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선도(仙道)의 대가, 박제상의 정체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1.29 01:16

                                                                    선도(仙道)의 대가, 박제상의 정체 

 

    파사왕계 가문에서 아도갈문왕, 물품파진손(물계자), 박제상, 백결선생 등 신라 상고기를 대표하는 仙家들이 집중적으로 배출되고 있단다


                                                                      

                                                                                          효충사의 박제상 영정(제공=양산시)


    울산은 옛 신라의 땅이다

    당시 신라인들은 고조선에서 왔다.

    김부식은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따르면 고조선의 유민들이 산골짜기 사이에 나뉘어 살았다고 밝혔다

    이승휴 또한 <제왕운기>에서 신라는 단군의 후손이라고 적고 있다.

    특히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는 이름부터가 남다르다

    성씨인 박()은 밝, 밝음의 한자식 표기이다

    이름인 혁거세(赫居世)는 우리말로, 불구내(弗矩內)’이며, ‘밝음으로 세상을 다스림(光明理世)’을 뜻한다

    이는 단군의 건국이념인 홍익인간 재세이화(弘益人間 在世理化)’에서 비롯됨을 알 수가 있다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하고 세상을 이치로 다스리라는 단군의 뜻이 박혁거세로 이어졌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박제상을 보면 어떨까

    정경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과 교수는 신라의 왕족으로서 그의 가문에 주목했다.

 

    신라의 제5대 왕인 파사이사금에서 비롯된 박 씨 왕족 파사왕계 가문은 아도갈문왕[참시선인(始仙人)], 물품파진찬(물계자), 박제상, 백결선생 등으로 이어졌다

    선가들을 배출한 신라의 대표적인 선도(仙道) 가문이었다는 것이다.

 

    탈해이사금 이후 박 씨 왕족은 변경 요새지에 파견하는 관행이 생겼다

    2세기 말부터 3세기 초까지 파사왕계의 물품파진찬은 오늘날의 양산에 해당하는 삽량주에 자리를 잡았다고 한다

    박제상은 이곳에 부임하고 신라의 자립을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고구려의 개입으로 내물왕이 제거되고 실성왕이 즉위하자 관직에서 물러나게 된다.

 

    그는 삽량주에 은거하면서 <징심록(澄心錄)> 15지를 펴낸다

    총 3 15지 체제로 상교 5지는 부도지, 음신지, 역시지, 천웅지, 성신지와 

    중교 5지는 사해지, 계불지, 물명지, 가악지, 의약지 그리고 하교 5지는 농상지, 도인지와 나머지 3지는 미상이다.

 

    물론 징심록 원본은 전하지 않고 영해박씨 가문이 소장하고 있는 자료에서 추정할 수가 있다

    다만 박제상이 당시로는 상상하기도 어려운 방대한 규모의 책을 어떻게 펴낼 수 있었을까? 라는 물음이다

    이에 대해 정경희 교수는 "박제상은 박씨왕족의 핵심 성원으로 왕실 소장 자료들에 비교적 쉽게 접근할 수 있었다라며 

"선도를 입국이념으로 하였던 신라왕실에서 선도 전통을 왕실 차원에서 정리해오고 있었고 이것이 징심록을 편찬할 때에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 박제상은 삽량주에 은거하면서 <징심록>을 펴냈다


                                                             

                                                                   박제상과 그의 아들 백결을 모신 효충사 전경(제공=양산시)


     징심록 중에서 <부도지(符都誌)>는 마고부터 환인, 환웅, 단군으로 이어진 한국선도의 계보를 전하고 있다

     징심록은 영해박씨 가문에 대대로 전해오다가 대일항쟁기와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소실되고 만다

     박제상의 후손인 박금 씨가 원본을 기억해서 되살렸다

     김은수 씨가 한글로 번역하고 주해해서 1985년에 단행본으로 펴냈다

     이러한 점은 <태백진훈> <단군세기> 등의 선도사서를 펴낸 고성이씨 가문과 유사하다

     후손에 의해서만 전해질 수밖에 없던 이유는 당시의 지배층이 선도사서(仙道史書)를 금서로 지정했기 때문이다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수서령(收書令)이 대표적이다.

 

      박제상의 문헌만 후대에 복원한 것이 아니다. 유적 또한 마찬가지다

      앞서 소개한 울산의 치산서원을 비롯해서 양산 효충사(孝忠祠), 공주시 동계사(東鷄寺), 

      경북 영덕 운계서원(雲溪書院) 등이 있다.

 

      효충사는 박제상과 그의 아들 백결 선생을 위패로 모셨다

      1946년에 처음으로 세워졌고 1988년 개축했다

      경상남도기념물 제90호이다

      양산시는 지난해 10월 박제상유적 효충역사공원을 조성했다

      동계사는 신라의 유신이었던 류차달이 시조 박혁거세와 충신 박제상의 초혼제를 지내기 위해 모신 것이다

      훗날 사찰이 확장되고 동학사(東鶴寺)로 이름이 바뀌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운계서원은 1824년 지방유림이 박제상·박세통·박응천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최치원의 유적이 전국적인 것처럼 박제상 또한 다양한 지역에서 전승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다만 조선시대 효와 충이라는 유교 이데올로기가 아니라 최치원이 말한 우리나라 고유의 도선도(仙道)를 잇는 박제상 유적이 없음이 아쉬울 뿐이다.

