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등록된 충청권 독립유공자 2021명 중 2021년 현재 생존자는 2명에 불과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8.14 12:55

                                                등록된 충청권 독립유공자 2021명 중 2021년 현재 생존자는 2명에 불과

   광복 76주년을 맞아 조국 독립을 위해 목숨 바친 충청권 애국지사들의 재조명이 시급하다. 그중에서도 대중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은 지역의 애국지사들을 발굴하고, 그들의 정신을 널리 알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교과서에 나오지 않는 선조들에 대한 기록·보전·계승의 작업과 함께 지역 차원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 

   2021년 8월 12일 대전지방보훈청에 따르면 충청에 본적을 둔 독립유공자는 모두 2021명이다. '충절의 고향' 답게 경상도(3649명)와 전라도(2372명), 평안도(2242명) 다음으로 많은 숫자로, 선조들은 오직 조국 독립을 위해 피와 땀을 분연히 바쳤다.

   알려지지 않았을 뿐 이들 외에도 독립운동에 나선 지역의 애국지사들은 많다. 문제는 이들의 구국활동이 크게 조명받지 못한다는 점이다. 후손들을 통해 전해지는 수준에 그친다는 게 광복회 등 독립운동 계승 단체들의 설명이다.  대중적으로 알려진 독립운동가들의 출신지를 보면 대다수 충청이다. 3·1운동 당시 민족 대표 33인으로 참여한 만해 한용운 선생(홍성), 혈혈단신으로 일본 군정 수뇌부에게 폭탄을 던진 윤봉길 의사(예산), 만세운동에 앞장선 유관순 열사(천안), 민족 정체성을 일깨운 신채호 선생(대전), 동학 3대 교주로 만세운동을 계획한 손병희 선생(청주) 등이 대표적이다.

   출신지는 다르나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생존 애국지사들을 중심으로 관심이 일기도 했지만, 세월이 지나며 자연스럽게 잊혀지고 있다.

   대전에선 유일하게 생존하고 있던 정완진 애국지사가 역사를 이어오며 주목받았으나 지난 4월 별세했다. 그는 대구상업학교 재학 당시 항일결사조직 '태극단'에 가입해 독립운동에 나섰다.

   2016년 대전에서 거주하다 별세한 조일문 애국지사는 중국 난징 중앙대학에 다닐 때 비밀결사단체인 '한족동맹'을 조직해 항일운동에 앞장선 인물이다.

   같은 해 광복군으로 활동한 조동빈 애국지사는 자신이 거주하는 천안 한 아파트에서 투신해 주위를 안타깝게 한 뒤 기억 속에서 잊히고 있다. 충남 공주 출신인 정낙진 애국지사도 대전에서 지내다 2015년 별세한 후 관심에서 멀어진 상황이다.

   이제 충청에서 생존 중인 애국지사는 충남 금산 출신의 이일남 지사와 충북 진천에 계신 오상근 애국지사 둘 뿐이다. 더 늦기 전에 주목받지 못한 애국지사들의 구국활동을 재조명하고, 이들의 정신을 계승할 방안을 찾아야 하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윤석경 광복회 대전지부장은 "생존 자체로 의미가 깊은 지역의 애국지사분들이 몇 년 사이 세상을 뜨고 계시다"며 "우리에겐 이분들 뿐만 아니라 지역 출신 애국지사들의 피와 땀이 서린 활동을 널리 알리고, 계승해야 할 책임이 있는 만큼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참고문헌>

    1. 송익준, "[8·15 광복 76주년] 잊혀가는 충청 애국지사, '재조명' 시급", 중도일보, 2021.8.13일자. 4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4/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875 2018.04.12
2365 강남 압구정과 한명희1 사진 신상구 525 2024.10.26
2364 압구정과한명희 사진 신상구 270 2024.10.26
2363 <특별기고>독도의 날의 역사적 의의와 기념행사 신상구 308 2024.10.26
2362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이 남긴 우리의 과제 신상구 304 2024.10.25
2361 배우 전무송 이야기 사진 신상구 337 2024.10.25
2360 천안시, 석오 이동녕 선생 학술회의 개최 공적 재평가 모색 사진 신상구 286 2024.10.24
2359 3·8민주의거기념관 2024.11.19일 정식 개관 이전 기사보기다음 기 신상구 856 2024.10.24
2358 소년이 묻는다, 인간이란 무엇인가 신상구 316 2024.10.22
2357 석오 이동녕 선생 재조명 학술대회 신상구 285 2024.10.22
2356 노벨상 수상이 가져다 줄 베이스캠프 효과 사진 신상구 311 2024.10.22
2355 항일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인 길영희 선생의 생애와 업적과 사상 신상구 311 2024.10.20
2354 한강 문학은 통치술에 대한 감각적 불복종 사진 신상구 327 2024.10.19
2353 조선의 K소설, 한강의 선배들 신상구 322 2024.10.18
2352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이 떠올려준 생각들 신상구 311 2024.10.18
2351 한강 노벨문학상, 한국 문화의 새 역사 신상구 309 2024.10.15
2350 ‘한강의 기적’에 분노하는 사람들 신상구 347 2024.10.15
2349 세계 문학계 '포스트 한강 누구냐' 주목 신상구 288 2024.10.15
2348 『통합정치와 리더십』에서 경합과 협치의 정치 방안 모색 사진 신상구 281 2024.10.13
2347 육영수 여사와의 추억 신상구 319 2024.10.13
2346 청의 간섭에도 美 공사관에 태극기 걸며 '자주 외교' 펼쳤죠 사진 신상구 304 2024.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