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특별기고> 만장의 의미와 유래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02.20 01:35


                                                     <특별기고> 만장의 의미와 유래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국학박사, 시인, 문학평론가) 대산 신상구

 

  만장(輓章)이란 고인에 대해 애달프게 슬퍼하며 지은 시를 말한다. 만장은 만사(輓詞)라고도 불렀다.

  만장의 유래는 중국 춘추전국시대(기원전 770-221)로 거슬러 올라간다. 장례 행렬에서 상여의 뒤를 따르던 사람이 죽은 사람을 추모하며 애절하게 노래를 불렀는데, 이를 만가(挽歌)라고 한다. 만가는 세월이 흐르면서 죽은 자를 추모하는 한시의 형태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러한 만가는 한(漢)나라 무제(武帝, 기원전 141-87) 때 이르러 장례의 정식 절차 중 하나가 되었다고 한다. 예를 들어 나라에서는 장례 때에 왕족이나 귀족에게는 해로(薤露)라는 시를 만가로 부르게 하였고 사대부나 평민에게는 고리라는 시를 만가로 부르게 했다. 그후 시문학과 예술이 발달했던 당나라 때 와서 죽은 사람을 애도하는 만장이 성행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만장은 고려 시대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김부식(金富軾, 1075-1151)을 비롯한 명현들의 문집에서 발견되고 고려 후기 무신 집권기에 들어와서는 양적으로 늘어났다. 조선시대에는『주자가례(朱子家禮)』의 영향으로 유교식 장례의례가 보급되면서 고인을 기리는 만장을 짓거나 이를 상가에 보내는 일이 활성화되었다. 이 글을 비단이나 종이에 적어 깃발 형태의 만장으로 만들어 장례 행렬에 사용한 것도 만장이라 하는데, 고려 말 성리학자인 정몽주(鄭夢周, 1337-1392)의 장례에도 이를 사용했다고 전한다. 16세기 이후에는 성리학이 정착되면서 만장을 짓거나 장례 행렬에 사용하는 것이 중시되어 서민들에게까지 확대되었다.

  깃발로 쓰인 만장의 경우 폭은 정해지지 않았지만, 대체로 길이는 약 240Cm(8자), 폭은 약 60Cm(2자) 내외였다. 색상은 백, 청, 홍, 황 등 다양했다. 만장의 개수는 왕, 왕세자, 왕세손과 그 비들의 장례와 같은 국장급의 경우 96개를 만든다고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위상에 따라 그 가짓수를 달리했다.

  신분이 엄격한 조선사회에서 양반들은 주로 부인, 자식, 형제, 벗을 대상으로 만장을 지었는데 노비와 기녀를 대상으로 한 만장도 적지 않았다. 문신 김려(金鑢, 1766-1822)는 젊은 시절 자주 드나들던 술집 주모가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주모와의 과거를 회상하며 공허한 심정을 표현하였다. 이처럼 만장은 죽음 앞에 신분의 벽을 넘어 애도를 표현하는 데 사용되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또한 만장이 보편화되었음을 알 수 있는 사례로는 조선 후기에 밀양으로 귀양갔던 이학규(李學逵, 1770-1835)의 글에서 볼 수 있다. 그는 주민들로부터 서울에서 온 문사라고 온갖 문자를 써달라고 요구를 받았는데, 나무꾼이나 소치는 사내, 떡 파는 아줌마, 주모를 따질 것 없이 걸핏하면 지본(紙本 : 종이) 하나를 마련하여 이리저리 쫓아가서 만사를 지어달라 구걸한다며 당시의 상황을 전하고 있다. 이처럼 당시에는 가까운 지인이나 친척의 상갓집에 만장을 써 보내는 것을 가장 큰 부조(扶助)로 생각했고, 받은 상가에서는 영광으로 여겼다.

  사람들은 만장의 수효에 따라 망자의 덕망과 학식을 평가하기도 했다. 또한 세간(世間)에 학식과 덕망이 높다고 알려진 사람으로부터 지은 만장을 받은 망자는 더 높게 평가받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1. 손영배, “만장”, 대순진리회,『大巡會報』277호, 대순 154년. 2025.2. pp.59-62.

시청자 게시판

2,426개(3/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18021 2018.04.12
2385 옛 선비 윤기의 ‘빈부설’ 신상구 215 2024.11.10
2384 윌리엄 전킨과 유니온신학교 사진 신상구 237 2024.11.09
2383 인문학의 위기, 무엇이 문제인가 신상구 231 2024.11.08
2382 K-문학 세계화와 ‘번역 예산’ 역주행 신상구 233 2024.11.07
2381 늑천 송명흠의 삶과 문학 신상구 266 2024.11.07
2380 톨스토이문학상 수상 재미소설가 김주혜 이야기 신상구 360 2024.11.06
2379 광복회 시국선언 신상구 231 2024.11.06
2378 6·10만세운동 이끈 사회주의자 권오설 ‘역사적 복권’을 사진 신상구 251 2024.11.06
2377 청주대 출신 대표 인물 소개 신상구 480 2024.11.05
2376 도산 안창호를 민족운동 지도자로 키운 프레더릭 밀러 선교사 사진 신상구 260 2024.11.05
2375 노년에 생각하는 삶의 계산서 신상구 228 2024.11.05
2374 노벨문학상이라는 폭풍, 그 너머 신상구 235 2024.11.03
2373 석오 이동녕 선생 사진 신상구 234 2024.10.31
2372 노벨경제학상이 놓친 동아시아 기적의 비밀 신상구 258 2024.10.29
2371 가야산 병풍 삼은 서산무형유산의 향연 신상구 262 2024.10.29
2370 한글문화수도 세종서 즐기는 '한글 놀이'로 즐겨요 신상구 254 2024.10.29
2369 잊잊힌 독립투사 김경천의 삶 소설 ‘연해주’로 쓴 송호근 교수 사진 신상구 265 2024.10.29
2368 왜 노벨과학상은 미국·유럽이 휩쓸까 신상구 255 2024.10.28
2367 노벨문학상의 교훈 사진 신상구 236 2024.10.28
2366 ‘한강’의 기적과 문화 브랜딩 사진 신상구 247 2024.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