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5·18 광주민주화운동 42주년 전야제, 광주시민 5천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화려하게 개최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2.05.18 04:59

 5·18 광주민주화운동 42주년 전야제, 광주시민 5천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오월, 진실의 힘으로! 시대의 빛으로!'를 슬로건으로 화려하게 개최


   5·18 42주년 행진
© 제공: 연합뉴스5·18 42주년 행진

(광주=연합뉴스) 장아름 기자 = 대한민국 민주주의 투쟁의 역사가 담긴 광주 금남로에서 5·18 민주화운동 제42주년 전야제가 17일 열렸다.

  올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축소됐던 행사들이 3년 만에 전면 부활했다.

  코로나19 확산이 시작된 2020년에는 전야제가 처음으로 취소됐고 지난해에는 방역수칙에 따라 참석 인원을 99명으로 제한해 소규모로 치렀다.

  5·18 민중항쟁 기념행사위원회는 '오월, 진실의 힘으로! 시대의 빛으로!'를 슬로건으로 다양한 행사를 진행했다.

  금남로 거리에는 전야제에 앞서 이날 낮부터 오월시민난장이 펼쳐졌다.

  버스킹(거리 공연)과 민중미술 체험 등을 통해 정의 구현과 대동 정신으로 대표되는 오월 정신을 알렸다.

  5·18 희생자 유족인 오월어머니집 회원들은 42년 전처럼 시민들을 위해 주먹밥을 만들어 나눴다.

  전국에서 모인 오월풍물단도 망월동묘역, 조선대, 전남대 정문, 금남로 등 주요 사적지를 행진하며 오월 영령을 추모했다.

  이어 1980년 5월 18일 계엄령 선포에 맞서 전남대 정문에서 시작된 가두 행진 투쟁을 재현하는 '민주시민 가두행진'이 수창초등학교에서부터 전야제 무대가 마련된 5·18 민주광장까지 진행됐다.

5·18 42주년 전야제
© 제공: 연합뉴스5·18 42주년 전야제

   전야제는 1∼3부로 나뉘어 각각 '오월', '진실의 힘으로!', '시대의 빛으로'를 주제로 현대무용, 아카펠라, 마당극, 민중가요, 밴드, 국악 퓨전 연주 등이 펼쳐졌다.

   또, 5월 항쟁을 형상화한 민족미술인협회 작가들이 미디어아트 작품이 무대 위 화면을 수놓았다.

  1부에서는 극단, 무용단, 아카펠라그룹 등이 함께 1980년 민족 민주화 대성회, 시민궐기대회 등 역사적 투쟁을 재현했다.

  2부에서는 2016년 9월부터 옛 전남도청 원형 복원을 위해 투쟁 중인 오월 어머니 15명이 무대에 나와 5·18 정신을 지키기 위해 투쟁한 애환을 노래로 승화했다.

  3부는 어린이합창단과 밴드 공연 등으로 채워졌으며 오월풍물단의 대동 마당 공연으로 마무리됐다.

  이날 오후 5·18민주광장에서 집회를 열었던 장애인차별철폐연대 박경석 대표가 무대에 올라 "장애인들의 이동할 권리조차 보장하지 않는 대한민국이 비문명적인 사회 아닌가.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의 갈라치기·혐오 정치를 막아달라"며 장애인 이동권과 교육권 보장을 촉구하기도 했다.

'오월의 진실은 사라지지 않는다'
© 제공: 연합뉴스'오월의 진실은 사라지지 않는다'

   전야제에는 더불어민주당 대권 주자였던 이재명 총괄선대위원장과 민주당 이형석 국회의원, 정의당 강은미 국회의원, 무소속 민형배 국회의원, 민주당 강기정 광주시장 후보, 국민의힘 주기환 광주시장 후보, 장휘국 광주시교육감 등 여·야 인사들이 참석했다.

   행사위는 이날 전야제에 5천여명의 시민이 함께한 것으로 추산했다.

5·18 행사위 관계자는 "코로나19로 못했던 시민 참여 행사를 내실 있게 준비해 시민들이 5·18 정신을 가까이서 느끼고 열사들의 숭고한 희생을 기억할 수 있도록 준비했다"고 말했다.

   제42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은 오는 18일 오전 10시 광주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다.

                                                  <참고문헌>

   1. 장아름, "3년 만에 광주 금남로 가득 채운 함성…5·18 42주년 전야제(종합)", 연합뉴스, 2022.5.18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28/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96274 2018.04.12
1885 고종의 무능과 실정으로 대한제국의 잃어버린 10년 사진 신상구 864 2022.05.24
1884 청석학원 설립자 김원근·김영근 형제 삶 재조명 사진 신상구 1088 2022.05.24
1883 초(超)인플레이션 사진 신상구 787 2022.05.24
1882 죽음에 대한 다양한 생각 사진 신상구 1315 2022.05.23
1881 최영환 한국추사연묵회 이사장 신상구 1250 2022.05.23
1880 한국인이 노벨과학상을 수상하려면 사진 신상구 571 2022.05.22
1879 장애를 극복한 3명의 위인들 이야기 사진 신상구 1485 2022.05.22
1878 순종, 바다 건너 일본에서 천황을 만났다 ​ 사진 신상구 798 2022.05.21
1877 <특별기고> 5·18광주민주화운동 제42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사진 신상구 1102 2022.05.21
>> 5·18 광주민주화운동 42주년 전야제, 광주시민 5천여명이 참석한 가운 신상구 638 2022.05.18
1875 무엇이 같고유대교·기독교·이슬람교 다른가(상) 사진 신상구 1286 2022.05.18
1874 묵자를 국내 최초로 완역한 동양학자인 묵점 기세춘 선생 타계 신상구 771 2022.05.14
1873 다큐멘터리 ‘천년의 빛 - 유네스코 유산 연등회 신상구 747 2022.05.10
1872 한국 영화 첫 월드 스타 강수연 별세 사진 신상구 716 2022.05.10
1871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참여시인 김지하 타계 사진 신상구 883 2022.05.10
1870 한국 아동 삶의 질 OECD 최하위권 사진 신상구 678 2022.05.06
1869 충청 으뜸고장 내포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사진 신상구 690 2022.05.05
1868 ‘재야학자’ 학계 이방인인가 자유인인가 사진 신상구 899 2022.05.04
1867 위기의 충청언론 사진 신상구 816 2022.05.04
1866 일본의 끈질긴 근대화 시도, 결국 성공, 동양 3국 지 사진 신상구 1045 2022.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