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150년 전 韓日 세대교체 바람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6.29 02:40

                                                                                             150년 전 韓日 세대교체 바람

     한일 근대사에서 자주 비교되는 두 공간이 있다. 서울 북촌의 박규수 사랑방과 야마구치현 하기의 요시다 쇼인 촌숙(村塾)이다. 19세기 중·후반 10년 시차를 두고 이 공간들에서 20대 진보적 신세대 그룹이 배출됐다. 요시다의 제자들은 세대교체에 성공해 나라를 지배했고 촌숙은 메이지유신의 상징으로 보존돼 유네스코 세계유산이 됐다. 박규수의 문인들은 시대의 주역이 되지 못했다. 사랑방은 사라졌고 그 자리는 지금 헌법재판소 뒷마당으로 변했다.


조선일보

갑신정변 실패 후 1885년 망명지 일본에서 찍은 주역들의 사진. 왼쪽부터 박영효, 서광범, 서재필, 김옥균으로 알려져 있다. 조선을 탈출하지 못한 홍영식과 박영교는 청군에 참살됐다. 김옥균은 9년 후 중국 상하이에서 고종이 보낸 자객에 의해 암살당했다. 박규수의 문인 중 일제강점 후에도 호의호식한 사람은 철종의 사위 박영효 뿐이다.


                                                 ◆쟁쟁했던 조선 신세대

   경력은 비교가 되지 않는다. 박규수는 연암 박지원의 손자로 서울 명문 거족 출신이다. 중국 사신으로 서세동점(西勢東漸)의 현실을 직접 목격했다. 병조·이조참판, 평안도 관찰사, 한성부윤 등 요직을 지냈다. 실학의 계승자이자 개화 사상의 선구자였다. 오경석·유대치 등 시대의 한계를 뛰어넘은 사상가를 곁에 두고 10년 넘게 후학을 길렀다.

   하급 무사 출신인 요시다 쇼인은 영주에게서 천재로 인정받아 난학(蘭學)과 병학(兵學)을 체계적으로 학습했다. 하지만 변방을 벗어나지 못했다. 두 차례 밀항을 시도했다가 실패해 옥살이를 했다. 막부에 대들다가 목이 잘려 죽은 때가 29세였다. 박규수보다 23년 늦게 태어났으나 18년 먼저 죽었다. 숙부에게 물려받은 쇼카(松下) 촌숙에서 후학을 길러낸 시기는 불과 2년 정도다.

   제자들도 달랐다. 박규수 사랑방엔 과거에 급제한 서울 명문가 수재들이 드나들었다. 왕의 사위(박영효)와 영의정의 아들(홍영식)까지 있었다. 수신사·시찰단 등으로 전원이 일본과 미국을 다녀왔고 문명 개화를 지지했다. 당대 최고의 20대 엘리트로 이뤄진 드림팀이었다.

   요시다의 촌숙은 변방의 하급 무사로 채워졌다. 이들의 사상적 지평은 유신 직전까지 천황을 받들어 서양 오랑캐를 내몰자는 존왕양이(尊王攘夷)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다. 수제자 4명이 외세, 막부와 싸우다 모두 20대에 죽었다. 촌숙의 신세대 그룹이 문명 개화로 질적 변화를 일으킨 것은 열등생 그룹이 양이를 포기하고 유학에 나선 이후였다. 그중 한 명이 농민 출신 이토 히로부미다. 그가 칼 대신 영일(英日)사전을 옆구리에 차고 영국으로 떠났을 때가 22세였다.


                                                ◆250년 만의 능력주의 시대

   두 나라 신진 엘리트의 신분 차이는 역설적인 결과로 이어졌다. 일본은 질이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문호를 하층에 개방해 인재군(群)을 획기적으로 늘렸다. 인재를 배출한 사숙(私塾)이나 사당(私黨)은 요시다의 촌숙만이 아니다. 후쿠자와 유키치를 배출한 오사카의 데키주쿠(適塾), 사이고 다카모리와 오쿠보 도시미치를 배출한 가고시마의 세이추구미(精忠組)가 대표적이다. 일본 근대를 만든 이들은 모두 하급 무사 출신이다.

   나라가 위기에 빠지자 지방 영주들이 각자도생을 위해 발탁 경쟁을 벌였다. 실력이 신분을 결정하는 능력주의 시대가 전국시대 종결 이후 250년 만에 돌아왔다. 이 경쟁에서 승리한 지역을 웅번(雄藩)이라고 한다. 웅번 4곳의 하급 무사들이 씨줄과 날줄처럼 엮여 거대 세력을 만들었다. 막부조차 가쓰 가이슈와 같은 하급 인재를 발탁해 세대교체를 시도했다. 청년 전성시대였다. 그들은 유신으로 권력을 쟁취한 뒤 중앙집권화를 통해 자신을 키워준 웅번까지 삼켜버렸다.

   박규수 사랑방의 제자들은 고립된 섬과 같았다. 고종에 의해 중앙 정계에 발탁된 수제자 그룹은 갑신정변으로 죽거나 망명했다. 홍영식은 29세, 박영교는 35세에 청군에 살해됐다. 김옥균은 망명지를 떠돌다가 43세에 암살당했다. 김홍집과 어윤중이 아관파천 때 참살되자 조선의 개혁 지사(志士)는 씨가 말랐다. 그 후에도 조선이 신세대를 멀리한 건 아니다. 하지만 그들은 젊을 뿐 새롭지 않았다. 내부대신 이지용이 늑약에 서명해 을사오적이 된 나이는 불과 35세였다.

