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윤서열 대통령의 제67회 현충일 추념사 전문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2.06.07 04:01

                                                                 

                                                                 윤서열 대통령의 제67회 현충일 추념사 전문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240만 보훈 가족과 국가유공자 여러분, 제67회 현충일을 맞았습니다.

  이곳 국립서울현충원에는 대한민국 독립을 위해 투쟁한 순국선열들과 공산 세력의 침략으로부터 대한민국을 지킨 호국영령들, 그리고 목숨을 바쳐 국민의 생명을 지킨 분들이 함께 잠들어 계십니다. 나라를 위해 숭고한 희생을 하신 모든 분께 경의를 표하며 머리 숙여 명복을 빕니다. 오랜 세월 가족을 잃은 아픔을 간직해오신 유가족들께도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는 자유와 평화는 조국을 위해 희생하신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의 용기로 지킬 수 있었습니다. 그 무엇으로도 목숨보다 뜨거운 용기에 온전히 보답할 순 없습니다. 자유와 민주주의, 인권이 더욱 살아 숨 쉬는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을 만드는 것이 그들의 희생을 빛나게 하는 길이라 믿습니다. 더 이상 영웅들의 희생이 남겨진 가족의 눈물로 이어져서는 안 될 것입니다. 국가의 안보와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 것이 영웅들의 사명이었다면남겨진 가족을 돌보는 것은 국가의 의무입니다. 국가유공자들과 유족들을 더욱 따뜻하게 보듬겠습니다. 확고한 보훈 체계는 강한 국방력의 근간입니다. 공정하고 합리적인 보훈 체계를 마련해 억울한 분들이 없도록 할 것입니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지금 이 순간에도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은 고도화되고 있습니다. 어제도 여러 종류의 탄도미사일을 발사하였습니다. 북한의 핵ㆍ미사일은 한반도는 물론 동북아와 세계 평화를 위협하는 수준에 이르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는 북한의 어떠한 도발에도 단호하고 엄정하게 대처할 것입니다.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을 억제하면서 보다 근본적이고 실질적인 안보 능력을 갖추어 나갈 것입니다. 우리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데 한 치의 빈틈도 없도록 할 것입니다.

  지금 우리 곁에는 국가안보와 국민 안전의 최일선에서 자신을 희생하신 분들이 계십니다. 지난 1월 민가 쪽으로 전투기가 추락하는 것을 막고자 끝까지 조종간을 놓지 않고 순직한 공군 제10전투비행단 故 심정민 소령, 평택 물류센터 화재 현장에서 인명구조 임무를 수행하다 순직한 송탄소방서 119구조대 故 이형석 소방정, 故 박수동 소방장, 故 조우찬 소방교, 대만 해역에서 실종 선박을 수색하고 복귀하던 중 추락사고로 순직한 남부지방해양경찰청 항공단 故 정두환 경감, 故 황현준 경사, 故 차주일 경사는 국가의 안보와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 것이 자신들의 꿈이었던 영웅들이었습니다. 국민을 대표해 모든 유가족 여러분께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자유와 번영을 이룩한 나라의 국민은 조국을 위해 희생하고 헌신한 이들을 정성껏 예우해 왔습니다. 제복 입은 영웅들이 존경받는 나라를 만들겠습니다. 이들이 있기에 우리 국민이 안전하고 편안하게 꿈과 행복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이제 후손들에게 더욱 자유롭고 평화로운 대한민국을 가꾸고 물려줄 사명이 우리에게 있습니다. 자유와 민주주의, 인권의 가치를 추구하는 위대한 대한민국은 조국을 위해 헌신한 이들의 희생을 가치 있게 만들 것입니다. 영웅들의 용기를 국가의 이름으로 영원히 기억하겠습니다. 유가족 여러분의 가슴에도 자부심과 긍지를 꽃피울 수 있도록 대한민국 정부와 국민이 함께 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국가보훈처>



시청자 게시판

2,426개(27/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87181 2018.04.12
1905 조롱당한 선조와 그 장자 임해군의 악행 사진 신상구 1510 2022.06.19
1904 한국 문학, 노벨 문학상 수상 인프라 수준 신상구 595 2022.06.18
1903 고대의 축제 사진 신상구 776 2022.06.18
1902 6·10 만세 운동 사진 신상구 1020 2022.06.11
1901 경제, 존경받는 기업인이 많아져야 한다 사진 신상구 714 2022.06.08
1900 <특별기고> 6월 호국보훈의 달의 역사적 의의와 제67회 현충 사진 신상구 796 2022.06.08
>> 윤서열 대통령의 제67회 현충일 추념사 전문 신상구 543 2022.06.07
1898 한암당 이유립의 생애와 업적 사진 신상구 777 2022.06.05
1897 백가의 반란과 동성왕의 죽음 사진 신상구 1441 2022.06.03
1896 연금개혁을 통한 복지의 지속가능성 확보 사진 신상구 609 2022.06.02
1895 30년간 천착했던 모네의 수련, 용산에 피다 사진 신상구 751 2022.06.01
1894 부여 ‘신동엽문학관’ 문학 성지로 자리매김 신상구 984 2022.06.01
1893 우리 아이들에게 삶을 즐길 권리를 되찾아 줍시다 [1] 신상구 913 2022.05.28
1892 과거는 유교국가 떠받치는 인재풀, 조선판 능력주의 사진 신상구 627 2022.05.28
1891 ‘청주대 출신’ 성악가 연광철, 대통령 취임식서 ‘애국가’ 사진 신상구 1044 2022.05.27
1890 인간적이라는 것 사진 신상구 606 2022.05.27
1889 1세대 건축가 김중업 탄생 100주년 사진 신상구 797 2022.05.27
1888 중국에도 이름 떨친 한석봉(한호) 이야기 사진 신상구 871 2022.05.26
1887 <특별기고> 의암 손병희 선생의 생애와 업적과 100주기 추도 사진 신상구 1284 2022.05.26
1886 선조가 명나라 망명을 포기한 이유 사진 신상구 1389 2022.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