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홍범도 장군 유해, 서거 78년만에 고국 품으로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8.14 03:22

                                                                                                               홍범도 장군 유해, 서거 78년만에 고국 품으로

광복절 도착… 18일 대전현충원 안장
청산리-봉오동 전투 승전 이끈 영웅
스탈린 강제이주로 카자흐에 묻혀
文대통령, 현지에 특사단 파견… 건국훈장 최고등급 대한민국장 추서
   일제강점기 청산리·봉오동전투를 승전으로 이끌었던 독립운동가 홍범도 장군(1868∼1943·사진)의 유해가 서거 78년 만에 광복절인 15일 고국으로 돌아온다.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은 12일 브리핑에서 “카자흐스탄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대통령이 문재인 대통령의 초청으로 16, 17일 우리나라를 국빈 방문한다”며 “토카예프 대통령 방한과 연계해 카자흐스탄 키질로르다에 안장돼 있는 여천 홍범도 장군의 유해를 모셔올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15일 오후 도착하는 홍 장군의 유해는 16, 17일 이틀간 국민 추모 기간을 거친 후 18일 대전현충원에 안장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유해 봉환을 위해 14일 황기철 국가보훈처장을 특사로 하는 특사단을 카자흐스탄에 파견할 예정이다. 특사단에는 홍범도장군기념사업회 이사장인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국민대표 자격으로 신흥무관학교사업회 홍보대사인 배우 조진웅 씨가 참여한다. 앞서 문 대통령은 2019년 4월 카자흐스탄 국빈 방문 당시 홍 장군의 유해 봉환을 요청했고 이후 정부가 카자흐스탄 측과 실무협의를 진행해왔다. 정부는 지난해 봉오동전투 승전 100주년을 맞아 유해 봉환을 추진했으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미뤄졌다.

   강신철 대통령국방개혁비서관은 “홍 장군은 연해주에 거주하던 1937년 스탈린의 한인 강제 이주정책에 따라 카자흐스탄으로 이주됐고 다음 해 카자흐스탄 키질로르다에 정착한 뒤 1943년 세상을 떠났다”며 “홍 장군이 1921년 연해주로 이주한 지 100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오는 만큼 이번 유해 봉환의 의미는 더욱 크다”고 말했다. 이어 “홍 장군은 민족정기 선양과 국민 애국심 고취, 고려인의 민족 정체성 함양뿐 아니라 한국과 카자흐스탄 간 우호 증진에 기여한 공적을 새롭게 인정받아 이번에 건국훈장 최고등급인 대한민국장이 추서되기 때문에 유해 봉환의 의미가 더욱 크다”고 했다. 홍 장군은 1962년 건국훈장 2등급인 대통령장을 받은 바 있다.

   한편 토카예프 대통령 방한은 2016년 이후 5년 만이다. 지난해 1월 코로나19 사태가 시작된 이후 해외 정상의 첫 국빈 방한이다. 박 대변인은 “카자흐스탄은 중앙아시아에서 우리의 최대 교역국이자 투자 대상국으로 신북방정책 추진의 핵심 협력국”이라며 “교통·인프라·건설, 정보통신기술(ICT), 보건,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양국의 실질 협력을 확대하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양국은 내년 수교 30주년을 맞는다.
                                                   <참고문헌>

   1. 박효목, "홍범도 장군 유해, 서거 78년만에 고국 품으로", 동아일보, 2021.8.13일자. A29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3/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545 2018.04.12
2385 옛 선비 윤기의 ‘빈부설’ 신상구 247 2024.11.10
2384 윌리엄 전킨과 유니온신학교 사진 신상구 276 2024.11.09
2383 인문학의 위기, 무엇이 문제인가 신상구 254 2024.11.08
2382 K-문학 세계화와 ‘번역 예산’ 역주행 신상구 254 2024.11.07
2381 늑천 송명흠의 삶과 문학 신상구 291 2024.11.07
2380 톨스토이문학상 수상 재미소설가 김주혜 이야기 신상구 390 2024.11.06
2379 광복회 시국선언 신상구 269 2024.11.06
2378 6·10만세운동 이끈 사회주의자 권오설 ‘역사적 복권’을 사진 신상구 275 2024.11.06
2377 청주대 출신 대표 인물 소개 신상구 537 2024.11.05
2376 도산 안창호를 민족운동 지도자로 키운 프레더릭 밀러 선교사 사진 신상구 283 2024.11.05
2375 노년에 생각하는 삶의 계산서 신상구 257 2024.11.05
2374 노벨문학상이라는 폭풍, 그 너머 신상구 262 2024.11.03
2373 석오 이동녕 선생 사진 신상구 256 2024.10.31
2372 노벨경제학상이 놓친 동아시아 기적의 비밀 신상구 289 2024.10.29
2371 가야산 병풍 삼은 서산무형유산의 향연 신상구 290 2024.10.29
2370 한글문화수도 세종서 즐기는 '한글 놀이'로 즐겨요 신상구 282 2024.10.29
2369 잊잊힌 독립투사 김경천의 삶 소설 ‘연해주’로 쓴 송호근 교수 사진 신상구 292 2024.10.29
2368 왜 노벨과학상은 미국·유럽이 휩쓸까 신상구 274 2024.10.28
2367 노벨문학상의 교훈 사진 신상구 279 2024.10.28
2366 ‘한강’의 기적과 문화 브랜딩 사진 신상구 291 2024.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