10.26
2362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이 남긴 우리의 과제 신상구 298 2024.10.25
2361 배우 전무송 이야기 사진 신상구 332 2024.10.25
2360 천안시, 석오 이동녕 선생 학술회의 개최 공적 재평가 모색 사진 신상구 281 2024.10.24
2359 3·8민주의거기념관 2024.11.19일 정식 개관 이전 기사보기다음 기 신상구 840 2024.10.24
2358 소년이 묻는다, 인간이란 무엇인가 신상구 307 2024.10.22
2357 석오 이동녕 선생 재조명 학술대회 신상구 279 2024.10.22
2356 노벨상 수상이 가져다 줄 베이스캠프 효과 사진 신상구 305 2024.10.22
2355 항일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인 길영희 선생의 생애와 업적과 사상 신상구 307 2024.10.20
2354 한강 문학은 통치술에 대한 감각적 불복종 사진 신상구 319 2024.10.19
2353 조선의 K소설, 한강의 선배들 신상구 317 2024.10.18
2352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이 떠올려준 생각들 신상구 304 2024.10.18
2351 한강 노벨문학상, 한국 문화의 새 역사 신상구 305 2024.10.15
2350 ‘한강의 기적’에 분노하는 사람들 신상구 339 2024.10.15
2349 세계 문학계 '포스트 한강 누구냐' 주목 신상구 285 2024.10.15
2348 『통합정치와 리더십』에서 경합과 협치의 정치 방안 모색 사진 신상구 276 2024.10.13
2347 육영수 여사와의 추억 신상구 311 2024.10.13
2346 청의 간섭에도 美 공사관에 태극기 걸며 '자주 외교' 펼쳤죠 사진 신상구 298 2024.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