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작가 이상의 생애와 업적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3.12 12:45

                                                                                   작가 이상의 생애와 업적

                                                                                    1. 이상의 생애와 업적

    작가 이상(李箱, 1910-1937)의 본명은 김해경(金海卿)으로, 1910년 9월 서울에서 태어났다. 그는 아들이 없던 백부 김연필(金演弼)의 장손으로 컸는데, 그의 교육열과 후원으로 보성고보(普成高普)를 거쳐 경성고공(京城高工) 건축과를 나온 후 총독부의 건축기수로 취직했다.

    1931년 시 <이상한 가역반응(可逆反應)>과 <파편의 경치>를 《조선과 건축》지에 발표하였고, 1932년 단편소설 <지도의 암실>을 《조선》에 발표하면서 '비구(比久)'라는 익명을 사용했다. 같은 해 시 <건축무한육면각체>를 발표하면서 '이상(李箱)'이라는 필명을 처음으로 사용했고 그 이후로도 계속 '이상'이라는 이름으로 작품활동을 했다.

    그러다 1933년 3월 객혈로 인해 건축기수직을 사임하고, 배천온천에서 폐병을 이기기 위해 요양을 했다.
이때부터 그는 병환으로 인한 절망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문학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1934년 시 <오감도(烏瞰圖)>를 《조선중앙일보》에 연재하기 시작했으나 난해하다는 독자들의 항의로 30회 예정이던 것을 15회에서 중단해야 했다. 1936년에는 《조광(朝光)》지에 소설 <날개>를 발표하였고, 같은 해 결혼하여 일본 도쿄로 가 <봉별기(逢別記)> 등을 발표하기도 했다. 그러나 1937년 사상불온혐의로 체포되었다가 병보석으로 풀려났지만 지병이었던 폐병이 악화되어 결국 만26년 7개월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이후 그의 유해는 화장되어 경성으로 돌아왔다.

   이상의 주요 작품으로는 전기 외에 소설 <지주회시(鼅鼄會豕)>, <환시기(幻視記)>, <실화(失花)> 등이 있고, 시로는 <이런 시(詩)>, <거울>, <지비(紙碑)>, <정식(正式)>, <명경(明鏡)>이, 수필에는 <산촌여정(山村餘情), <조춘점묘(早春點描)>, <권태(倦怠)> 등이 있다. 한편, 그의 사후인 1957년에는 그의 80여 편에 이르는 전 작품을 수록한 <이상전집(李箱全業)> 3권이 간행되었다. 

                                                                                   2. 이상의 작품세계

     이상은 폐결핵 진단을 받은 후 건축 일을 그만두고, 문학에 더욱 열중했어. 1934년에는 문인들의 모임인 구인회에 가입해 김기림, 이효석, 이태준, 정지용, 이무영 등 최고의 작가들과 함께 활동했다.  그는 시, 소설, 수필 등 다양한 작품을 발표하며 문단의 주목을 받았다.   이상은 비록 짧은 생애를 살았지만 그가 한국 문학사에 남긴 업적은 매우 크다. 자신만의 독특한 언어로 파격적인 시를 발표했고, 심리 묘사가 뛰어난 소설 <날개>를 선보였지. 이상은 기존 문학 형태를 파괴하고 새로운 언어와 스타일로 한국 문학의 새로운 길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참고문헌>
    1. "이상", 네이버 지식백과시사상식사전, 지식엔진연구소, 2021.3.12.
    2. "이상", 네이버 지식백과 만화로 보는 교과서 인물, 2021.3.12.

시청자 게시판

2,426개(3/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714 2018.04.12
2385 옛 선비 윤기의 ‘빈부설’ 신상구 250 2024.11.10
2384 윌리엄 전킨과 유니온신학교 사진 신상구 278 2024.11.09
2383 인문학의 위기, 무엇이 문제인가 신상구 255 2024.11.08
2382 K-문학 세계화와 ‘번역 예산’ 역주행 신상구 255 2024.11.07
2381 늑천 송명흠의 삶과 문학 신상구 292 2024.11.07
2380 톨스토이문학상 수상 재미소설가 김주혜 이야기 신상구 391 2024.11.06
2379 광복회 시국선언 신상구 272 2024.11.06
2378 6·10만세운동 이끈 사회주의자 권오설 ‘역사적 복권’을 사진 신상구 276 2024.11.06
2377 청주대 출신 대표 인물 소개 신상구 548 2024.11.05
2376 도산 안창호를 민족운동 지도자로 키운 프레더릭 밀러 선교사 사진 신상구 285 2024.11.05
2375 노년에 생각하는 삶의 계산서 신상구 262 2024.11.05
2374 노벨문학상이라는 폭풍, 그 너머 신상구 265 2024.11.03
2373 석오 이동녕 선생 사진 신상구 259 2024.10.31
2372 노벨경제학상이 놓친 동아시아 기적의 비밀 신상구 290 2024.10.29
2371 가야산 병풍 삼은 서산무형유산의 향연 신상구 293 2024.10.29
2370 한글문화수도 세종서 즐기는 '한글 놀이'로 즐겨요 신상구 285 2024.10.29
2369 잊잊힌 독립투사 김경천의 삶 소설 ‘연해주’로 쓴 송호근 교수 사진 신상구 294 2024.10.29
2368 왜 노벨과학상은 미국·유럽이 휩쓸까 신상구 275 2024.10.28
2367 노벨문학상의 교훈 사진 신상구 281 2024.10.28
2366 ‘한강’의 기적과 문화 브랜딩 사진 신상구 294 2024.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