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소설가 한강 , 한국 최초 프랑스 4대 문학상인 '메디치상' 수상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03.03 10:49


                                           소설가 한강 , 한국 최초 프랑스 4대 문학상인 '메디치상' 수상


  소설가 한강(54)이 장편소설 ‘작별하지 않는다’로 프랑스 '에밀 기메 아시아 문학상'을 수상했다. 한국 작품으로는 2018년 황석영 작가의 ‘해 질 무렵’ 이후 두 번째 수상이다.

  기메 문학상 심사위원단은 29일(현지시간) 소설 부문 최종 후보에 오른 세 작품 가운데 '작별하지 않는다'를 수상작으로 선정해 발표했다.

  심사위원단은 “우정에 대한 찬가이자 상상력에 대한 찬가이며, 무엇보다도 망각에 대한 강력한 고발”이라며 "소설 그 이상의 가치를 지니면서 수십 년 동안 묻혀 있던 충격적인 기억을 선명하게 드러내는 작품"이라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이어 한강 작가를 “한국에서 가장 위대한 작가로 여겨진다. 작가의 책이 출판되는 것은 한국뿐 아니라 국제적으로 하나의 사건이 된다”고 평가했다.

   이날 시상식에 참석하지 못한 한 작가는 출판사를 통해 "이 소설은 작별 인사를 하지 않기로 결심한 사람들의 이야기로 그들은 깊은 밤, 바닷속에서 촛불을 켠다. 그들처럼 깜빡이는 빛에 대한 믿음을 멈추지 않길 바란다"고 감사함을 표했다.

   에밀 기메 아시아 문학상은 프랑스 파리 소재 기메박물관(국립동양미술관)에서 수여하는 상이다. 2017년 프랑스의 아시아 문학 활성화를 위해 제정됐다. 매년 프랑스어로 번역·출간된 현대 아시아 문학을 대상으로 시상한다.

  한강 작가는 장편소설 ‘작별하지 않는다’로 지난해 11월 프랑스 4대 문학상 중 하나인 메디치 외국 문학상을 수상한 데 이어 2관왕에 올랐다. 소설은 제주 4·3의 비극을 세 여성의 시선으로 풀어낸 작품으로 프랑스에서는 한국문학번역원의 지원을 받아 지난해 8월 최경란·피에르 비지우 번역으로 출간됐다.

  이번 수상의 의미에 대해 한국문학번역원 측은 "에밀 기메 아시아 문학상은 양심과 표현의 자유, 개개인의 정체성과 집단 역사, 그리고 환경과 같은 현대 사회 문제를 반영한 작품에 수여한다"며 "수상작 ‘작별하지 않는다’는 우리 사회의 이면을 문학작품 속에 잘 반영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올해 신설된 그래픽 노블 분야에 마영신 작가의 ‘엄마들’이 최종 후보에 올랐으나 수상하지는 못했다. 수상작은 대만 작가 위페이윤·저우지안신의 ‘타이완의 딸-3부’다.

                                                                                        <참고문헌>

   1. 김근수, "소설가 한강 , 한국 최초 프랑스 4대 문학상인 '메디치상' 수상", 뉴시스, 2024.3.1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3/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19903 2018.04.12
2385 옛 선비 윤기의 ‘빈부설’ 신상구 235 2024.11.10
2384 윌리엄 전킨과 유니온신학교 사진 신상구 257 2024.11.09
2383 인문학의 위기, 무엇이 문제인가 신상구 247 2024.11.08
2382 K-문학 세계화와 ‘번역 예산’ 역주행 신상구 248 2024.11.07
2381 늑천 송명흠의 삶과 문학 신상구 281 2024.11.07
2380 톨스토이문학상 수상 재미소설가 김주혜 이야기 신상구 382 2024.11.06
2379 광복회 시국선언 신상구 251 2024.11.06
2378 6·10만세운동 이끈 사회주의자 권오설 ‘역사적 복권’을 사진 신상구 266 2024.11.06
2377 청주대 출신 대표 인물 소개 신상구 520 2024.11.05
2376 도산 안창호를 민족운동 지도자로 키운 프레더릭 밀러 선교사 사진 신상구 275 2024.11.05
2375 노년에 생각하는 삶의 계산서 신상구 247 2024.11.05
2374 노벨문학상이라는 폭풍, 그 너머 신상구 251 2024.11.03
2373 석오 이동녕 선생 사진 신상구 247 2024.10.31
2372 노벨경제학상이 놓친 동아시아 기적의 비밀 신상구 280 2024.10.29
2371 가야산 병풍 삼은 서산무형유산의 향연 신상구 279 2024.10.29
2370 한글문화수도 세종서 즐기는 '한글 놀이'로 즐겨요 신상구 270 2024.10.29
2369 잊잊힌 독립투사 김경천의 삶 소설 ‘연해주’로 쓴 송호근 교수 사진 신상구 283 2024.10.29
2368 왜 노벨과학상은 미국·유럽이 휩쓸까 신상구 269 2024.10.28
2367 노벨문학상의 교훈 사진 신상구 270 2024.10.28
2366 ‘한강’의 기적과 문화 브랜딩 사진 신상구 268 2024.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