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특별기고] 제9회 '세계천부경의 날'의 역사적 의미와 당면 과제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12.16 03:56

[특별기고] 제9회 '세계천부경의 날'의 역사적 의미와 당면 과제



▲ 신상구 박사 /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

[천안신문] 세계천부경협회가 우주 통합기운 창조와 환(桓)민족 혼(魂)의 부활을 목적으로 2013년 12월 13일(음력 11월 11일) 천부경 81자의 처음 구절인 ‘일시무시일(一始無始一)’에서 11을 마지막 구절인 ‘일종무종일(一終無終一)’에서 11을 취해 음력 11월11일을 세계천부경의 날로 정하고 해마다 기념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세계천부경협회는 최근 세계적인 코로나 19 전염병 대유행(pandemic) 사태로 사회 환경이 어수선함에도 불구하고 2021년 음력 11월 11일(양력 12월 14일) 오전 11시에 제9회 세계천부경의 날을 경축하고 국태민안(國泰民安)과 남북통일, 세계평화를 축원하기 위해 대전광역시 서구 정림동 13-9에 위치하고 있는 세계천부경협회 본부에서 김기학 부회장, 조성교 상임고문, 홍병우 사무총장, 최예진 전북지부장 등 10명만 참석한 가운데 ‘천부경과 하나 되기“란 주제로 약 1시간 동안 한밭천천제 행사를 검소하게 거행했다.

 

noname011.png
▲ 제9회 세계천부경의 날을 경축하기 위한 한밭천천제 행사 기념사진

 

본 기념행사는 개회 선언-국기에 대한 경례-순국선열 및 애국열사에 대한 묵념-애국가 제창-무상(無相) 이병희(李炳熙) 회장 축사-축문 낭독-천부경과 삼일신고 봉독-상임고문 조성교가 주관하는 천천제 봉향-참가자 일동 합동참배-동영상 감상(오징어게임으로 보는 원방각 문화)-식가 아리랑 제창-참가자 모두 상호 축하 말씀-폐식 선언 순서로 엄숙하면서도 진지하게 개최되었다.

 

이병희 회장은 축사에서 “우리 모두는 새롭게 거듭 태어나 하느님의 말씀인 천부경과 하나 되어 영특 쾌락의 낙원에서 영생해야 한다”는 점을 특히 강조했다.

 

                                  ■ 천부경의 역사적 의의와 연구현황

     

환인(桓因)이 환웅(桓雄)에게 전해준 대한민국의 3대 경전은 조화경인 천부경(天符經), 교화경인 삼일신고(三一神誥), 치화경인 참전개경(參佺戒經)이다. 3대 경전에는 국조 단군(檀君)의 통치철학인 홍익인간(弘益人間) 재세이화(在世理化)가 구체적으로 잘 표현되어 있다.

 

천부경(天符經)은 글자 그대로 하늘의 이치에 부합하는 으뜸 경전으로 총 81자로 구성돼 있다.

 

               一始無始一析三極無盡本天一一地一二人一三一積十鉅無匱化三(상경)

               天二三地二三人二三大三合六生七八九運三四成環五七(중경)

               一妙衍萬往萬來用變不動本本心本太陽昻明人中天地一一終無終一(하경)

 

천부경은 숫자 6을 중심으로 상경 28자, 중경 24자, 하경 29자로 나누어진다.

 

천부경 81자 중 숫자가 31개, 그 31개 숫자 중 1이 무려 11개나 분포하여 천부경을 우주 수학의 원전, 일태극 경전이라고 한다.

