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남신과 동등한 자유로운 여신처럼 성차별 없는 사회를 꿈꾸다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12.12 02:04

                   남신과 동등한 자유로운 여신처럼 성차별 없는 사회를 꿈꾸다

공유하기뉴스듣기프린트 
오스트리아 빈 의회 앞 분수대에 있는 그리스 여신의 전형인 아테네 여신상. 1898년. 사진 출처 위키미디어
조대호 연세대 철학과 교수
   《고대 그리스는 가부장제 사회였다. 민주정의 아테네도 그런 점에서는 왕정의 조선 사회와 다르지 않았다. 정치 참여는 18세 이상 성인 남자들의 권리였고, 여인들은 신분의 차이를 불문하고 가정의 울타리를 벗어날 수 없었다. 출산, 육아, 집안 살림 외에 여인들에게 허락된 공적인 활동은 제사와 축제가 전부였다. 여인들은 시민권도, 소유권도 없이 아버지에게, 남편에게, 아들에게 매여 살았다. 그들은 공적인 권리를 ‘빼앗긴’(privatus) ‘사적인’(private) 존재였다. 그런 그리스의 여인들은 ‘일리아스’에 등장하는 자유로운 여신들을 보면서 무슨 생각을 했을까?》

트로이 전쟁의 출발점이 된 ‘파리스의 심판’. 고대 그리스의 여신들은 모든 결정에 참여하고, 전쟁터를 누비며 남신들과 맞서 싸우는 데 거침이 없을 정도로 자유를 누리는 모습으로 그려졌다. 페테르 파울 루벤스, 1632∼1635. 영국 국립미술관 소장
   호메로스의 ‘일리아스’는 영웅들의 이야기일 뿐만 아니라 영웅 세계의 주변에 머물던 여인들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두 집단의 여인들이 등장한다. 전쟁터의 여인들과 트로이아의 여인들이다. 이들은 처지가 달라도 한 가지 점에서 똑같다. 그들은 모두 공적인 권리의 주체가 아니다. 전쟁터의 여인들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전장의 영웅들이 ‘명예의 소유자’라면, 여인들은 그들의 전리품, ‘명예의 선물’이다. 그들은 이 사내에서 저 사내로 ‘돌고 돌면서’ 물건처럼 거래된다. 성안의 여인들은 ‘아직’ 전리품이 아니지만, 그들 역시 남자들의 결정과 집안일에 묶여 있다. 남자들의 결정에 운명을 내맡긴 채 아이를 낳아 기르고 물레를 돌리는 것이 여자의 일생이다.

                             전장을 누비며 싸우는 여신
   그러니 어떻게 호메로스의 영웅 서사시를 두고 ‘남성 영웅들의 폭력을 미화하고 여성에 대한 억압을 당연시하는 남성 중심의 서사’라고 말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틀린 말이 아니지만, 그렇다고 완전히 옳은 말도 아니다. ‘일리아스’에 대한 여성주의의 비판은 작품 속 여신들의 모습에 충분히 주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여신들에 대한 상상에서 호메로스는 여성에 대해 매우 개방적인 관점을 취한다. 전체적으로 볼 때 호메로스의 여신들은 인간 세계의 여인들과 남자들이 가진 두 측면을 공유한다는 뜻에서 양성적이다.



       물론 여신들 중에도 아들 주변을 맴도는 ‘헬리콥터 맘’이 있다. 아킬레우스의 어머니 테티스가 그렇다. 하지만 이 여신은 오히려 예외에 속한다. 다른 여신들에게는 집 안팎의 경계가 없다. 여신들은 누구에게도 종속된 존재가 아니다. 그들은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남신들과 동등한 권리를 누린다. 올림포스 신들의 공동체는 12명의 장관 가운데 6명이 여성인 정부 조직을 닮았다. 여신들은 그저 자리를 지키는 정도가 아니다. 그들은 모든 결정에 참여해서 적극적으로 의견을 내세우고 설득이 안 통하면 속임수 등 온갖 방법을 동원해서 뜻을 관철한다. 전장을 누비며 남신들에 맞서 싸우는 데도 거침이 없다.

                                    아레스를 제압한 아테네

       아테네는 싸우는 여신의 전형이다. 70년대의 아이들은 번개 아톰과 철인 28호가 싸우면 누가 이길지 항상 궁금했다. 요즘 아이들은 슈퍼맨과 배트맨이 싸우면 누가 이길지 궁금할 것이다. 호메로스 공연의 청중들도 다르지 않았다. 아테네와 군신 아레스가 싸우면 누가 이길까? 그런 호기심에 떡 한 덩이 던져주듯, 시인은 ‘일리아스’ 안에 신들의 이성 대결 장면을 끼워 넣었다. 그런데 승패가 너무 쉽게 갈려서 싱거울 정도다. 아테네의 손에는 “제우스의 천둥도 제압할 수 없는” 무시무시한 방패가 들려 있다. 아레스가 긴 창으로 이 방패를 찌른다. 하지만 여신은 사뿐히 물러나 공격을 피한 뒤 벌판에 놓인 검은 돌덩이를 억센 손으로 집어 들고 아레스의 목을 내리쳐 사지의 기운을 풀어 버린다. “어리석은 자여! 나와 힘을 겨루려 하다니, 내가 그대보다 얼마나 더 강하다고 자부하고 있는지 아직도 몰랐더란 말인가!” 여신이 깔깔 웃는다.