                                                                                                         <참고문헌> 

      1. 윤한주, "한국선도의 대가 박제상은 누구인가", 코리안 스프릿, 2020. 11. 23.

      2.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한국선도의 역사와 문화,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출판부2006

      3. 박제상 저, 김은수 역, 부도지, 한문화, 2002.

      4. 정경희, 4세기 후반~5세기 초 신라의 仙道와 朴堤上, 고조선단군학 제27, 고조선단군학회, 2012.

 

                                                                                                             <부록>

    징심록 중에서 <부도지(符都誌)>는 마고부터 환인, 환웅, 단군으로 이어진 한국선도의 계보를 전하고 있다.

    박제상은 15지에 이르는 방대한 체제의 저술을 위하여 수많은 책자와 자료들을 참조하였을 것으로 보인다물론 박제상의 집안 자체가 신라의 대표적인 선도 가문으로서 적지 않은 가장서家藏書를 갖추고 있었을 것으로 보이지만 저술의 규모나 내용 등으로 미루어 일가문의 가장서를 정리한 차원으로 보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

   『징심록』열람후「징심록추기」를 쓴 바 있던 김시습은『징심록』에 대해 내용이 비단 한 문중에 전해진 것만으로 볼 수 없고, 박제상이 보문전寶文殿 이찬伊飡으로 재직하던 10년 사이에 반드시 그 상세한 것을 얻었을 것으로 평한 바 있다

    박제상은 박씨왕족의 핵심 성원이었기에 왕실 소장 자료들에도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이지만 특히 27세 되던 해에 왕실도서관 겸 문한기구인 보문전 이찬직을 역임하였던 적이 있는데이때에 왕실 소장 자료들을 본격적으로 열람할 기회를 가졌고 또 이것이『징심록』에 반영된 것으로 본 것이다

   김시습은 또한 박제상이 접한 자료들이 신라 개국 이후의 것들이 아니라 더 이전의 오랜 시기부터 전해진 것으로도 보았다.

  『연의』에서는 한국선도를 주로天雄道로 지칭함

  『징심록』의 일이 멀리는 太古에 관계하고 넓게는 우주의 일에 관여하여 그 광대함은 실로 말할 수가 없으며 우리 동방 創都의 역사와 夏土(중국: 필자주) 變異의 기록은 사람으로 하여금 참으로 숙연하게 한다

   통칭 그윽한 의미(奧義)가 仙道(여기에서는 韓國仙道가 아닌 中國道敎의 의미로 사용됨

  『연의』에서는 한국선도를 주로天雄道로 지칭함 : 필자주)나 佛法과 비슷하나 같지 아니하다

   당시 신라에는 잠시도 仙··佛이 침투해오지 않았으니 이는 古史에 근거한 것이 분명하다

   그 神市 往來의 說과 有戶氏 傳敎의 일이 진실이니 고금천하의 모든 法이 모두 여기에서 나와 잘못 전해져 버린 것이다

   그러므로 이 책의 다름이 儒佛의 세계에 용납되지 아니하며, 또 帝王의 영토에서 배척당한 것이 당연하다.

 

시청자 게시판

2,109개(3/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4064 2018.04.12
2068 ‘조선 독립 호소’ 외교문건 12점 첫 공개 사진 신상구 45 2024.02.29
2067 &lt;특별기고&gt; 3.1운동의 원인과 경과와 영향 사진 신상구 42 2024.02.28
2066 시부는 중국, 남편은 북한... 죽어서도 가족 못 보는 비운의 독립운동가 사진 신상구 63 2024.02.27
2065 ‘토종 박사’ 차미영 교수, 한국인 첫 獨 막스플랑크 연구소 단장 선임 신상구 53 2024.02.26
2064 풍수를 한국 전통지리학으로 정초한 최창조 선생을 기리며 사진 신상구 69 2024.02.26
2063 <특별기고> 2024년 정월대보름 맞이 대동 장승제 봉행을 경 사진 신상구 79 2024.02.24
2062 대전 근대건축물 한암당 ‘흔적 없이 사라질 판’ 사진 신상구 77 2024.02.23
2061 한국 노벨과학상 수상 가능성 사진 신상구 57 2024.02.22
2060 <특별기고> 만장의 의미와 유래 사진 신상구 61 2024.02.20
2059 北 언어학 설계한 천재 언어학자 김수경 이야기 신상구 111 2024.02.16
2058 보문산서 발견 1천년 불상 어디에 사진 신상구 61 2024.02.16
2057 간디가 말한 망국의 7가지 징조. 우리 사회 혼란 병폐 모순과 일치 걱정 신상구 73 2024.02.13
2056 [한국의 과학 명가] 한국 첫 화학박사 고 이태규씨 일가 사진 신상구 108 2024.02.10
2055 1969년 한국인 첫 노벨상 후보 이태규 화학박사 신상구 69 2024.02.08
2054 대전 노숙인 54명 르포 사진 신상구 123 2024.02.04
2053 풍수학인 최창조 박사 타계 사진 신상구 52 2024.02.03
2052 청풍승평계 단원 이건용(李建龍) 의병 이야기 사진 신상구 82 2024.01.30
2051 국제뇌교육대학원대학교 국학과 정경희 교수의 민족사학 요체 사진 신상구 157 2024.01.29
2050 문화계 영원한 마당발 김종규 이사장의 교유기 신상구 155 2024.01.29
2049 '빛의 화가' 김인중 신부 "내 모든 예술은 어둠에서 빛으로&q 사진 신상구 128 2024.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