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홍범도 장군 유해, 서거 78년만에 고국 품으로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8.14 03:22

                                                                                                               홍범도 장군 유해, 서거 78년만에 고국 품으로

광복절 도착… 18일 대전현충원 안장
청산리-봉오동 전투 승전 이끈 영웅
스탈린 강제이주로 카자흐에 묻혀
文대통령, 현지에 특사단 파견… 건국훈장 최고등급 대한민국장 추서
   일제강점기 청산리·봉오동전투를 승전으로 이끌었던 독립운동가 홍범도 장군(1868∼1943·사진)의 유해가 서거 78년 만에 광복절인 15일 고국으로 돌아온다.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은 12일 브리핑에서 “카자흐스탄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대통령이 문재인 대통령의 초청으로 16, 17일 우리나라를 국빈 방문한다”며 “토카예프 대통령 방한과 연계해 카자흐스탄 키질로르다에 안장돼 있는 여천 홍범도 장군의 유해를 모셔올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15일 오후 도착하는 홍 장군의 유해는 16, 17일 이틀간 국민 추모 기간을 거친 후 18일 대전현충원에 안장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유해 봉환을 위해 14일 황기철 국가보훈처장을 특사로 하는 특사단을 카자흐스탄에 파견할 예정이다. 특사단에는 홍범도장군기념사업회 이사장인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국민대표 자격으로 신흥무관학교사업회 홍보대사인 배우 조진웅 씨가 참여한다. 앞서 문 대통령은 2019년 4월 카자흐스탄 국빈 방문 당시 홍 장군의 유해 봉환을 요청했고 이후 정부가 카자흐스탄 측과 실무협의를 진행해왔다. 정부는 지난해 봉오동전투 승전 100주년을 맞아 유해 봉환을 추진했으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미뤄졌다.

   강신철 대통령국방개혁비서관은 “홍 장군은 연해주에 거주하던 1937년 스탈린의 한인 강제 이주정책에 따라 카자흐스탄으로 이주됐고 다음 해 카자흐스탄 키질로르다에 정착한 뒤 1943년 세상을 떠났다”며 “홍 장군이 1921년 연해주로 이주한 지 100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오는 만큼 이번 유해 봉환의 의미는 더욱 크다”고 말했다. 이어 “홍 장군은 민족정기 선양과 국민 애국심 고취, 고려인의 민족 정체성 함양뿐 아니라 한국과 카자흐스탄 간 우호 증진에 기여한 공적을 새롭게 인정받아 이번에 건국훈장 최고등급인 대한민국장이 추서되기 때문에 유해 봉환의 의미가 더욱 크다”고 했다. 홍 장군은 1962년 건국훈장 2등급인 대통령장을 받은 바 있다.

   한편 토카예프 대통령 방한은 2016년 이후 5년 만이다. 지난해 1월 코로나19 사태가 시작된 이후 해외 정상의 첫 국빈 방한이다. 박 대변인은 “카자흐스탄은 중앙아시아에서 우리의 최대 교역국이자 투자 대상국으로 신북방정책 추진의 핵심 협력국”이라며 “교통·인프라·건설, 정보통신기술(ICT), 보건,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양국의 실질 협력을 확대하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양국은 내년 수교 30주년을 맞는다.
                                                   <참고문헌>

   1. 박효목, "홍범도 장군 유해, 서거 78년만에 고국 품으로", 동아일보, 2021.8.13일자. A29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4/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713 2018.04.12
2365 강남 압구정과 한명희1 사진 신상구 518 2024.10.26
2364 압구정과한명희 사진 신상구 268 2024.10.26
2363 <특별기고>독도의 날의 역사적 의의와 기념행사 신상구 306 2024.10.26
2362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이 남긴 우리의 과제 신상구 300 2024.10.25
2361 배우 전무송 이야기 사진 신상구 334 2024.10.25
2360 천안시, 석오 이동녕 선생 학술회의 개최 공적 재평가 모색 사진 신상구 283 2024.10.24
2359 3·8민주의거기념관 2024.11.19일 정식 개관 이전 기사보기다음 기 신상구 848 2024.10.24
2358 소년이 묻는다, 인간이란 무엇인가 신상구 312 2024.10.22
2357 석오 이동녕 선생 재조명 학술대회 신상구 282 2024.10.22
2356 노벨상 수상이 가져다 줄 베이스캠프 효과 사진 신상구 308 2024.10.22
2355 항일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인 길영희 선생의 생애와 업적과 사상 신상구 308 2024.10.20
2354 한강 문학은 통치술에 대한 감각적 불복종 사진 신상구 323 2024.10.19
2353 조선의 K소설, 한강의 선배들 신상구 320 2024.10.18
2352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이 떠올려준 생각들 신상구 308 2024.10.18
2351 한강 노벨문학상, 한국 문화의 새 역사 신상구 307 2024.10.15
2350 ‘한강의 기적’에 분노하는 사람들 신상구 342 2024.10.15
2349 세계 문학계 '포스트 한강 누구냐' 주목 신상구 287 2024.10.15
2348 『통합정치와 리더십』에서 경합과 협치의 정치 방안 모색 사진 신상구 278 2024.10.13
2347 육영수 여사와의 추억 신상구 314 2024.10.13
2346 청의 간섭에도 美 공사관에 태극기 걸며 '자주 외교' 펼쳤죠 사진 신상구 301 2024.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