 

천부경은 하늘의 형상과 뜻을 숫자와 문자로 담아낸 조화경으로 우리 한민족 최고의 경전이지만, 아직까지 초중고 교과서와 대학교 동양철학 교재에 수록되지 않아, 대한민국 국민 중에서도 그 존재 여부를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불행중 다행으로 국내외서 천부경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2019년 12월 말 현재로 단행본이 130여 종 출간되었고, 학위논문이 77건(석사학위 54건, 박사학위 23건), 일반 학술논문이 199건이나 발표되었다. 그리하여 이제는 젊은 사람들도 천부경에 대해 많은 관심과 흥미를 갖고 조사 연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천부경의 전래 과정과 가치

 

천부경은 원래 9000년 전 고대 환국으로부터 구전으로 전해오다가 6000년 전 한국의 고대문자인 녹도문자(鹿圖文字)로 기록돼 전승됐다.

 

그 후 4400년 전인 단군조선 시대에는 전서(篆書)로 전해졌는데, 신라의 대학자인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 857-?) 선생이 돌로 만든 비석에 전서로 새겨진 천부경을 발견하고 묘향산 석벽에 한문으로 번역하여 옮겨 놓았다.

 

그런데 단학회 제2대 회장을 역임하고『환단고기(桓檀古記)』를 지은 운초(雲樵) 계연수(桂延壽, 1864-1920) 선생이 1916년 9월 9일 묘향산으로 약초를 캐러 갔다가 석벽에서 천부경을 우연히 발견하고 탁본해서 1917년에 단군 교당으로 원문을 보내 세상에 알려졌다.

 

noname01111-tile.jpg
▲ 고운 최치원 영정(좌), 운초 계연수 선생 초상화(우)

 

한민족 최고의 경전인 천부경 81자는 상수학적으로 천(天) · 지(地) · 인(人) 삼원조화의 홍익철학(弘益哲學)을 함축적으로 잘 표현해 주고, 우주 만물의 생성·진화·완성의 원리를 잘 밝혀주고 있다.

 

그리고 천부경은 우주 삼라만상이 1에서 나와 10까지 펼쳐졌다가 다시 1로 돌아간다는 원시반본(原始返本) 사상, 하늘(天) · 땅(地), 인간(人) 삼원이 모두 음양으로 작용해서 천지만물이 전개된다는 3수 원리와 음양 원리, 인간의 본심은 원래 태양처럼 밝고 환하여 천지(天地)와 하나가 된다는 태일사상(太一思想)을 담고 있다.

 

그런데 유사 이래 지구상 어느 나라 어느 학자도 81자의 경문으로 우주 만물의 생성·진화·완성의 원리와 인류 문화의 원형을 밝히지 못해 천부경은 동서양 학자들로부터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천부경은 시의 특징인 단순성, 비유와 상징, 애매모호성(曖昧模糊性, ambiguity)을 모두 갖추고 있어 다양하게 해석이 가능하므로 천부경을 봉독하고 활용하는 세계 인류로 하여금 무한한 상상력과 창의성을 불러일으킬 수가 있다.

 

                                          ■ 천부경의 국제화와 세계화

 

천부경은 1975년에 만주와 연해주의 항일독립운동을 주도한 대종교의 기본 경전으로 채택되었고, 성암(成庵) 전병훈(全秉薰, 1857-1927) 선생이 1920년 중국 북경에서 『정신철학통편』을 발간해 전 세계 29개국 150여개 대학교에 보냄으로써 천부경이 처음으로 국제화와 세계화가 되었다.   

 

111-tile.jpg
▲ (좌측부터) 성암 전병훈, 열암 박종홍, 마르틴 하이데거

 

그런데 서울대 철학과 교수인 고 열암(洌巖) 박종홍(朴鍾鴻, 1903-1976) 선생이 1956년에 독일 실존철학의 대가인 하이데거(Martin Heidegger, 1889- 1976) 댁을 방문한 적이 있었다.

 

그때 하이데거가 박종홍 교수에게 천부경의 의미와 해설을 요구한 바 있었는데, 박종홍 교수가 서양철학을 전공해서 그 당시에 천부경의 실체를 잘 모르고 있었기 때문에 천부경에 대한 해설을 하지 못해 안타깝게도 천부경을 독일 국민에게 널리 알릴 기회를 놓치고 말았다.

