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덕혜옹주의 기구한 삶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06.08 03:39

                                   덕혜옹주의 기구한 삶




1989년 4월21일 덕혜옹주가 낙선재에서 눈을 감았다. 사진은 유치원 시절 덕혜옹주(앞줄 가운데). /사진=국립고궁박물관
    1989년 4월21일 덕혜옹주가 낙선재에서 눈을 감았다. 사진은 유치원 시절 덕혜옹주(앞줄 가운데). /사진=국립고궁박물관

   '전하 비전하 보고 싶습니다. 대한민국 우리나라'. - 덕혜옹주 일기장 중에서

   1989년 4월21일. 조선의 마지막 황녀 덕혜옹주가 낙선재에서 생을 마감했다. 그의 나이 76세 때였다.


   1912년 5월25일. 덕수궁에서 아기의 울음소리가 울려 퍼졌다. 순종과 의친왕, 영친왕 등 세 아들을 둔 고종에게 환갑이 되던 해에 늦둥이 딸이 태어난 것이다.
   덕혜옹주는 1907년 일제의 압력으로 강제 퇴위당한 후 실의의 나날을 보내던 고종에게 큰 위안이 됐다. 고종은 자신을 쏙 빼닮은 덕혜에 대한 애정이 남달랐다. 덕혜를 처소인 함녕전으로 데려와 함께 지내고 덕수궁의 준명당에 유치원을 만들어 주며 애지중지했다.
  그러나 역사의 격랑은 망국의 옹주에게 만만치 않은 운명을 예고하고 있었다.


   부모 잃은 뒤 일본 강제 유학… 가혹한 운명의 시작

덕혜옹주는 14세이 되던 해인 1925년 일본이라는 낯선 이국 땅에 발을 디뎠다. 사진은 소학교 시절 덕혜옹주. /사진=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덕혜옹주는 14세이 되던 해인 1925년 일본이라는 낯선 이국 땅에 발을 디뎠다. 사진은 소학교 시절 덕혜옹주. /사진=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덕혜옹주가 겨우 8세이던 해인 1919년 1월21일 갑자기 고종이 승하했다. 일제는 고종의 삼년상이 끝나자마자 그에게 일본 유학을 강요했다.

   1925년 3월28일. 14세의 어린 소녀는 정든 궁궐을 떠나 일본이라는 낯선 이국땅에 발을 디뎌야 했다. 덕혜는 오빠 영친왕과 그 부인 이방자 여사가 살던 집에 도착했다.

   덕혜는 아오야마에 있는 여자학습원을 다녔다. 그는 말이 없고 급우들과 잘 어울리지도 못했다. 또 고종의 독살설로 독살의 두려움이 있던 그는 학교 갈 때 항상 보온병에 물을 가지고 다녔다.

   이 무렵 덕혜를 더욱 슬프게 한 것은 1926년 오빠 순종의 죽음과 1929년 생모인 귀인 양씨의 사망이었다. 그는 이국땅에서 말 그대로 고아가 된 것이다.

   덕혜는 18세에 불면증과 신경쇠약 증세를 보인 후 조현병 진단을 받았다.

    일본인과의 강제 결혼… 다시 악화된 덕혜의 조현병

1931년 덕혜옹주는 일제에 의해 정략결혼으로 소 다케유키 대마도 백작을 남편으로 맞았다. 사진은 결혼 직전의 덕혜(오른쪽)와 남편 소 다케유키. /사진=국립고궁박물관
1931년 덕혜옹주는 일제에 의해 정략결혼으로 소 다케유키 대마도 백작을 남편으로 맞았다. 사진은 결혼 직전의 덕혜(오른쪽)와 남편 소 다케유키. /사진=국립고궁박물관

   1931년 5월8일. 덕혜는 일제의 강요로 일본인과 정략결혼을 했다. 남편인 소 다케유키는 대마도 백작가문의 양자로 동경대 영문학과를 다닌 엘리트 학자이자 시인이었다.

   결혼 후 1년이 지나 둘 사이에 딸 정혜(마사에)가 태어났다. 그러나 행복한 결혼 생활도 그에겐 버거웠다. 점점 심해지는 병세에 소 다케유키는 1946년 그를 정신병원에 입원시켰다.

