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1909년 추정 등사본『환단고기』의 출현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4.07 02:34

                           1909년 추정 등사본『환단고기』의 출현



                                    



     광진구관내에 위치한 운룡도서관이 개관 4주년을 맞이하여 지난달 27에 4주년 기념식에 판소리 이용수 명인의 공연과 더불어 제97회 역사문화포럼 행사를 개최했다.

     포럼은 운룡도서관 이명우 이사장이 '1911년이전의 등사본 환단고기의 발견과 위서론의 몰락' 제목으로 2시간 강의와 토론이 있었다.


     강의 내용은 작년 12월 6일  청주대학교 강당에서 있었던 ‘세계환단학회 추계 학술대회’에서 이명우 이사장이 논문으로 발표한  '『환단고기』가 위서가 아님을 입증하는 사료의 고찰'에 대한 내용이다.  


   『환단고기』는 1911년 계연수에 의하여 안함로의『삼성기전 상편』, 원동중의 『삼성기전 하편』, 이암의 『단군세기』, 범장의 『북부여기』, 이맥이 저술한 『태백일사』를 합본하여 편찬하여 출간한 역사서이다. 이 『환단고기』가 계연수의 제자 이유립이 보관하여 오다가 1979년에 처음 출판되고 그후 많은 번역서가 나와 재야사학계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특별한 관심을 갖고 있어 왔다.


     그러나 1911년판 『환단고기』의 원본이 존재하지 않고, 『환단고기』에 기술된 내용중에 지명이나 단어들이 청나라 이후에 생긴것이고 따라서 해방후에 만들어진 위서(僞書)라고 주장하는 강단사학계의 일부 학자들 때문에 10여년간 위서론에 휘말려 정당한 역사서로 취급받지 못하였다.


                                          

                                                                                             단군세기


    이번 학술대회에서 이명우 이사장이 발표한 연구 논문에서는 『환단고기』가 위서(僞書)라고 주장하는 특정 지명(예: 영고탑, 문화, 문명 등)과 역사 기술 사항 등이 위서론자들이 주장하는 사용 시기보다 더 오래전에 사용된 많은 증거 문헌과 지도를 찾았아서 『환단고기』가 위서가 아님을 증명하였다. 또한 1909년에 인쇄된 것으로 추정되는 『등사본 환단고기』내용을 공개함으로서 위서론자들이 더 이상 위서라고 주장을 못하게 되었다고 논문에 밝혔다.


   『등사본 환단고기』는 「삼성열기」, 「단군세기」, 「북부여기」로 구성된 가리방 47페이지의 등사본으로서 1979년 출간된 『환단고기』와 내용면에서 약 10% 정도가 상이하다. 기존 『환단고기』에는 단군의 출생년월일이 “辛卯 五月二日寅時”로 되어 있으나 『등사본 환단고기』에는 “辛卯”으로만 되어 있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내용중에 “李沂註曰. --”이란 주해(註解)가 문장중에 곳곳에 있다. 따라서 논자는 1911년에 계연수가 『환단고기』를 편찬하기위한 1909년의 초고(草稿) 자료라고 추정하고 있다.  


   『등사본 환단고기』의 출현은 그동안 강단사학계에서 1979년 출간된 『환단고기』가 위서라고 주장하던 것을 정면으로 반박하는 증빙 문헌으로서 역사학계의 일대 사건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앞으로 학자들에의해서 『환단고기』의 역사적 진실을 밝히는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 성광일보 2020.01.02> 

                                                                             <참고문헌>

    1. 신상구, '한국선도의 맥을 이은 일십당 이맥의 괴산 유배지 추적과 활용 방안',  괴산향토사연구회, 괴향문화 제23집, 디자인아트, 2015. 



시청자 게시판

2,426개(3/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440 2018.04.12
2385 옛 선비 윤기의 ‘빈부설’ 신상구 246 2024.11.10
2384 윌리엄 전킨과 유니온신학교 사진 신상구 276 2024.11.09
2383 인문학의 위기, 무엇이 문제인가 신상구 252 2024.11.08
2382 K-문학 세계화와 ‘번역 예산’ 역주행 신상구 254 2024.11.07
2381 늑천 송명흠의 삶과 문학 신상구 289 2024.11.07
2380 톨스토이문학상 수상 재미소설가 김주혜 이야기 신상구 388 2024.11.06
2379 광복회 시국선언 신상구 268 2024.11.06
2378 6·10만세운동 이끈 사회주의자 권오설 ‘역사적 복권’을 사진 신상구 275 2024.11.06
2377 청주대 출신 대표 인물 소개 신상구 535 2024.11.05
2376 도산 안창호를 민족운동 지도자로 키운 프레더릭 밀러 선교사 사진 신상구 283 2024.11.05
2375 노년에 생각하는 삶의 계산서 신상구 255 2024.11.05
2374 노벨문학상이라는 폭풍, 그 너머 신상구 262 2024.11.03
2373 석오 이동녕 선생 사진 신상구 255 2024.10.31
2372 노벨경제학상이 놓친 동아시아 기적의 비밀 신상구 288 2024.10.29
2371 가야산 병풍 삼은 서산무형유산의 향연 신상구 290 2024.10.29
2370 한글문화수도 세종서 즐기는 '한글 놀이'로 즐겨요 신상구 281 2024.10.29
2369 잊잊힌 독립투사 김경천의 삶 소설 ‘연해주’로 쓴 송호근 교수 사진 신상구 292 2024.10.29
2368 왜 노벨과학상은 미국·유럽이 휩쓸까 신상구 274 2024.10.28
2367 노벨문학상의 교훈 사진 신상구 278 2024.10.28
2366 ‘한강’의 기적과 문화 브랜딩 사진 신상구 289 2024.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