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이인성의 ‘순응’을 오마주한 강요배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2.01.26 10:41

                 이인성의 ‘순응’을 오마주한 강요배

동아일보

이인성, ‘가을 어느 날’(1934년), 캔버스에 유채, 96×161.4cm, 리움미술관 소장. 계절적 배경은 가을인데 등장인물들은 여름 옷차림을 하고 있다. 계절의 불일치가 모순의 시대를 암시한다.



동아일보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


   들판은 다소 어수선하다. 들판이라면 대개 같은 종류의 식물이 자리 잡고 있어야 하나 이곳은 그렇지 않다. 산만하다고 해야 할까, 불안하기까지 하다. 무엇보다 구부정하게 시든 해바라기 한 그루가 을씨년스럽게 서 있다. 이런저런 꽃나무들이 대충 자리 잡고 있다. 혼돈의 시대를 의미하는 것 같다.

  더욱 눈길을 끄는 것은 젊은 여성과 소녀다. 길게 머리를 땋은 여성은 상반신을 드러내놓고 우두커니 서 있다. 멋진 바구니를 들고 누군가를 기다리고 있는 것 같다. 하지만 표정은 그렇게 밝지 않다. 고개 숙이고 있는 단발머리 소녀, 그는 왜 거기에 서 있을까. 이인성 화가의 ‘가을 어느 날’(1934년) 이야기다. 조선향토색론이 유행했던 1930년대, 시대의 표정을 담은 유화 대작이다.

   조선향토색론은 무엇인가. 조선총독부 주최의 조선미전은 으레 관학파적인 일본 화가를 심사위원으로 초청했다. 이들은 심사 기준으로 조선의 향토를 내세우며 이를 그리라고 권했다. 겉으로 듣기에는 아주 멋있는 말이다. 조선의 향토를 그려라. 그래서 그런지 농촌 풍경이 그림 소재로 유행했다. 하지만 여기에는 함정이 있었다. 농촌의 피폐한 현실은 외면한 채 목가적으로만 그렸기 때문이다. 식민지 현실의 외면. 이는 동시대 화가들에게는 뼈아픈 지적 사항이었다. 조선향토색론의 한계이기도 했다.

   이인성은 일제강점기의 스타 작가였다. 매년 봄마다 개최했던 ‘조선미전’에서 최고상을 받은 데다 어린 나이에 추천작가에 올랐기 때문이다. ‘가을 어느 날’과 함께 ‘경주 산곡에서’(1935년)가 대표작으로 꼽힌다. 경주 그림은 숲에서 개간하고 있는 소년을 주인공으로 삼았다. 하지만 이면에는 패망한 천년 왕국의 신라문화를 배경으로 깔았다. 붉은색을 띠는 황토. 거기에 신라 기와를 노출해 영화를 누린 역사를 소환하고 있다.

   ‘가을 어느 날’의 경우 들판은 제목처럼 가을 풍경이지만 등장인물은 윗옷을 벗고 붉은 피부를 드러낸 여름날의 모습이다. 계절 불일치의 경우다. 모순의 시대임을 알려주고 있다. 적토(赤土), 숲조차 흔치 않았던 헐벗은 국토. 궁핍한 시대의 상처다.

   제주 화가 강요배는 ‘어느 가을날’(2021년)을 그렸다. 1월 9일 막을 내린 대구미술관 ‘이인성 미술상’ 수상 작가 기념전 ‘강요배: 카네이션―마음이 몸이 될 때’에 출품했던 대작이다. 이인성을 오마주했다. 하지만 두 그림의 형식과 내용은 사뭇 다르다. 이인성의 작품이 일종의 ‘연출된 풍경’이라면 강요배의 작품은 ‘현실 풍경’의 사실적 재현에 가깝다. 이인성은 순응(順應)의 풍경을 그린 반면 강요배는 저항의 풍경을 담았다.
               동아일보
강요배, ‘어느 가을날’(2021년), 캔버스에 아크릴, 197×333cm, 대구미술관 소장. 이인성의 ‘가을 어느 날’을 오마주한 작품으로, 1946년 10월 대구의 시위 현장을 담았다.


   ‘어느 가을날’은 1946년 10월 대구의 시위 현장을 재현한 작품이다. 친일 경찰의 행패에 저항하면서 “쌀을 달라”고 외치던 시민들의 ‘주장’을 모셔왔다. 아니, 절규를 담았다. 현장을 가득 메운 사람들은 흥미롭게도 젊은 여성들이다. 이들은 하얀 저고리와 검은 치마를 입고, 더러는 구호를 적은 깃발을 들고, 또 누구는 어린 아들을 데리고 나왔다. 역동적 장면이다.