                                              ◆능력만큼 중요했던 천명(天命)

   유신 직전에 양이론자였던 천황이 세상을 떴다. 36세였다. 15세 천황이 뒤를 이었다. 천황부터 세대교체됐다. 사망 시점이 너무나 절묘해 지금까지 암살설이 돈다. 구세력의 정점인 막부의 쇼군(將軍)도 그 무렵 세상을 등졌다. 개혁 성향의 쇼군이 뒤를 이었다. 그는 스스로 정권을 천황에게 바쳤다. 이 세대교체가 없었다면 유신은 성공했어도 엄청난 피를 흘렸을 것이다.

   신진 그룹 내부에서도 맹렬한 세대교체가 일어났다. 선두 그룹인 극단적 양이론자들은 막부와의 싸움에서 대거 죽었다. 유신을 성공시킨 이른바 영웅 삼걸(三傑)도 유신 10년 후 앞서거니 뒤서거니 세상을 떴다. 사이고는 하급 무사를 대표해 중앙집권화에 저항하다가 자결했고, 오쿠보는 독재 정치를 하다 암살당했다. 성공과 함께 개혁의 걸림돌이 된 사무라이 기득권과 유신 영웅의 권위주의가 이들의 죽음으로 한꺼번에 정리됐다.

   촌숙의 열등생 이토 히로부미 등이 그들의 뒤를 이었다. 농민 출신으로 일본 최고 권력자(초대 총리)가 된 것은 도요토미 히데요시 이후 그가 처음이다. 스승 요시다는 그에 대해 “재능은 떨어지고 학문은 미숙하지만 성격은 곧고 꾸밈이 없다”고 했다. 하지만 집권했을 때 그는 해외 시찰을 통해 미국과 유럽 신문물에 달통한 선각자로 변해 있었다. 서구의 정치·사법·재정 제도를 섭렵해 일본에 국회와 헌법, 재정의 기초를 완성했다. 한국을 집어삼켜 일본을 열강에 올린 것도 그였다.

조선일보

일본 나가사키 가자가시라(風頭) 공원에 서 있는 사카모토 료마(坂本龍馬) 동상. 오른쪽 깃발은 그가 운영했던 주식회사 '가이엔타이' 깃발이다. 하급 무사였던 료마는 1865년 서로 원수지간이던 사쓰마번과 조슈번을 극적으로 화해시켰다. '삿초동맹'은 메이지 유신의 실질적인 추진 동력이었다. 이어 막부에 권력을 천황에게 돌려주는 대정봉환을 제안해 실현시켰다. 대정봉환 한 달 뒤 료마는 암살당했다. 32세였다. 19세기 말 일본은 목숨을 건 혁명가들이 변혁을 이끌었다.

                                                                     <참고문헌>

    1. 정, "150년 전 韓日 세대교체 바람, 성공 여부가 나라 운명 바꿨다", 조선일보, 2021.6.25일자. A29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4/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208 2018.04.12
2365 강남 압구정과 한명희1 사진 신상구 496 2024.10.26
2364 압구정과한명희 사진 신상구 260 2024.10.26
2363 <특별기고>독도의 날의 역사적 의의와 기념행사 신상구 298 2024.10.26
2362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이 남긴 우리의 과제 신상구 292 2024.10.25
2361 배우 전무송 이야기 사진 신상구 324 2024.10.25
2360 천안시, 석오 이동녕 선생 학술회의 개최 공적 재평가 모색 사진 신상구 274 2024.10.24
2359 3·8민주의거기념관 2024.11.19일 정식 개관 이전 기사보기다음 기 신상구 827 2024.10.24
2358 소년이 묻는다, 인간이란 무엇인가 신상구 300 2024.10.22
2357 석오 이동녕 선생 재조명 학술대회 신상구 274 2024.10.22
2356 노벨상 수상이 가져다 줄 베이스캠프 효과 사진 신상구 298 2024.10.22
2355 항일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인 길영희 선생의 생애와 업적과 사상 신상구 301 2024.10.20
2354 한강 문학은 통치술에 대한 감각적 불복종 사진 신상구 308 2024.10.19
2353 조선의 K소설, 한강의 선배들 신상구 310 2024.10.18
2352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이 떠올려준 생각들 신상구 297 2024.10.18
2351 한강 노벨문학상, 한국 문화의 새 역사 신상구 300 2024.10.15
2350 ‘한강의 기적’에 분노하는 사람들 신상구 330 2024.10.15
2349 세계 문학계 '포스트 한강 누구냐' 주목 신상구 282 2024.10.15
2348 『통합정치와 리더십』에서 경합과 협치의 정치 방안 모색 사진 신상구 270 2024.10.13
2347 육영수 여사와의 추억 신상구 306 2024.10.13
2346 청의 간섭에도 美 공사관에 태극기 걸며 '자주 외교' 펼쳤죠 사진 신상구 291 2024.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