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카메라 사진과 견주어도 손색없는 조선의 초상화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12.24 02:38
   카메라 사진과 견주어도 손색없는  조선의 초상화
태조 이마의 작은 혹, 추사 뺨 천연두 자국까지 그렸죠!
똑같은 주름과 검버섯, 알고 보니 같은 사람?
얼굴이 너무 닮아서 보는 사람을 놀라게 하는 두 초상화가 있습니다. 정조 때 '호조참판'을 지낸 '이채(1745~1820)'와 영조 때 '대제학'을 지낸 그의 할아버지 '이재(1680~1746)'의 초상화로 알려진 그림이죠.
머리털 한 올도 다르면 안 돼
조선의 국가 철학'성리학(유교)'에서 전통적으로 그림이나 조각이 원래 사람과 조금이라도 다르면 안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공자 같은 성인의 상(像)'진짜 같지 않다'는 이유로 모두 땅에 파묻고 나무로 만든 신주(죽은 사람의 위패)를 대신 놓았다고 하죠. 결국 초상화도 주인공을 최대한 사실적으로 묘사하려 하면서 자연스레 세밀한 초상화가 발달하게 된 것입니다.
임금의 비서실 격인 '승정원'의 기록 '승정원일기'에 이런 말이 나오죠. "털끝 하나 머리털 한 가닥이(일모일발·一毛一髮) 조금이라도 차이가 나면(소혹차수·小惑差殊) 곧 다른 사람이다(즉편시별인·卽便是別人)."
피부병 분석까지 가능한 조선 초상화
이 총장은 훗날 조선 시대 초상화를 바탕으로 피부 질환에 대한 논문을 썼죠. 초상화 268점을 조사한 결과 20종의 피부 병변(병 때문에 일어나는 생체의 변화)을 발견했습니다. 초상화 113점에선 '점', 85점에선 '검버섯', 37점에서 '지루각화증(돌출한 검버섯)'이 발견됐죠. 또 73점에선 '천연두 흉터'를, 9점에선 '흑색 황달'을 찾아냈습니다.
예컨대 태조 이성계(1335~1408)의 초상화에선 '오른쪽 눈썹 위 이마의 작은 혹(모반세포성모반)이 보였다'고 하죠. 이런 피부병 흔적은 과시욕이 강하게 드러나는 중국 초상화나 얼굴을 밝게 칠한 일본 초상화에선 결코 볼 수 없습니다. 이에 대해 "올곧음과 정직함이라는 조선 선비 정신이 초상화 기법에서 드러난 것"이라고 보기도 하죠.
사람의 기품까지 그려냈다
카메라의 원조
현대 사진기가 발명되기 전 서양에서 쓰던 원시적 형태의 사진기가 카메라 오브스쿠라(camera obscura)입니다. '어두운 방'이라는 뜻의 라틴어이죠. 캄캄한 공간에서 벽에 작은 구멍을 뚫고 빛을 통과시키면 반대쪽 벽에 바깥 풍경이 거꾸로 비치는데, 르네상스 시대 레오나르도 다빈치 같은 화가들은 이 원리를 이용해 캔버스에 영상이 비치게 하고 그림을 그렸다고 합니다.
17~18세기 조선에도 '카메라 오브스쿠라'가 들어왔죠. 다산 정약용은 형 정약전 집에서 학자 이기양'칠실파려안'을 설치하고 거꾸로 비친 그림자를 따라 초상화 초본을 그리게 했다는 기록을 남겼는데, '칠실파려안'카메라 오브스쿠라로 여겨집니다.
초상화가 '이명기'가 문인이자 화가'강세황'의 71세 때 초상화를 그릴 때 '카메라 오브스쿠라'를 사용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입체감을 살린 얼굴 표현, 옷 주름 묘사의 명암법이 그 근거라는 것이죠!
<참고문헌>
1. 유석재/김연주, "태조 이마의 작은 혹, 추사 뺨 천연두 자국까지 그렸어요", 조선일보, 2021.12.23일자. A32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29/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442 2018.04.12
1865 <특별기고> 매헌 윤봉길 의사 상해의거 90주년을 경축하며 사진 신상구 975 2022.05.04
1864 <특별기고>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생애와 업적과 리더십의 국제화 신상구 1151 2022.05.04
1863 우크라 살던 유대인 대가족, 러시아 추방령에 고향 떠났죠 사진 신상구 997 2022.05.03
1862 히틀러 나치정권 프로파간다의 천재 괴벨의 주요 어록 신상구 1166 2022.05.02
1861 정조의 사상 통제로 조선 학문은 몰락했다 사진 신상구 1747 2022.05.02
1860 함평 최진석 기본학교 사진 신상구 1916 2022.05.01
1859 문화독립운동가 간송 전형필 선생 사진 신상구 1297 2022.05.01
1858 매헌 윤봉길 의사의 농촌부흥운동과 독립운동 신상구 865 2022.04.27
1857 괴짜 소설가 이외수 타계 사진 신상구 832 2022.04.26
1856 과학기술과 경제성장, 그리고 민주주의 사진 신상구 1628 2022.04.24
1855 소제동 철도관사촌 신상구 910 2022.04.21
1854 4.19혁명 62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기념식 개최 현황 사진 신상구 1009 2022.04.21
1853 대한민국 임시정부기념관에서 임시정부 수립 103주년 기념식 엄수 사진 신상구 999 2022.04.13
1852 ‘보협인석탑’ 천안으로 돌아와야 사진 신상구 1139 2022.04.10
1851 6. 500년 모순을 뒤집은 갑오개혁 신상구 1075 2022.04.08
1850 제주 4.3사건 국군 희생자 박진경 대령 이야기 사진 신상구 1278 2022.04.08
1849 아우내 장터 독립만세운동의 한 주역, 김구응 열사 추모사업회 출범 사진 신상구 860 2022.04.08
1848 <특별기고> 제77회 식목일의 역사적 의의와 천안시의 산불방지 첨부파일 신상구 1065 2022.04.06
1847 <특별기고> 아우내 장터 항일독립만세운동 103주년을 기념하며 사진 첨부파일 신상구 1114 2022.04.06
1846 세종대왕의 리더쉽 사진 신상구 963 2022.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