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역사 앞에서 국민 배신한 대통령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08.10 06:05


                                                              역사 앞에서 국민 배신한 대통령

윤석열 대통령이 국민을 상대로 역사 전쟁이라도 할 모양이다. 역사 우향우 작업을 암암리에 전개하며 뉴라이트의 활동 공간을 마련하더니 우리나라 역사연구기관장을 모두 이들에게 송두리째 내주면서다.

억장이 터진다. 대한민국 대통령이 다른 곳도 아니고 극일(克日)의 상징이자 민족 자존심인 독립기념관 관장에 대한민국임시정부 법통과 항일 독립운동 역사를 부정하고 반쪽 정부 수립, 이승만 독재를 미화하며 1948년 건국론을 적극 주장해 온 뉴라이트 계열로 분류된 인사를 아닌 밤중에 덜컥 앉혔으니 말이다.

79주년 광복절이 일주일도 남지 않은 시점에 국민 뒤통수를 거하게 때렸다. 아무리 반대해도 막무가내일 게 분명하다. 혹시나 새 관장이 독립기념관 경영 합리화나 전시를 비롯해 내부 조직을 개혁할 능력이 있는 인물일까 싶었다. 걸어온 이력을 보니 그건 아니다. 올 초부터 국사편찬위원장·한국학중앙연구원장·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에 뉴라이트 인사를 거침없이 기용하더니 끝내 독립기념관장 자리까지 그리 할 정도면 결론은 하나다. 윤 대통령 역사관의 뿌리는 식민지 근대화론을 수용하는 뉴라이트인 것말고 설명할 도리가 없다. 하기야 사도광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문제로 일본과 협상하면서 조선인 노동자 강제 동원을 명시해달라는 요구를 대차게 묵살당하고도 이를 감춘 채 처음부터 등재에 덜컥 찬성해 준 윤 대통령과 정부였으니 또 그렇게 보면 이해가 되긴 한다.

국가보훈부가 밀어붙이고 윤 대통령이 임명한 김형석 관장이 뉴라이트 역사관을 가졌든, 아니든 그건 그의 자유다. 그러나 독립기념관의 상징적인 측면에서 김 관장의 역사관이 국익과 국민 정서에 정면 배치된다는 것도 사실임을 부인할 수 없다. 오죽하면 광복회장이 이번 독립기념관장 인사를 ‘헌법정신을 부인하는 반헌법적 행태’라고 했을까. 김 관장이 대체 그 자리에 어떤 능력으로 백범 김구 선생의 장손, 한국광복군 출신 독립운동가의 후손을 제끼고 올라갔는지 모르겠으나 그에 관한 국민의 검증은 이미 끝났다. 자진 사퇴가 국민에 대한 도리다.

‘국익·실용·공정·상식.’ 윤석열정부가 내세운 국정운영 원칙이다. 하지만 이 정부는 이제 그런 말 할 자격을 잃었다. 헌법을 무시하면서 국가 정체성 확립을 말할 수 없고 자유와 민주주의를 파괴한 독재자를 칭송하면서 자유민주주의 확립 운운하는 건 말도 안 되는 얘기이기 때문이다.

광복이 두려웠던 이들이 있었다. 일제의 충성스런 주구 노릇을 하던 친일 반민족 행위자들이다. 그들은 정부 수립 후 독재 정권의 비호 속 민족·민주·자주 정신을 철저히 유린해 왔다. 그들이 한사코 광복을 건국으로 바꾸려는 배경은 거기에 있다. 윤 대통령과 정부는 임시정부의 법통 계승을 포기하고 건국을 강조하는 인물에게 독립기념관장을 맡기며 스스로 그들과 동류임을 인정했다. 이런 나라인 게 착잡하다.

                                                                      <참고문헌>

  1. 이준섭, "역사 앞에서 국민 배신한 대통령", 금강일보, 2024.6.9일자. 2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3/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19971 2018.04.12
2385 옛 선비 윤기의 ‘빈부설’ 신상구 238 2024.11.10
2384 윌리엄 전킨과 유니온신학교 사진 신상구 260 2024.11.09
2383 인문학의 위기, 무엇이 문제인가 신상구 247 2024.11.08
2382 K-문학 세계화와 ‘번역 예산’ 역주행 신상구 250 2024.11.07
2381 늑천 송명흠의 삶과 문학 신상구 284 2024.11.07
2380 톨스토이문학상 수상 재미소설가 김주혜 이야기 신상구 383 2024.11.06
2379 광복회 시국선언 신상구 254 2024.11.06
2378 6·10만세운동 이끈 사회주의자 권오설 ‘역사적 복권’을 사진 신상구 268 2024.11.06
2377 청주대 출신 대표 인물 소개 신상구 522 2024.11.05
2376 도산 안창호를 민족운동 지도자로 키운 프레더릭 밀러 선교사 사진 신상구 276 2024.11.05
2375 노년에 생각하는 삶의 계산서 신상구 247 2024.11.05
2374 노벨문학상이라는 폭풍, 그 너머 신상구 255 2024.11.03
2373 석오 이동녕 선생 사진 신상구 248 2024.10.31
2372 노벨경제학상이 놓친 동아시아 기적의 비밀 신상구 282 2024.10.29
2371 가야산 병풍 삼은 서산무형유산의 향연 신상구 283 2024.10.29
2370 한글문화수도 세종서 즐기는 '한글 놀이'로 즐겨요 신상구 272 2024.10.29
2369 잊잊힌 독립투사 김경천의 삶 소설 ‘연해주’로 쓴 송호근 교수 사진 신상구 285 2024.10.29
2368 왜 노벨과학상은 미국·유럽이 휩쓸까 신상구 270 2024.10.28
2367 노벨문학상의 교훈 사진 신상구 271 2024.10.28
2366 ‘한강’의 기적과 문화 브랜딩 사진 신상구 271 2024.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