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인공지능 시대의 도전과 기회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07.02 01:52


                                                                                              인공지능 시대의 도전과 기회

인공지능(AI)의 발전은 우리의 삶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지난 수십 년간 AI 기술은 급격히 발전하며 우리 삶의 많은 부분에 깊숙이 스며들었다.

다양한 산업과 일상 생활에서 혁신을 가져오고 있으며, 또한 새로운 도전과 우려도 함께 야기하고 있다.

먼저 인공지능의 긍정적인 영향으로는 효율성의 증대가 있다. 인공지능은 반복적이고 단순한 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인력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금융, 의료,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대량의 데이터를 신속하게 분석하여 최적의 의사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을 준다.

예를 들어, AI 기반 원격 진료 시스템은 의료 접근성이 낮은 지역에서도 높은 수준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고, AI를 활용한 영상 분석 시스템은 공공장소에서의 범죄 예방과 빠른 대응을 가능하게 한

다. 반면에 인공지능은 일자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AI와 자동화 기술의 발전으로 많은 직업이 대체될 위험에 처해 있다. 특히 단순하고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직종에서 일자리가 감소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AI 시스템은 대량의 개인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데 이 과정에서 개인정보 보호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데이터 유출이나 오남용의 위험도 존재한다. 그리고 AI 기술을 활용한 감시 시스템이 확산되면서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사회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첫째, 윤리적 가이드라인의 설정이다. AI 시스템이 공정성, 투명성, 책임성을 갖출 수 있도록 시스템 적용과정에 필요한 윤리적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둘째, 데이터 관리의 신뢰성이다. AI 시스템의 공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려면 고품질의데이터 관리가 필요하다.

셋째, 규제와 감독 강화이다. 정부와 관련 기관은 AI 기술의 개발과 사용에 대해 적절한 규제와 감독을 강화해야 한다.

넷째, 디지털 리터러시 등 디지털 교육의 강화이다. AI 기술의 발전으로 새로운 기술이 중요해지면서 노동자에 대한 재교육과 새로운 기술의 습득이 중요해지고 있다. 다섯째, 개인정보 보호 강화이다.

AI 시스템이 대량의 개인데이터를 처리함에 따라 데이터 수집과 처리 과정에서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하고, 데이터 유출이나 오남용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적, 법적 조치를 마련해야 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인공 지능이 가져다주는 혜택을 극대화하면서, 그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1. 최예나, "인공지능 시대의 도전과 기회: 우리가 준비해야 할 것들", 충청투데이, 2024.7.1일자. 18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3/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714 2018.04.12
2385 옛 선비 윤기의 ‘빈부설’ 신상구 250 2024.11.10
2384 윌리엄 전킨과 유니온신학교 사진 신상구 278 2024.11.09
2383 인문학의 위기, 무엇이 문제인가 신상구 255 2024.11.08
2382 K-문학 세계화와 ‘번역 예산’ 역주행 신상구 255 2024.11.07
2381 늑천 송명흠의 삶과 문학 신상구 292 2024.11.07
2380 톨스토이문학상 수상 재미소설가 김주혜 이야기 신상구 391 2024.11.06
2379 광복회 시국선언 신상구 272 2024.11.06
2378 6·10만세운동 이끈 사회주의자 권오설 ‘역사적 복권’을 사진 신상구 276 2024.11.06
2377 청주대 출신 대표 인물 소개 신상구 548 2024.11.05
2376 도산 안창호를 민족운동 지도자로 키운 프레더릭 밀러 선교사 사진 신상구 285 2024.11.05
2375 노년에 생각하는 삶의 계산서 신상구 262 2024.11.05
2374 노벨문학상이라는 폭풍, 그 너머 신상구 265 2024.11.03
2373 석오 이동녕 선생 사진 신상구 259 2024.10.31
2372 노벨경제학상이 놓친 동아시아 기적의 비밀 신상구 290 2024.10.29
2371 가야산 병풍 삼은 서산무형유산의 향연 신상구 293 2024.10.29
2370 한글문화수도 세종서 즐기는 '한글 놀이'로 즐겨요 신상구 285 2024.10.29
2369 잊잊힌 독립투사 김경천의 삶 소설 ‘연해주’로 쓴 송호근 교수 사진 신상구 294 2024.10.29
2368 왜 노벨과학상은 미국·유럽이 휩쓸까 신상구 275 2024.10.28
2367 노벨문학상의 교훈 사진 신상구 281 2024.10.28
2366 ‘한강’의 기적과 문화 브랜딩 사진 신상구 294 2024.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