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한국 경제의 우울한 미래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11.09 12:36

                                          한국 경제의 우울한 미래

   한국의 1인당 잠재 GDP 성장률이 2030년 이후엔 OECD 회원국 최하위권으로 추락할 것이란 OECD 전망이 나왔다. 2007∼2020년의 연평균 2.8%에서, 2030∼2060년 0.8%로 떨어져 캐나다와 함께 OECD 38국 중 꼴찌로 내려간다는 것이다. 2039년엔 일본에도 역전될 것으로 전망됐다. ‘잃어버린 20년’을 겪은 대표적인 저성장국 일본보다도 취약한 ‘제로(0) 성장국’으로 전락한다는 것이다.

   근본적인 이유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저출산·고령화와 그에 따른 생산인구 급감 때문이다. 하지만 정부가 적절한 정책 처방으로 대응하면 잠재 성장률 하락 속도를 최대한 늦출 수 있다. 구조 개혁과 산업 재편 등 경쟁력을 높이는 정책으로 성장 활력을 키우는 것이다. 문재인 정부는 반대로 성장 잠재력을 갉아먹는 정책만 펼쳐왔다. 온갖 반기업 규제로 기업 활력을 위축시키고 생산성을 저하시켰다. 노동 개혁과 구조 조정, 미래 먹거리 발굴엔 아예 손을 놓았다. 거기에 온갖 세금 퍼주기로 경제의 최후 보루인 재정까지 부실화시키고 있다. 성장의 발판을 약하게 만든 것이다.

   저성장 속에서도 나랏빚은 선진국 최고 속도로 늘어날 전망이다. IMF는 한국의 향후 5년간 국가부채 증가 속도가 선진 35국 중 가장 빠를 것이라고 예상했다. 선진 35국의 GDP 대비 국가부채 비율이 오는 2026년까지 3.0%포인트 내려가는 반면 한국은 같은 기간 15.4%포인트 상승한다는 것이다.

   미국과 독일·프랑스 등은 코로나 상황이 나아지면서 재정 지출을 내년부터 8~19% 줄이는 재정 감축에 들어가기로 했다. 반면 우리 정부는 내년에도 올해보다 8% 넘게 증액된 604조원의 수퍼 예산을 편성했다. 해마다 적자국채를 100조원씩 발행하고 있다. 세금 퍼붓기를 계속하겠다는 것이다. 차기 정부가 끝나는 2026년엔 국가부채(일반정부 기준) 비율이 66%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현기증 나는 속도가 아닐 수 없다.

   성장률은 최저이고, 부채 증가 속도는 최고가 된다는 것이 한국 경제의 미래다. 문 정부 잘못만도 아니다. 역대 정부의 안일한 대처와 나태가 쌓여 저성장·고부채의 우울한 자화상을 만들었다. 지금이라도 포퓰리즘을 버리고 입에 쓴 약을 먹어야 한다.

                                                                              <참고문헌>

   1.  "잠재성장률 꼴찌, 빚 증가 세계 최고, 한국 경제의 ‘우울한 미래’", 조선일보, 2021.11.9일자. A35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4/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875 2018.04.12
2365 강남 압구정과 한명희1 사진 신상구 525 2024.10.26
2364 압구정과한명희 사진 신상구 270 2024.10.26
2363 <특별기고>독도의 날의 역사적 의의와 기념행사 신상구 308 2024.10.26
2362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이 남긴 우리의 과제 신상구 304 2024.10.25
2361 배우 전무송 이야기 사진 신상구 337 2024.10.25
2360 천안시, 석오 이동녕 선생 학술회의 개최 공적 재평가 모색 사진 신상구 286 2024.10.24
2359 3·8민주의거기념관 2024.11.19일 정식 개관 이전 기사보기다음 기 신상구 856 2024.10.24
2358 소년이 묻는다, 인간이란 무엇인가 신상구 316 2024.10.22
2357 석오 이동녕 선생 재조명 학술대회 신상구 285 2024.10.22
2356 노벨상 수상이 가져다 줄 베이스캠프 효과 사진 신상구 311 2024.10.22
2355 항일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인 길영희 선생의 생애와 업적과 사상 신상구 311 2024.10.20
2354 한강 문학은 통치술에 대한 감각적 불복종 사진 신상구 327 2024.10.19
2353 조선의 K소설, 한강의 선배들 신상구 322 2024.10.18
2352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이 떠올려준 생각들 신상구 311 2024.10.18
2351 한강 노벨문학상, 한국 문화의 새 역사 신상구 309 2024.10.15
2350 ‘한강의 기적’에 분노하는 사람들 신상구 347 2024.10.15
2349 세계 문학계 '포스트 한강 누구냐' 주목 신상구 288 2024.10.15
2348 『통합정치와 리더십』에서 경합과 협치의 정치 방안 모색 사진 신상구 281 2024.10.13
2347 육영수 여사와의 추억 신상구 319 2024.10.13
2346 청의 간섭에도 美 공사관에 태극기 걸며 '자주 외교' 펼쳤죠 사진 신상구 304 2024.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