                                      성별 분업을 깨는 상상력

       여신들에 대한 호메로스의 상상은 전복적이다. 이 상상은 자연법칙처럼 통용되는 성별 분업의 관념을 뒤엎기 때문이다. 2800년 전의 시인은 급진적 여성주의자였나? 거침없는 여신들의 모습은 억눌려 살던 여인들에게 상상 속 대리 만족이었을까? 당시의 여인들이 품었던 해방의 꿈이 여신들에 대한 상상으로 형상화된 것일까? 아니면 선사시대 모계제 사회의 희미한 기억이 서사적 상상으로 재현되었을까? 모든 해석이 가능하다. 상상 속에서는 과거의 기억과 미래의 꿈이 뒤섞이기 마련이니까.

       상상에는 현실을 바꾸는 힘이 있다. 여신들에 대한 상상도 그렇다. 플라톤은 그런 상상을 실현하려 했던 사람들 가운데 하나다. 그는 ‘국가’에서 여성들을 호메로스의 여신들과 같이 만들려고 했다. 그에 따르면 누구나 능력이 있으면 성별과 무관하게 전사나 통치자가 될 수 있다. 성별 때문에 남자와 여자가 하는 일이 달라야 한다는 주장은 ‘대머리가 구두장이가 되면, 장발은 구두장이를 해서는 안 된다’는 말처럼 터무니없다. “그러므로 여자와 남자를 가릴 것 없이 나라를 지키는 일에 관해서는 그 성향이 같다.” 그래서 수호자 계급의 여인들에게는 옷감 짜기, 아이 돌보기, 하녀 관리와 같은 집안일은 허락되지 않는다. 하지만 어려운 문제가 하나 있다. 여인들이 떠난 자리는 누가 채울까? 특히 출산과 양육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플라톤은 해결책으로 ‘처자공유제’를 내놓았다. 일종의 군혼(群婚)과 집단양육이 인간의 한계를 극복하고 여인들을 여신같이 만들 수 있는 조건이었다.

                                   출산·육아와 외부활동의 딜레마

       플라톤의 경우는 천상의 상상을 지상에 구현하려고 할 때 생기는 딜레마를 잘 보여준다. 몸을 가진 존재에게 출산과 육아의 구속과 공적 활동의 자유가 양립할 수 있을까? 우리 사회는 이 딜레마의 한쪽 뿔에 매달린다. 여성들에게 공적 활동의 기회를 확대하는 것 같지만, 그에 뒤따르는 출산과 양육의 문제는 진지하게 고민하지 않는다. 경제성장의 광기에 사로잡힌 사회의 관심은 ‘산업예비군’의 숫자 늘리기에 쏠려 있지 않은가. 딜레마의 해결이 이렇듯 개인의 몫이 되면 여성들은 실존적 트릴레마에 마주할 수밖에 없다. 출산과 육아를 위해서 다른 활동을 포기할까, 집 안팎의 일을 떠맡는 슈퍼 우먼이 되어야 할까, 불확실한 미래일지언정 내일을 위해 오늘의 결혼과 출산을 포기할까? 이런 상황이 낳는 결과는 뻔하다. 치솟는 비혼율, 곤두박질하는 출산율, 일자리를 둘러싼 성별 갈등이 달리 무엇을 말하는가?

       해결책은 없을까? 탈레반처럼 여성들을 다시 집안에 묶어둘까, 플라톤의 구상대로 가족을 해체할까, 아니면 일부 여성주의자들이 주장하듯 출산과 양육의 ‘구속’에서 인간을 구해 줄 기술의 구세주를 기다려야 할까? 어느 것도 합리적 대안이 아니라면, 남는 것은 하나다. 성별의 차이 없이 누구나 집 안팎의 일을 공유하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다. 현실과 상상의 거리, 지상의 여인들과 올림포스 여신들 사이의 거리를 좁히는 일이 그렇게 쉬운 일이겠는가.
                                                        <참고문헌>
       1. 조대호, "남신과 동등한 자유로운 여신…성차별 없는 사회를 꿈꾸게 하다”, 동아일보, 2021.11.19일자. A31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3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75810 2018.04.12
    1825 윤행임의 8도 사람 4자 평과 재치 사진 신상구 909 2022.02.23
    1824 초혼 단재 애곡(招魂 丹齋 哀哭) 신상구 528 2022.02.22
    1823 꽃의 시인 김춘수의 생애와 문학세계 신상구 1105 2022.02.02
    1822 임강빈 시비(詩碑) 제막식을 다녀와 쓰는 편지 사진 신상구 708 2022.02.01
    1821 금정 최원규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641 2022.02.01
    1820 옥의 비밀 사진 신상구 744 2022.01.30
    1819 핀란드 만하임과 한국 윤보선의 공통점과 상이점 사진 신상구 739 2022.01.30
    1818 죽음 단상 신상구 740 2022.01.30
    1817 이인성의 ‘순응’을 오마주한 강요배 사진 신상구 760 2022.01.26
    1816 단양 '슴베찌르개' 세계 최고 구석기 유물 사진 신상구 568 2022.01.26
    1815 1500년 전 고구려 벽화 속 메타버스 세계 사진 신상구 619 2022.01.22
    1814 이봉창과 윤봉길 의사 의거 90주년을 기념하며 신상구 763 2022.01.22
    1813 풍도의 포성 사진 신상구 625 2022.01.21
    1812 공산주의는 왜 실패했나 사진 신상구 570 2022.01.21
    1811 베이컨 ‘뉴 아틀란티스’ 신상구 664 2022.01.19
    1810 한국어 수출 현황 신상구 911 2022.01.19
    1809 동료들에게 신뢰를 얻는 5가지 방법 신상구 1106 2022.01.17
    1808 2022년 한국경제의 당면 과제와 해결 방안 신상구 639 2022.01.17
    1807 창덕궁 후원 옥류천 계곡 산수와 정자를 배경으로 벌어졌던 유상곡수연 사진 신상구 762 2022.01.16
    1806 격변에 맞선 ‘오디세우스 생존법’ 사진 신상구 561 2022.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