 

지금은 국학원과 증산도가 천부경을 주제로 국제학술회의를 자주 개최하고 충남 천안 출신의 세계적인 인문학자로 공공철학과 노인철학 권위자인 김태창(金泰昌, 87세) 박사가 천부경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고 세계 여러 나라를 오가며 천부경을 널리 홍보하고 있어 이제는 외국의 학자들도 천부경의 실체와 의미와 가치를 많이 알고 있다.

 

                                     ■ 세계천부경협회의 당면 과제

 

제9회 세계천부경의 날을 계기로 하여 천부경이 초·중·고의 교과서와 대학의 동양철학 교재에 게재되어 한국의 모든 국민들이 천부경의 실체를 잘 알고, 천부경의 삼원조화의 홍익철학을 일상생활에서 실천하여 인류 공영과 세계 평화에 나름대로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음력 11월 11일 세계천부경의 날 기념행사가 앞으로 발전을 거듭해 국가 행사로 개최되고, 더 나아가 국경일로 지정될 수 있도록 합심협력해야 한다.

 

또한 천부경이 한민족은 물론 세계 인류의 많은 사랑을 받아 머지않아 UNESCO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될 수 있도록 배전의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

 

그런가 하면 세계천부경협회 회원을 최소 1,000명 이상 확보하여 천부경의 역사적 의의와 가치를 보다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천부경을 소재로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필자 신상구 국학박사 주요 약력 소개>                                     .1950년 6월 26일 충북 괴산군 청천면 삼락리 63번지 담안 출생

   부친 신종순(辛鍾淳), 모친 유옥임(兪玉任) 사이의 5남 2녀 중 장남

   .아호 대산(大山) 또는 청천(靑川), 본관 영산신씨(靈山辛氏) 덕재공파(德齋公派)

   .백봉초, 청천중, 청주고, 청주대학 상학부 경제학과를 거쳐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사회교육과에서「한국 인플레이션 연구(A study of korean inflation」(1980.2)로 사회교육학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UBE) 국학과에서「태안지역 무속문화 연구(A study of shamanic culture in Taean)」(2011.8)로 국학박사학위 취득

   .한국상업은행 종로구 재동지점에 잠시 근무하다가 교직으로 전직하여 조치원중, 조치원여고, 삽교중, 한내여중, 천안북중, 천안여중, 태안중, 천안중 등 충남의 중등학교에서 35년 4개월 동안 수많은 제자 양성

   .주요 저서 :『대천시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1994),『아우내 단오축제』(1998), 『한국 노벨문학상 수상조건 심층탐구』(2019.3.15),『흔들리는 영상』(공저시집, 1993),『저 달 속에 슬픔이 있을 줄야』(공저시집, 1997) 등 5권.

   .주요 논문 :「태안지역 무속인들의 종이오리기 공예에 대한 일고찰」(2010),「대전시 상여제조업의 현황과 과제」(2012),「2020년 노벪문학상 수상자인 루이즈 글릭의 생애와 문학세계」(2020) 등 113편

   .주요 발굴 : 민촌 이기영의 천안 중앙시장 3·3항일독립만세운동 기록(2006)

                포암 이백하 선생이 기초한 아우내장터 독립선언서(2007)

   .수상 실적 : 예산군수 감사장, 대천시장상(2회), 천안시장상(2회), 천안교육장상, 충남교육감상(2회) 통일문학상(충남도지사상), 한국문화원연합회장상, 국사편찬위원장상, 한국학중앙연구원장상, 자연보호협의회장상(2회) 교육부장관상(푸른기장),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문학 21』시부문 신인작품상,『문학사랑』·『한비문학』 문학평론 부문 신인작품상, 국무총리상, 홍조근정훈장 등 다수

