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한국계 미국인 우일연, 최고권위 퓰리처상 받는다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05.09 04:11


                         한국계 미국인 우일연, 최고권위 퓰리처상 받는다


photo



■ 19세기 노예제 다룬 전기물 ‘노예 주인 남편 아내’로 수상

한국계 작가론 이번이 처음
작년 NYT ‘올해의 책’ 선정

공공보도에는 탐사매체 5명

  한국계 미국인 우일연(사진) 작가의 저서가 미국 최고 권위를 가진 퓰리처상을 수상했다.

  퓰리처상 선정위원회는 6일(현지시간) ‘노예 주인 남편 아내’(Master Slave Husband Wife)를 쓴 한국계 미국인 우일연 작가를 전기 부문 공동수상자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우 작가는 부모가 미국에 이민 온 한국계 미국인이다. 예일대에서 인문학 학사학위를, 컬럼비아대에서 영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부친은 환기미술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등을 설계한 재미 건축가 우규승 씨다.

  수상작인 ‘노예 주인 남편 아내’는 1848년 노예 제도가 존재했던 미국 남부 조지아주에서 농장주와 노예로 변장해 북쪽으로 탈출을 감행한 노예 크래프트 부부의 실제 이야기를 다룬 논픽션이다. 아내인 엘렌은 병약하고 젊은 농장주로, 남편인 윌리엄은 엘렌의 노예로 변장한 뒤 증기선과 마차, 기차를 갈아타고 군인과 노예 상인의 눈을 피하며 노예제가 폐지된 북부까지 이동하는 내용을 담았다.

  이야기의 실제 주인공인 크래프트 부부는 탈출에 성공한 뒤 영국으로 건너가 노예제 폐지 연설을 하고 자신들의 이야기에 관한 책을 집필해 유명해졌다.

  우 작가는 앞서 자신의 첫 책 ‘위대한 이혼’(The Great Divorce)을 통해서도 19세기 실존했던 여성 인물의 이혼을 위한 여정을 그렸다. 이번 책은 그의 두 번째 저작으로 지난해 11월 뉴욕타임스 ‘올해의 책’ 10권에 포함되는 등 미국에서 큰 화제가 됐다.

  1917년에 창설된 퓰리처상은 뉴스와 보도사진 등 언론 부문을 비롯해 문학과 드라마 등 예술 부문에서 수상자를 선정한다. 그간 한국·한국계 기자들의 퓰리처상 수상 사례는 있었지만, 한국계 작가의 수상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2021년 한국계 미국인 작가 캐시 박홍이 에세이 ‘마이너 필링스’로 최종 후보에 오른 바 있다.

  한편, 퓰리처상 선정위는 이날 공공보도 부문 수상자로 미 연방대법관의 도덕성 문제를 파헤친 미 탐사보도 전문매체 프로퍼블리카의 조슈아 캐플런 등 기자 5명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앞서 프로퍼블리카는 지난해 클래런스 토머스 연방대법관이 출장·여행 때 억만장자로부터 공짜로 자가용 비행기를 제공 받은 사실을 밝혀냈다.                                                                                          <참고문헌>                                       1. 신재우, "한국계 미국인 우일연, 최고권위 퓰리처상 받는다", 문화일보, 2024.5.7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3/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96361 2018.04.12
2385 옛 선비 윤기의 ‘빈부설’ 신상구 126 2024.11.10
2384 윌리엄 전킨과 유니온신학교 사진 신상구 137 2024.11.09
2383 인문학의 위기, 무엇이 문제인가 신상구 133 2024.11.08
2382 K-문학 세계화와 ‘번역 예산’ 역주행 신상구 145 2024.11.07
2381 늑천 송명흠의 삶과 문학 신상구 148 2024.11.07
2380 톨스토이문학상 수상 재미소설가 김주혜 이야기 신상구 231 2024.11.06
2379 광복회 시국선언 신상구 137 2024.11.06
2378 6·10만세운동 이끈 사회주의자 권오설 ‘역사적 복권’을 사진 신상구 144 2024.11.06
2377 청주대 출신 대표 인물 소개 신상구 303 2024.11.05
2376 도산 안창호를 민족운동 지도자로 키운 프레더릭 밀러 선교사 사진 신상구 158 2024.11.05
2375 노년에 생각하는 삶의 계산서 신상구 138 2024.11.05
2374 노벨문학상이라는 폭풍, 그 너머 신상구 140 2024.11.03
2373 석오 이동녕 선생 사진 신상구 151 2024.10.31
2372 노벨경제학상이 놓친 동아시아 기적의 비밀 신상구 157 2024.10.29
2371 가야산 병풍 삼은 서산무형유산의 향연 신상구 168 2024.10.29
2370 한글문화수도 세종서 즐기는 '한글 놀이'로 즐겨요 신상구 162 2024.10.29
2369 잊잊힌 독립투사 김경천의 삶 소설 ‘연해주’로 쓴 송호근 교수 사진 신상구 163 2024.10.29
2368 왜 노벨과학상은 미국·유럽이 휩쓸까 신상구 161 2024.10.28
2367 노벨문학상의 교훈 사진 신상구 135 2024.10.28
2366 ‘한강’의 기적과 문화 브랜딩 사진 신상구 145 2024.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