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 수학등급 최상위 승격, 필즈상 수상, 올해는 한국 수학의 해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2.07.09 05:50

                                     국가 수학등급 최상위 승격,  필즈상 수상, 올해는 한국 수학의 해

                                      국제사회서 높아진 한국 수학 위상
2014년 서울에서 열린 세계수학자대회에 참석한 전 세계 수학자들이 진지하게 강연을 듣고 있다. 서울세계수학자대회 조직위원회 제공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고등과학원 석학교수)가 한국계 수학자 최초로 ‘수학 노벨상’으로 불리는 ‘필즈상’을 받았다. 앞서 올해 2월에는 국제수학연맹(IMU)이 한국의 국가 수학 등급을 4그룹에서 최고 등급인 5그룹으로 승격시켰다. 국내 수학계는 “한국이 세계 수학계 리더 역할을 맡게 됐다. 이제 한국을 빼놓고 수학을 논할 수 없게 됐다”고 평가했다.

                                 ○ 늦깎이 국제 무대 데뷔한 한국 수학의 급성장

   필즈상 수상은 수학자들에게 최고의 영예로 평가받는다. 수학계는 이번 필즈상 수상을 국내 수학계의 쾌거로 보고 있다. 한국에서 태어나지만 않았을 뿐 한국 초중고교 시스템과 대학, 대학원에서 배출된 인재가 이룬 성과라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허 교수의 필즈상 수상을 가능케 한 연구 성과도 서울대 석사과정 때의 연구가 근간이 됐다.

   한국은 현대적 개념의 수학의 역사가 비교적 짧은 편이다. 국제수학연맹(IMU)에는 1981년에야 가입했다. 1951년 가입한 일본과 비교해 30년이나 늦다. 하지만 미국, 영국, 독일, 일본, 중국 등을 따라잡기 위해 노력해왔다. 한국 수학자들의 자생적 노력을 통해 수학 관련 과학논문인용색인(SCI)급 논문 출판 수를 세계 10위권 초반으로 끌어올리고, 순수이론기초과학 연구기관인 KAIST 부설 고등과학원(1996년), 수학 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인 국가수리과학연구소(2005년)를 설립했다. 한국은 2014년 수학올림픽이라 부르는 세계수학자대회(ICM)를 일본과 중국, 인도에 이어 아시아에서 네 번째로 열었다.

   지금의 허 교수도 그런 노력의 과정에서 주목을 받게 된 젊은 수학자다. 허 교수 국적이 미국이라는 점이 알려지며 한국 수학계의 쾌거가 맞느냐는 의문들이 제시되지만 허 교수는 “한국에서의 초중고교 그리고 대학, 대학원 시절이 지금의 나를 만드는 데 자양분이 됐다”며 한국에서의 수학 교육이 필즈상 수상의 밑거름이 됐다고 설명했다. 이창옥 KAIST 수리과학과 교수(한국산업응용수학회 회장)는 “허 교수 같은 사람이 나타난 것은 한국 수학계 전체 토양이 만들어졌다는 의미”라며 “한국도 세계적 수학자를 길러낼 수 있는 것을 입증했다”고 말했다. 허 교수처럼 필즈상 후보로서 충분한 업적과 자격이 있는 젊은 연구자들은 더 있다. 수학계에선 오성진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수학과 교수, 최경수 고등과학원 수학부 교수 등을 차기 필즈상 후보로 꼽고 있다.

                          ○ 높아진 국제 위상만큼 자유로운 연구 풍토 조성해야

   IMU는 올해 2월 한국 수학의 국가 등급을 4그룹에서 최고 등급인 5그룹으로 승격시켰다. 역대 회원 국가 중 최단 기간에 최고 그룹으로 승격한 것이다. 5그룹 승격에 따라 한국은 2월부터 IMU 총회 등의 선거 등에서 5표의 투표권을 행사하고 있다. 이달 5일에는 금종해 대한수학회장(고등과학원 교수)이 IMU 집행위원으로 선출됐다. 집행위원은 IMU 운영 방향과 목표 등을 설정하는 역할을 맡는다. 김현민 부산대 수학과 교수(국가수리과학연구소장) 는 “한국 수학이 국제사회의 인정을 받고 있다”며 “학자들만의 노력이 아니라 국민들의 지원도 있었기에 가능했던 것”이라고 말했다.

