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도산 안창호선생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의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06.13 02:11

                                          도산 안창호선생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의

민병찬
민병찬 국립한밭대 산업경영공학과 교수
도산 안창호는 1878년(고종 15년) 11월 9일 대동강 하류 도롱섬에서 농업에 종사하는 가난한 선비의 셋째아들로 태어났다. 평안남도 강서군 초리면 칠리 봉상도가 그의 출생지이다.

도산은 한말의 애국 지사들 가운데서도 확고한 자기의 사상과 신념을 가지고 항일투쟁을 전개해 나갔던 유일한 인물이다. 나라를 잃은 슬픔과 분노에 맨주먹을 불끈 쥐며 감정적으로 일어나는 애국 지사들도 많았으나 도산은 그러한 감정적인 대응뿐 아니라 독립운동의 방법과 이론을 체계적으로 세워 꾸준히 실천하며 민족을 위한 비전을 제시한 지도자였다. 도산이 가졌던 사상은 남의 이론이나 지식에서 따온 것이 아니고 도산이 직접 독립운동과 투쟁의 삶을 통해서 몸소 창조해 낸 것이라는 데 더 의의가 있다. 도산은 건전한 인격은 다음 세 가지 요소를 갖추어야 한다고 하였다.

첫째로 사(思)·언(言)·행(行)에 있어서 남의 본보기가 될 만한 건실한 도덕적 품성을 가져야 한다. 건전한 인격은 먼저 덕성을 지녀야 한다. 인격적 덕성을 함양하기 위해서 도산은 무실(務實), 역행(力行), 충의(忠義), 용감(勇敢)의 4대 정신을 강조했다.

참되기를 힘쓰고 진실되기를 힘쓰자, 실질에 힘쓰자는 뜻이다. 무실의 반대는 거짓이다. 거짓말하지 말자, 속이지 말자 즉 정직하기를 힘쓰자는 뜻이다. 또 무실의 실(實)은 실천·실행·실용·진실·실질의 `실(實)'로써 진리탐구에 힘쓴다는 뜻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무(務)'는 힘을 쓴다는 뜻으로, 진실을 알고 이를 실천하자, 저마다 참된 것을 힘쓰고 참된 사람이 되자는 것이다.

둘째로 건전한 인격은 한 가지 이상의 전문 지식과 생산 기능을 가진 생산적 직업인이라야 한다. 도산은 특히 이것을 강조했다. 우리 민족은 옛날부터 기술자를 장(匠)이라고 하여 생산 기능을 멸시하는 폐습이 있었다. 그래서 놀고 먹음을 부끄러워하지 않는다. 이런 불로(不勞)의 악습에서 민족의 번영과 부강을 바랄 수는 없다. 도산은 일하는 것은 즉 민족의 번영을 위하는 애국행위라 하여 이를 늘 장려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산은 건전한 인격의 내용으로서 튼튼한 신체를 강조했다. 도산은 언제나 4대 정신과 3대 육을 역설했다. '3대 육' 이란 덕육(德育)·체육(體育)·지육(智育)인데, 그는 지육보다도 덕육과 체육을 앞세웠다. 덕이 없는 지(知)는 악의 힘이 되고 건강 없는 자의 지(知)는 불평밖에 되지 못한다고 생각한 것이다.

도산은 이 같은 세 가지 요소를 두루 갖춘 인재를 수만 명 기를 수 있다면 우리는 일제의 탄압 밑에서라도 자주독립국가가 되어 민족의 영원한 번영을 이룰 수 있다고 믿었다. 도산은 흥사단을 비롯한 여러 수양단체를 조직하고 교육활동을 활발히 펼침으로써 그 신념을 실천에 옮겼다.

도산은 한국인의 민족성의 병폐는 거짓과 공리공론이라고 분석하였다. 그는 허위는 모든 악의 근원이라 하여 우리의 생각과 말과 행동에서 거짓을 없애고 진실하게 행할 때, 민족의 번영과 부강이 있을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실천과 실행이 없이 말로만 떠드는 `공리공론' 의 역사를 바로잡아야 한다고 하였다. 공론가는 모든 책임을 남에게 돌린다. 저는 아무 것도 하지 않고 남보고만 잘하라 하고 또 남에게 왜 잘못했느냐고 시비한다. 이를 위해서는 민족 한 사람 한 사람이 주인 정신을 가져야 한다. 우리나라의 잘 되고 못되고가 다 나에게 달렸다고 느끼는 강한 책임 의식을 가지고 나라 일을 자기 일처럼 걱정하며 앞장 설 때, 우리 민족이 독립국가로서 설 수 있는 기반이 세워진다는 것이다.

도산은 이러한 자기의 사상이 민족 경륜의 철학이라고 굳게 믿고, 죽는 날까지 몸소 부르짖고 실천했었다. `무실 역행주의' 를 실천하여 각자가 자아 혁신과 인격 혁명을 이루어 서로 단결하고 서로 사랑하는 공부를 해서 저마다 진실되고 부지런하고 (무실역행) 신의 있고 용감한 국민이 되려는 (충의용감) 도덕 혁명과 민족 개조 운동이 없이는 우리 민족의 번영과 행복은 있을 수 없다고 보았다. 그의 구국의 이론은 이를 진실되게 행동으로 옮긴 그의 숭고한 생애를 통해서 더욱 빛을 발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1. 민병찬, "도산 안창호선생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의", 중도일보, 2024.6.12일자. 19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3/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18397 2018.04.12
2385 옛 선비 윤기의 ‘빈부설’ 신상구 215 2024.11.10
2384 윌리엄 전킨과 유니온신학교 사진 신상구 237 2024.11.09
2383 인문학의 위기, 무엇이 문제인가 신상구 231 2024.11.08
2382 K-문학 세계화와 ‘번역 예산’ 역주행 신상구 233 2024.11.07
2381 늑천 송명흠의 삶과 문학 신상구 266 2024.11.07
2380 톨스토이문학상 수상 재미소설가 김주혜 이야기 신상구 360 2024.11.06
2379 광복회 시국선언 신상구 231 2024.11.06
2378 6·10만세운동 이끈 사회주의자 권오설 ‘역사적 복권’을 사진 신상구 251 2024.11.06
2377 청주대 출신 대표 인물 소개 신상구 481 2024.11.05
2376 도산 안창호를 민족운동 지도자로 키운 프레더릭 밀러 선교사 사진 신상구 260 2024.11.05
2375 노년에 생각하는 삶의 계산서 신상구 228 2024.11.05
2374 노벨문학상이라는 폭풍, 그 너머 신상구 235 2024.11.03
2373 석오 이동녕 선생 사진 신상구 234 2024.10.31
2372 노벨경제학상이 놓친 동아시아 기적의 비밀 신상구 259 2024.10.29
2371 가야산 병풍 삼은 서산무형유산의 향연 신상구 262 2024.10.29
2370 한글문화수도 세종서 즐기는 '한글 놀이'로 즐겨요 신상구 255 2024.10.29
2369 잊잊힌 독립투사 김경천의 삶 소설 ‘연해주’로 쓴 송호근 교수 사진 신상구 265 2024.10.29
2368 왜 노벨과학상은 미국·유럽이 휩쓸까 신상구 255 2024.10.28
2367 노벨문학상의 교훈 사진 신상구 237 2024.10.28
2366 ‘한강’의 기적과 문화 브랜딩 사진 신상구 247 2024.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