   .동아일보·중앙일보·조선일보·경향신문·한국일보·서울신문·서울일보·신아일보·문화일보·전국매일신문·시민신문·천지일보 등 중앙 일간지, 대전일보·충청일보·충청투데이·중도일보·동양일보·금강일보·중부매일·충남일보·중앙매일·충청타임즈·충청매일·대전투데이·충청신문·충북일보·우리일보·시대일보·중부일보·영남일보 등 지방 일간지, 충남시사신문·천안일보·충남신문·천안투데이·아산투데이·아산시사신문·예산신문·태안신문·태안미래신문·홍성신문·보령신문·내포시대·진천신문·증평신문·옥천신문 등 주간신문, 아산톱뉴스·천안일보·디티뉴스·대전뉴스·충청뉴스·충청뉴스인·시티저널·충북인뉴스·굿모닝충청·대전문화신문·예산뉴스 무한정보·백제뉴스·괴산타임즈·코리안스프릿 등 인터넷신문 등에 수백 편의 칼럼 기고.

   .30년 간 우리 역사 바로 세우기 운동·환경운동 전개, KBS 중앙방송국 라디오 <논술 광풍>프로 출연, STB 상생방송 <홍범도 장군> 프로 출연, KBS 대전방송국·MBC 대전방송국·CJB 청주방송국 라디오 <아우내장터 독립선언서 발굴> 프로 출연

   .대전 <시도(詩圖)> 동인, 한국지역개발학회 회원, 충남민주시민교육연구회 회원, 한국사회과교육연구회 회원, 한국국민윤리교육회 회원, 천안향토사 연구위원,『천안교육사 집필위원』,『태안군지』집필위원, 천안개국기념관 유치위원회 홍보위원, 대전문화역사진흥회 이사 겸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 보문산세계평화탑유지보수추진위원회 홍보위원, 동양일보 동양포럼 연구위원, 통합논술 전문가, 평화대사, (사)대한사랑 자문위원, 천손민족중앙회본부 연수원장

 

 


시청자 게시판

2,426개(3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75730 2018.04.12
1825 윤행임의 8도 사람 4자 평과 재치 사진 신상구 909 2022.02.23
1824 초혼 단재 애곡(招魂 丹齋 哀哭) 신상구 527 2022.02.22
1823 꽃의 시인 김춘수의 생애와 문학세계 신상구 1105 2022.02.02
1822 임강빈 시비(詩碑) 제막식을 다녀와 쓰는 편지 사진 신상구 706 2022.02.01
1821 금정 최원규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640 2022.02.01
1820 옥의 비밀 사진 신상구 744 2022.01.30
1819 핀란드 만하임과 한국 윤보선의 공통점과 상이점 사진 신상구 737 2022.01.30
1818 죽음 단상 신상구 739 2022.01.30
1817 이인성의 ‘순응’을 오마주한 강요배 사진 신상구 758 2022.01.26
1816 단양 '슴베찌르개' 세계 최고 구석기 유물 사진 신상구 567 2022.01.26
1815 1500년 전 고구려 벽화 속 메타버스 세계 사진 신상구 618 2022.01.22
1814 이봉창과 윤봉길 의사 의거 90주년을 기념하며 신상구 760 2022.01.22
1813 풍도의 포성 사진 신상구 624 2022.01.21
1812 공산주의는 왜 실패했나 사진 신상구 568 2022.01.21
1811 베이컨 ‘뉴 아틀란티스’ 신상구 660 2022.01.19
1810 한국어 수출 현황 신상구 911 2022.01.19
1809 동료들에게 신뢰를 얻는 5가지 방법 신상구 1103 2022.01.17
1808 2022년 한국경제의 당면 과제와 해결 방안 신상구 637 2022.01.17
1807 창덕궁 후원 옥류천 계곡 산수와 정자를 배경으로 벌어졌던 유상곡수연 사진 신상구 760 2022.01.16
1806 격변에 맞선 ‘오디세우스 생존법’ 사진 신상구 559 2022.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