   강요배는 1980년대 민중미술 운동에 참여해 예술세계의 지평을 넓히는 데 기여했다. 당시 ‘현실과 발언’ 동인으로 주목을 받았다. 제주 민중항쟁사 연작, 특히 제주4·3사건의 ‘동백꽃 지다’ 계열의 작품은 대표작급이다. 뚝뚝 소리 내며 떨어지는 동백꽃으로 상징한 제주의 목소리는 울림이 컸다. 민중미술운동의 성과를 이룬 뒤 그는 고향 제주에 정착했다. 낙향 생활로 그는 자연과 가까워졌다. 캔버스에 제주의 거친 파도와 거센 바람소리를 담았다. 지극히 단순한 자연 현상, 그렇지만 조형적으로 표현하기는 쉽지 않았을 것이다. 이번 대구미술관 전시장을 제주바람으로 가득 채운 강요배의 예술은 감동의 현장이기도 했다.

   강요배의 또 다른 출품작 ‘산곡(山谷)에서’(2021년)는 상징성이 큰 작품이다. 화면의 대부분은 붉은 황토의 대지로 채웠다. 파헤쳐진 드넓은 땅은 이곳이 건축 현장임을 알려준다. 저 멀리 고층 아파트가 보인다. 문제는 일하고 있는 사람들이 아닌 근경의 젊은 사람이다. 그는 흙무더기 위에 앉아 고개를 숙인 채 두 손으로 얼굴을 감싸고 있다. 고통의 순간이다. 파헤쳐지는 땅, 그 붉은 적토에 머리를 박고 무슨 고뇌에 빠져 있을까. ‘산곡에서’는 이인성의 ‘경주 산곡에서’를 염두에 두고 그린 작품이다. 개간의 현장. 하지만 패망한 역사가 있고, 도시화 현상에 따른 자연 파괴의 현장이 있다.

   대구는 한국 근대미술의 요람으로 유명하다. 평양과 더불어 쌍벽을 이루면서 숱한 작가를 길러냈다. 대표 작가로는 이인성과 그의 초등학교 동창생 이쾌대가 있다. 빈곤 가정 출신인 이인성은 6·25전쟁 당시 경찰에 의해 비명횡사했고 대지주 집안 출신인 이쾌대는 그 많은 재산을 버리고 월북했다. 이들 동창생의 운명은 분단시대를 상징한다. 여기에 강요배는 대구를 찾아 제주의 소리를 들려줬다. 바닷바람 소리, 싱싱하다.
                                                            <참고문헌>
   1. 윤범모, "이인성의 순응을 오마주한 강요배", 동아일보, 2022.1.25일자. A28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29/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75289 2018.04.12
1865 <특별기고> 매헌 윤봉길 의사 상해의거 90주년을 경축하며 사진 신상구 516 2022.05.04
1864 <특별기고>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생애와 업적과 리더십의 국제화 신상구 793 2022.05.04
1863 우크라 살던 유대인 대가족, 러시아 추방령에 고향 떠났죠 사진 신상구 726 2022.05.03
1862 히틀러 나치정권 프로파간다의 천재 괴벨의 주요 어록 신상구 567 2022.05.02
1861 정조의 사상 통제로 조선 학문은 몰락했다 사진 신상구 1118 2022.05.02
1860 함평 최진석 기본학교 사진 신상구 1488 2022.05.01
1859 문화독립운동가 간송 전형필 선생 사진 신상구 981 2022.05.01
1858 매헌 윤봉길 의사의 농촌부흥운동과 독립운동 신상구 557 2022.04.27
1857 괴짜 소설가 이외수 타계 사진 신상구 531 2022.04.26
1856 과학기술과 경제성장, 그리고 민주주의 사진 신상구 1037 2022.04.24
1855 소제동 철도관사촌 신상구 582 2022.04.21
1854 4.19혁명 62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기념식 개최 현황 사진 신상구 638 2022.04.21
1853 대한민국 임시정부기념관에서 임시정부 수립 103주년 기념식 엄수 사진 신상구 640 2022.04.13
1852 ‘보협인석탑’ 천안으로 돌아와야 사진 신상구 837 2022.04.10
1851 6. 500년 모순을 뒤집은 갑오개혁 신상구 709 2022.04.08
1850 제주 4.3사건 국군 희생자 박진경 대령 이야기 사진 신상구 926 2022.04.08
1849 아우내 장터 독립만세운동의 한 주역, 김구응 열사 추모사업회 출범 사진 신상구 562 2022.04.08
1848 <특별기고> 제77회 식목일의 역사적 의의와 천안시의 산불방지 첨부파일 신상구 752 2022.04.06
1847 <특별기고> 아우내 장터 항일독립만세운동 103주년을 기념하며 사진 첨부파일 신상구 797 2022.04.06
1846 세종대왕의 리더쉽 사진 신상구 674 2022.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