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충북의 명문 청주고 졸업생 맥박 속에 언제나 살아계신 이백하 선생님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0.12.01 21:55

                                           충북의 명문 청주고 졸업생 맥박 속에 언제나 살아계신 이백하 선생님

 
  1919년 기미년 4월 1일 아우내 장터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하신 항일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이신 포암 이백하 선생님, 당신은 50년대에 청주고를 졸업한 학생들에게는 가슴에 큰 자리 매김하고 계신 존경받는 스승님이셨습니다.

   청주고등학교에 입학하던 해 학생들의 성화에 못 이겨 들려주시던 지난 이야기. 일제 때 충남 병천에서 일어난 3.1만세 사건과 연루되시어 서대문 형무소에서 옥살이를 마치고 나오신 후 산사(山寺)에 들어가셔서 학문에 몰두하시고 그 후 50년대 청주고에서 10주년을 맞으셨습니다.  

   선생님께서는 한문시간이면 그 말의 출전과 어원까지 밝혀 주시며 폭넓고 깊이 있는 강의와 흐트러짐 없으신 인자하시면서도 단정하신 모습은 인격적으로 저희들을 압도하셨으며 질풍노도와 같은 저희들이 인격적으로 성장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주신 스승님이셨습니다. 

   1950년대 가난과 혼돈의 시대에 청소년기의 야생마 같은 저희들을 길들여 주셨으며 '높은 길'로 시작되는 청주고 교가를 작사하셨고 교지의 제호를 문봉(文鋒)으로 삼으셨으니 청고인의 맥박 속에 선생님께서는 영원히 자리 매김하고 계십니다.
   교직에 몸담은 후 출람지예(出藍之譽)를 보람으로 정열을 쏟아 저희들을 지도해 주시던 선생님의 모습을 그리며 학생들과 동고동락했고  사표(師表)로서의 선생님의 모습을 닮아 가려고 노력하다보니 이룬 것 없이 교직 30년의 세월이 흘렀습니다.
   "스승과 제자의 만남은 인격적 만남이어야 하고 평생토록 끈끈한 정으로 이어져야 한다. 스승은 무한한 애정을 가지고 진정한 인생의 인도자로서 정성껏 가르치고 학생들은 항상 감사하고 존경하는 마음으로 배움에 임해야 한다.

   평범한 스승은 말을 하고 좋은 스승은 설명으로 하고 우수한 스승은  모범을 보이고 위대한 스승은 감화를 준다"는 선생님의 말씀, 항상 마음에 두고 생활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뵐 수 없기에 더욱 그리운 선생님, 오늘도 저는 선생님의 귀한 가르치심 마음에 새기며 교직자의 자세를 바로 잡고있습니다. <청주 청운중 교장>

                                                                               <참고문헌>
    1. 김재영, "<아! 나의 선생님> 이백하 선생님", 한국교육신문, 2001.6.25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3/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548 2018.04.12
2385 옛 선비 윤기의 ‘빈부설’ 신상구 247 2024.11.10
2384 윌리엄 전킨과 유니온신학교 사진 신상구 276 2024.11.09
2383 인문학의 위기, 무엇이 문제인가 신상구 254 2024.11.08
2382 K-문학 세계화와 ‘번역 예산’ 역주행 신상구 254 2024.11.07
2381 늑천 송명흠의 삶과 문학 신상구 291 2024.11.07
2380 톨스토이문학상 수상 재미소설가 김주혜 이야기 신상구 390 2024.11.06
2379 광복회 시국선언 신상구 269 2024.11.06
2378 6·10만세운동 이끈 사회주의자 권오설 ‘역사적 복권’을 사진 신상구 275 2024.11.06
2377 청주대 출신 대표 인물 소개 신상구 537 2024.11.05
2376 도산 안창호를 민족운동 지도자로 키운 프레더릭 밀러 선교사 사진 신상구 283 2024.11.05
2375 노년에 생각하는 삶의 계산서 신상구 257 2024.11.05
2374 노벨문학상이라는 폭풍, 그 너머 신상구 262 2024.11.03
2373 석오 이동녕 선생 사진 신상구 256 2024.10.31
2372 노벨경제학상이 놓친 동아시아 기적의 비밀 신상구 289 2024.10.29
2371 가야산 병풍 삼은 서산무형유산의 향연 신상구 290 2024.10.29
2370 한글문화수도 세종서 즐기는 '한글 놀이'로 즐겨요 신상구 282 2024.10.29
2369 잊잊힌 독립투사 김경천의 삶 소설 ‘연해주’로 쓴 송호근 교수 사진 신상구 292 2024.10.29
2368 왜 노벨과학상은 미국·유럽이 휩쓸까 신상구 274 2024.10.28
2367 노벨문학상의 교훈 사진 신상구 279 2024.10.28
2366 ‘한강’의 기적과 문화 브랜딩 사진 신상구 291 2024.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