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노벨문학상의 교훈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10.28 16:39

                                                           노벨문학상의 교훈
▲최교진 세종시교육감
▲최교진 세종시교육감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자 선정은 작가 개인의 명예이기도 하나, 한국문학을 세계가 인정했다는 뜻을 담고 있어 많은 시민이 국가적인 경사로 받아들이고 있다.

해마다 가을이면 번역본으로 노벨문학상 작품을 읽던 사람들이 올해는 원작을 그대로 읽는 신기한 경험을 하고 있다. 노벨상 발표 이후 작가의 책을 읽으려는 독자의 행렬은 이어지고 있고, 한강 작가를 새롭게 조명하는 기사와 기고문도 계속 나오고 있다.

여러 문학인들은 한강 작가가 우리의 역사적 사건을 한 나라의 특수성에 가두지 않았다고 평가한다. 상처를 치유하려는 문학적인 작업은 세계인의 보편성으로 읽혔고, 노벨문학상 수상을 계기로 작가가 다룬 주제를 더 확장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작가가 다룬 제주 4.3은 여전히 남아있는 고통의 역사이지만 아픔을 딛고 평화의 정신으로 이어가야 하고, 5.18정신을 민주주의 발전으로 승화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바로 그것이다. 우리가 세월호 참사를 추모하고 진상을 규명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유도 안전한 나라로 가기 위해서이다. 이 모두가 보편적 가치와 맞물려 있다.

누구나 공유할 수 있는 보편적 가치로 평화 생명 사랑 등을 떠올릴 수 있다. 이는 특정 국가나 특정 지역에서만 나타나는 문제가 아니라, 전 지구적 가치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점에서, 작가 한강이 다룬 주제의식과 이를 높게 평가한 노벨문학상이 던져주는 교훈은 매우 크다.

스웨덴 한림원은 한강 작가의 문학상 선정 이유로‘역사적 트라우마에 맞선 인간의 연약함’을 꼽았다. 그동안 작가는 창작 과정에서 아픈 역사와 인간의 폭력성을 진지하게 다루어왔다.

가자지구의 전쟁,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 그리고 여러 분쟁 국가에서 벌어지는 폭력을 보면서 한강 작가가 천착한 주제를 떠올리는 것은 자연스럽다. 이와 맞물려 우리 교육계에서는 보편적 가치를 얼마나 가르치고 있는지 다시 한번 돌아볼 필요가 있다. 인류 사회를 위해 공헌해야 하는 이유를 학교에서 잘 가르치고 있는가, 학생들에게 상처의 역사를 제대로 가르치고 있는가. 교육주체가 공동체 삶의 중요성을 공유하고 있는가.

노벨문학상은 우리에게 이런 질문을 다시 한번 갖게 한다. 갈수록 고착되는 불평등, 권력에 의해 무너지는 정의, 폭력에 짓밟히는 평화. 이 모두는 남의 일이 아니라 우리가 함께 관심을 가져야 할 문제라는 걸 노벨문학상이 알려주고 있다. 지금의 한강 열풍이 진지한 성찰로 깊어지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1. 최교진, "노벨문학상의 교훈", 충청투데이, 2024.1028일자. 18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3/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02861 2018.04.12
2385 옛 선비 윤기의 ‘빈부설’ 신상구 145 2024.11.10
2384 윌리엄 전킨과 유니온신학교 사진 신상구 162 2024.11.09
2383 인문학의 위기, 무엇이 문제인가 신상구 159 2024.11.08
2382 K-문학 세계화와 ‘번역 예산’ 역주행 신상구 166 2024.11.07
2381 늑천 송명흠의 삶과 문학 신상구 177 2024.11.07
2380 톨스토이문학상 수상 재미소설가 김주혜 이야기 신상구 278 2024.11.06
2379 광복회 시국선언 신상구 159 2024.11.06
2378 6·10만세운동 이끈 사회주의자 권오설 ‘역사적 복권’을 사진 신상구 165 2024.11.06
2377 청주대 출신 대표 인물 소개 신상구 364 2024.11.05
2376 도산 안창호를 민족운동 지도자로 키운 프레더릭 밀러 선교사 사진 신상구 184 2024.11.05
2375 노년에 생각하는 삶의 계산서 신상구 158 2024.11.05
2374 노벨문학상이라는 폭풍, 그 너머 신상구 158 2024.11.03
2373 석오 이동녕 선생 사진 신상구 166 2024.10.31
2372 노벨경제학상이 놓친 동아시아 기적의 비밀 신상구 181 2024.10.29
2371 가야산 병풍 삼은 서산무형유산의 향연 신상구 194 2024.10.29
2370 한글문화수도 세종서 즐기는 '한글 놀이'로 즐겨요 신상구 177 2024.10.29
2369 잊잊힌 독립투사 김경천의 삶 소설 ‘연해주’로 쓴 송호근 교수 사진 신상구 186 2024.10.29
2368 왜 노벨과학상은 미국·유럽이 휩쓸까 신상구 179 2024.10.28
>> 노벨문학상의 교훈 사진 신상구 166 2024.10.28
2366 ‘한강’의 기적과 문화 브랜딩 사진 신상구 162 2024.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