   아직 풀어야 할 과제도 산적해 있다. 국내 수학 연구 생태계 재편이 가장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내 사립대들이 취업률을 이유로 수학과를 없애고 있어 수학을 연구할 수 있는 안정적 자리가 사라지고 있다는 것이다. 하승열 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는 “정부출연연구소의 수학 관련 일자리를 확보하는 등 관련 정부 투자가 늘어야 한다”고 말했다. 박형주 아주대 수학과 석좌교수는 “허 교수가 석사학위 지도교수이던 김영훈 서울대 교수나 한국에서 잠시 강의했던 일본의 히로나카 헤이스케 교수를 좋은 멘토로 둬 성장했듯 학생들이 멘토를 만나게 하고 롤모델을 지속으로 제시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허 교수 역시 “젊은 수학자들이 즐겁게 큰 프로젝트를 추진할 수 있는 여유롭고 자유로운 연구 환경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참고문헌>

   1. 고재원/ 박정연, "국가 수학등급 최상위 승격...필즈상 수상..."올해는 한국 수학의 해", 동아일보, 2022.7.8일자. A23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2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19912 2018.04.12
2025 한암당 이유립 기념관을 건립해 대전 구도심을 활성화 하자 사진 신상구 569 2023.08.06
2024 천안 봉서초 단군상 무단철거 규탄 사진 신상구 1154 2023.08.06
2023 <특별기고> 제헌절 75주년을 경축하며 사진 신상구 617 2023.07.18
2022 단군(檀君)은 신화 아닌 대한민국 국조 (國祖) ​ 사진 신상구 1232 2023.07.13
2021 원칙과 신념을 굽히지 않고 행동으로 보여준 일본의 지식인 오에 겐자부로 사진 신상구 745 2023.07.04
2020 국조 단군을 아시나요 사진 신상구 1128 2023.06.30
2019 <특별기고> 대한민국 국조인 단군 왕검 탄강 제4392주년을 사진 신상구 1116 2023.06.30
2018 역사와 사회정의 실현에 헌신하신 강만길 선생 사진 신상구 755 2023.06.28
2017 ‘한국학’과 상고사 복원의 대부 고 최태영 선생 신상구 997 2023.06.28
2016 <특별기고> 한국전쟁 73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기념식 현황 사진 신상구 689 2023.06.26
2015 <특별기고> 6.15남북공동선언 발표 23주년을 경축하며 사진 신상구 795 2023.06.19
2014 <특별기고> 제13회 의병의 날을 기념하며 사진 신상구 1389 2023.06.01
2013 보문산 구암사 신상구 1257 2023.05.27
2012 <특별기고> 불기 2567주년 부처님 오신 날을 봉축하며 사진 신상구 842 2023.05.25
2011 모바일 남원지역 헬로비젼 채널번호 확인 요망 [1] 남조선배 1069 2023.05.15
2010 김해시 조선 후기 기녀 시인 지재당 강담운 한시 관광콘텐츠 활용 사진 신상구 985 2023.05.09
2009 공주시 이삼평 ‘왜군에 적극적 부역’ 불편한 진실 사진 신상구 881 2023.05.02
2008 통일한반도 꿈꾼 아산… “통일되면 세계 1위 경제 강국 될 것” 사진 신상구 692 2023.05.01
2007 중부매일, 전국 일간지 평가 '충청권 최고 신문 선정 축하 사진 신상구 719 2023.04.28
2006 <특별기고> 대한민국 상해임시정부 수립 제104주년을 기념하며 사진 신상구 699 2023.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