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평생모은 추사 자료 과천시에 기증한 후지츠카 치카시 부자 이야기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4.20 02:05

                                                 평생모은 추사 자료 과천시에 기증한 후지츠카 치카시 부자 이야기


                         

    겨울 추위가 닥쳐봐야 솔의 푸르름이 빛나듯 / 아직 초록이 무성할 땐 아무도 모른다 / 13년간 탐라도에 내동댕이쳐진 스승 / 떨어지지 않는 발걸음으로/ 멀고먼 땅 청나라에서 구한 책/ 눈물로 마주하며 스승과 주고받던 사랑/ 추사 선생 붓 들어 세한도를 그린 뜻은 / 제자 상적의 마음을 그린 것/ 대정고을의 가득한 푸른 솔향기/ 예나 지금이나 한결같아라.    - 추사 유배지에서 이한꽃-


    1945년 1월 동경의 한 병실을 두 달째 끈질기게 드나드는 조선인이 있었다. 서예가 손재형 씨다. 병실에 누워 있는 사람은 66살의 후지츠카 치카시 (藤塚隣, 1879-1948) 씨로 일제강점기 때 조선 경성제국대학 교수 출신 추사 연구가이다. 손재형 씨가 병실을 드나든 것은 다름 아닌 김정희의 ‘세한도’를 받아내려는 것이었다.    


  
                                         ▲ 경성제대 시절의 아버지와 아들



    어째서 세한도는 동경의 한 병실에 누워 있는 후지츠카 손에 들어간 것일까? 국보 180호인 세한도의 운명이 일각에 놓였던 그 순간이 영화의 한 장면을 보는 것처럼 양손에 땀을 쥐게 한다. 그도 그럴 것이 세한도를 받아 낸 3개월 뒤 후지츠카의 조선 보물창고는 미군의 도쿄대공습으로 거의 불타버리고 말았기 때문이다. 후지츠카 씨는 동경제국대학 중국 철학과를 졸업한 이래 47살 때인 1926년 조선 경성제국대학 교수로 부임한다.


  
                           ▲ 평생 모은 추사 자료를 추사박물관에 기증한다는 친필 기증서



    이후 14년간을 조선에서 교수직을 하면서 추사연구에 몰두하는데 조선에 부임하기 전 그는 북경에 1년 동안 체류한다. 전공인 중국철학 자료 수집을 위해서였다. 그러나 그의 운명은 북경에서 바뀌었다. 그는 중국인들이 추사의 학문세계를 높이 사고 있음을 발견하고 추사라는 인물 연구에 관심을 두게 된다. 말하자면 경성제국대학 교수 부임이 추사연구의 ******점이 된 것이다.


    그 뒤 후지츠카 씨는 조선에서 추사에 대한 많은 자료를 수집하였다.손재형 씨는 그런 후지츠카 씨를 병원으로 날마다 찾아가 간청하기를 ‘세한도는 조선의 것이다. 돌려 달라.’고 끈질기게 설득한다. 그 집요한 의지 때문일까? 결국, 후지츠카 씨는 아무런 조건 없이 세한도를 손 씨에게 넘겼다.


  
                           ▲ 하마터면 동경 폭격과 함께 날아갈뻔 했던 세한도



    식민지 당시 조선 땅의 귀한 것들은 헐값 또는 반강제적으로 손쉽게 일본인 손에 넘어간 것들이 많은데 세한도처럼 순순히 돌아온 것은 많지 않다. 천만다행이다.후지츠카 씨는 그의 아들 후지츠카 아키나오(藤塚明直, 1921-2006)에게 ‘조선의 유물은 본국으로 돌아가야 한다.’라고 유언했다.


    그렇다해도 아들이 아버지 말을 듣지 않고 자신의 안위를 위해 팔아먹으면 그만이다. 그러나 아들은 아버지의 유언을 잘 지켰다. 아들은 아버지의 유언대로 2006년 2월 자신이 모은 영화관련 자료와 아버지가 모은 추사 친필 글씨 26점, 추사와 관련된 서화 류 70여 점 등 1만여 점을 과천시에 기증하면서 현금 200만 엔까지 추사 연구에 보태라고 보냈다.


  
                        ▲ 과천 추사박물관에는 후지츠카 씨의 기증실이 있다.



    그리고 그는 유물을 모두 기증한 뒤 그해 94살로 숨을 거둔다. 세한도가 개인 소장품으로 조선 땅을 떠난 것은 유감이지만 무탈하게 조선으로 돌아온 것은 다행이다. 그 숨은 공로자는 손재형 씨이며 후지츠카 부자의 고운 마음씨도 일조를 했다.


 

    과천에 문을 연 추사박물관에 가면 후지츠카기증실이 있는데 아버지 후지츠카치카시와 


 아들 아키오가 평생 모은 추사 김정희의 자료를 볼 수 있다.

 

 

 

                                                                                 <참고문헌>

                                                                                                                                                                                    1. 이윤옥, "추사 김정희와 일본인 후지츠카의 인연 : 평생모은 추사 자료 과천시에 기증한 부자(父子) 이야기", 우리문화신문, 2014.1.18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4/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546 2018.04.12
2365 강남 압구정과 한명희1 사진 신상구 511 2024.10.26
2364 압구정과한명희 사진 신상구 266 2024.10.26
2363 <특별기고>독도의 날의 역사적 의의와 기념행사 신상구 302 2024.10.26
2362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이 남긴 우리의 과제 신상구 298 2024.10.25
2361 배우 전무송 이야기 사진 신상구 332 2024.10.25
2360 천안시, 석오 이동녕 선생 학술회의 개최 공적 재평가 모색 사진 신상구 281 2024.10.24
2359 3·8민주의거기념관 2024.11.19일 정식 개관 이전 기사보기다음 기 신상구 839 2024.10.24
2358 소년이 묻는다, 인간이란 무엇인가 신상구 306 2024.10.22
2357 석오 이동녕 선생 재조명 학술대회 신상구 279 2024.10.22
2356 노벨상 수상이 가져다 줄 베이스캠프 효과 사진 신상구 305 2024.10.22
2355 항일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인 길영희 선생의 생애와 업적과 사상 신상구 306 2024.10.20
2354 한강 문학은 통치술에 대한 감각적 불복종 사진 신상구 319 2024.10.19
2353 조선의 K소설, 한강의 선배들 신상구 317 2024.10.18
2352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이 떠올려준 생각들 신상구 304 2024.10.18
2351 한강 노벨문학상, 한국 문화의 새 역사 신상구 305 2024.10.15
2350 ‘한강의 기적’에 분노하는 사람들 신상구 338 2024.10.15
2349 세계 문학계 '포스트 한강 누구냐' 주목 신상구 285 2024.10.15
2348 『통합정치와 리더십』에서 경합과 협치의 정치 방안 모색 사진 신상구 275 2024.10.13
2347 육영수 여사와의 추억 신상구 311 2024.10.13
2346 청의 간섭에도 美 공사관에 태극기 걸며 '자주 외교' 펼쳤죠 사진 신상구 298 2024.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