   결국 덕혜와 소 다케유키는 합의 이혼했다. 하나뿐인 딸 정혜는 1956년 결혼 뒤 유서만 남긴 채 실종됐다가 일본 남알프스 산악지대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나라를 빼앗긴 데다 부모와 남편, 자식까지 잃은 덕혜옹주는 혼자가 됐다. 망국의 옹주에게 다가온 인간적으로 감당하기 힘든 가혹한 운명은 결국 정신병원 재입원으로 이어졌다.

   

   시대의 비극에 휩쓸린 희생양… 고국 땅에서 눈감다

덕혜옹주는 38년 만에 고국 땅을 밟았다. 사진은 덕혜옹주의 모습. /사진=국립고궁박물관
                     덕혜옹주는 38년 만에 고국 땅을 밟았다. 사진은 덕혜옹주의 모습. /사진=국립고궁박물관

   1945년 해방 이후 덕혜는 조현병을 앓고 있음에도 자신이 살던 고국의 궁궐로 돌아가길 원했다. 그러나 황실의 존재에 정치적 부담을 느낀 이승만 정부는 그의 귀국을 허락하지 않았다. 1961년 11월 박정희 정부가 그의 귀국을 허락했고 1962년 1월26일 마침내 귀국할 수 있었다.

   38년 만에 고국 땅을 밟았지만 영민하고 총명했던 덕혜의 모습은 온데간데 없었다. 정신질환과 중풍으로 눈에 초점을 잃은 모습만 남았을 뿐이었다.

   귀국 후 덕혜는 7년 동안 병원에서 지냈다. 그는 치료 후 창경궁 낙선재와 연결됐던 수강재에서 생활하다가 1989년 4월21일 파란 많았던 삶을 뒤로 하고 눈을 감았다.

   불운의 삶을 살았던 덕혜옹주. 그가 남긴 일기 속 삐뚤삐뚤한 낙서는 가슴을 먹먹하게 한다. '나는 낙선재에서 오래오래 살고 싶어요. 전하 비전하 보고 싶습니다. 대한민국 우리나라'.

                   <참고문헌>
 1. 차화진, " 얼마나 외로웠을까… 이국땅서 혈혈단신 기구한 삶 : 덕혜옹주 별세", Money S, 2024.4.21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3/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17968 2018.04.12
2385 옛 선비 윤기의 ‘빈부설’ 신상구 215 2024.11.10
2384 윌리엄 전킨과 유니온신학교 사진 신상구 237 2024.11.09
2383 인문학의 위기, 무엇이 문제인가 신상구 231 2024.11.08
2382 K-문학 세계화와 ‘번역 예산’ 역주행 신상구 233 2024.11.07
2381 늑천 송명흠의 삶과 문학 신상구 266 2024.11.07
2380 톨스토이문학상 수상 재미소설가 김주혜 이야기 신상구 360 2024.11.06
2379 광복회 시국선언 신상구 231 2024.11.06
2378 6·10만세운동 이끈 사회주의자 권오설 ‘역사적 복권’을 사진 신상구 251 2024.11.06
2377 청주대 출신 대표 인물 소개 신상구 480 2024.11.05
2376 도산 안창호를 민족운동 지도자로 키운 프레더릭 밀러 선교사 사진 신상구 260 2024.11.05
2375 노년에 생각하는 삶의 계산서 신상구 228 2024.11.05
2374 노벨문학상이라는 폭풍, 그 너머 신상구 235 2024.11.03
2373 석오 이동녕 선생 사진 신상구 234 2024.10.31
2372 노벨경제학상이 놓친 동아시아 기적의 비밀 신상구 258 2024.10.29
2371 가야산 병풍 삼은 서산무형유산의 향연 신상구 262 2024.10.29
2370 한글문화수도 세종서 즐기는 '한글 놀이'로 즐겨요 신상구 254 2024.10.29
2369 잊잊힌 독립투사 김경천의 삶 소설 ‘연해주’로 쓴 송호근 교수 사진 신상구 265 2024.10.29
2368 왜 노벨과학상은 미국·유럽이 휩쓸까 신상구 255 2024.10.28
2367 노벨문학상의 교훈 사진 신상구 236 2024.10.28
2366 ‘한강’의 기적과 문화 브랜딩 사진 신상구 247 2024.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