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해발 734m의 육십령, 고대 가야 반파국의 철광석 로드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12.21 02:49


해발 734m의 육십령, 고대 가야 반파국의 철광석 로드


영호남을 왕래하는 길은 평탄한 길이 없다. 전북 장수군과 경남 함양군을 연결하는 고갯길이 해발 734m의 육십령(六十嶺)이다. 나는 이 고갯길을 넘어갈 때마다 그 이름에 의문이 들곤 하였다.

산적들의 약탈을 피하기 위해서는 고개를 넘을 때 적어도 60명이 모여서 넘어야 한다는 전설이 있다. 산적 떼가 그 옛날 이 험한 오지 산길에서 얼마나 털어갈 물건이 있었다고?

그 오래된 의문이 근래에 가야사를 연구하는 곽장근(60·군산대·’전북 고대 문화 역동성’) 교수의 설명을 들으면서 풀렸다. “전북 장수가 고대의 철(鐵) 생산지입니다. 장수군 일대가 질 좋은 철광석 산지입니다.

여기서 제련한 쇳덩어리나, 철제 무기를 경상도 지역의 대가야나 금관가야 지역으로 수출했던 것입니다. 당시 최고 제품이었던 철기를 수출하려면 반드시 육십령을 넘어야 했죠.”

가야 문화의 특징을 꼽으라면 철기 문화다. 가야는 철이 발달했던 것이다. 강력한 쇠로 만든 칼이나 무기들이 전쟁의 승패를 좌우하였다. 문제는 이 철을 어디에서 공급받느냐 하는 것이었다.

전북 장수는 고대 가야의 소국 가운데 하나였던 ‘반파국’이 있었던 지역이다. 서기 300년대 후반 시작되어 500년대 초반까지 대략 150년 동안 유지되었던 소국이다.

장수군 장계면에는 반파국 왕궁이 자리 잡고 있었다. 반파국의 수출품은 철이었다. 이 일대 지질 구조가 모두 철광석을 함유한 산맥이었다.

대가야의 고령이나 금관가야의 김해 쪽에는 지형적으로 이런 철광석 산맥이 드물었다. 고고학자들의 조사 발굴에 따르면 장수군 일대에서 제철 유적지가 현재까지 80군데 발견되었다. 화로 속에다 철광석을 넣고 숯으로 가열해서 철만 뽑아내는 제련 유적지가 80군데라는 이야기다.

철을 뽑아내려면 2000도까지 가열해야만 한다. 도가지(독의 방언)를 굽는 가마 온도가 대강 1300도이다. 화로 속에 숯과 철광석을 시루떡처럼 차곡차곡 쌓아 올려 2000도까지 고온으로 가열하는 기술이 당시의 첨단 기술이었다.

철광석에다가 이 첨단 기술을 가야 소국 가운데 하나인 반파국이 가지고 있었다는 이야기이다. 요즘으로 치면 반도체에 해당하는 철을 고령의 대가야나 김해의 금관가야까지 운반하려면 반드시 육십령을 넘어야 한다.

이 값나가는 철기를 털려고 고갯길에서 산적들이 기다리고 있었을 가능성은 충분하다. 적어도 60명이 모여서 넘어가야 하는 ‘육십령’은 고대의 아이언 로드(iron road)였던 것이다.

​ <참고문헌>

1. 조용헌, "육십령, 고대의 아이언 로드", 조선일보, 2021.12.20일자. A33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29/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311 2018.04.12
1865 <특별기고> 매헌 윤봉길 의사 상해의거 90주년을 경축하며 사진 신상구 969 2022.05.04
1864 <특별기고>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생애와 업적과 리더십의 국제화 신상구 1147 2022.05.04
1863 우크라 살던 유대인 대가족, 러시아 추방령에 고향 떠났죠 사진 신상구 993 2022.05.03
1862 히틀러 나치정권 프로파간다의 천재 괴벨의 주요 어록 신상구 1160 2022.05.02
1861 정조의 사상 통제로 조선 학문은 몰락했다 사진 신상구 1740 2022.05.02
1860 함평 최진석 기본학교 사진 신상구 1912 2022.05.01
1859 문화독립운동가 간송 전형필 선생 사진 신상구 1291 2022.05.01
1858 매헌 윤봉길 의사의 농촌부흥운동과 독립운동 신상구 859 2022.04.27
1857 괴짜 소설가 이외수 타계 사진 신상구 829 2022.04.26
1856 과학기술과 경제성장, 그리고 민주주의 사진 신상구 1620 2022.04.24
1855 소제동 철도관사촌 신상구 905 2022.04.21
1854 4.19혁명 62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기념식 개최 현황 사진 신상구 1000 2022.04.21
1853 대한민국 임시정부기념관에서 임시정부 수립 103주년 기념식 엄수 사진 신상구 994 2022.04.13
1852 ‘보협인석탑’ 천안으로 돌아와야 사진 신상구 1136 2022.04.10
1851 6. 500년 모순을 뒤집은 갑오개혁 신상구 1069 2022.04.08
1850 제주 4.3사건 국군 희생자 박진경 대령 이야기 사진 신상구 1272 2022.04.08
1849 아우내 장터 독립만세운동의 한 주역, 김구응 열사 추모사업회 출범 사진 신상구 854 2022.04.08
1848 <특별기고> 제77회 식목일의 역사적 의의와 천안시의 산불방지 첨부파일 신상구 1061 2022.04.06
1847 <특별기고> 아우내 장터 항일독립만세운동 103주년을 기념하며 사진 첨부파일 신상구 1111 2022.04.06
1846 세종대왕의 리더쉽 사진 신상구 959 2022.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