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백제금동대항로 발굴 30년을 경축하여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01.15 03:34


                                                    백제금동대항로 발굴 30년을 경축하여


  1500년 잠에서 깨어난 백제 예술의 극치이자 정수, 국보 중의 국보로 꼽히는 ‘금동대향로’가 12일 발굴 30주년을 맞는다. 1000년이 넘는 시간 진흙 속에 묻혀 있었음에도 흠집 하나, 녹 하나 없던 금동대향로는 완벽한 정형성과 뛰어난 예술성으로, 또 백제 장인의 예술혼과 기술력으로 세상을 놀라게 했다. 발굴 30주년을 기념해 국립부여박물관은 2024년 2월 12일까지 특별전 ‘백제 금동대향로 3.0-향을 사르다’를 연다.

                                                         1. 1500년 잠을 깨다

  금동대향로가 오랜 잠에서 깨어난건 우연한 기회에서 비롯됐다. 1990년대 초 부여 왕릉원(충남 부여 능산

리 고분군)을 찾는 관광객이 늘자 부여군 등은 주변에 주차장 조성을 위해 정비 작업에 착수했다.

  1992년 12월 4일부터 이듬해 1월 7일까지 이뤄진 시굴 조사에서 건물 주춧돌 일부와 기와, 토기 조각 등이 나왔지만 결정적인 유물·유구는 나오지 않아 예정대로 공사가 진행될 형편이었다. 당시 국립부여박물관장이었던 신광섭 전 백제문화제재단 대표이사가 제대로 발굴해야 한다고 강하게 요청했고 1993년 10월 국립부여박물관을 중심으로 한 2차 조사가 이뤄졌다. 그 결과 금속품과 유리구슬 등을 만든 것으로 추정하는 공방 터에 있던 타원형 아궁이에서 뚜껑과 몸체가 분리된 향로가 모습을 드러냈다.

  우여곡절 끝에 발견된 향로는 세간의 관심을 크게 받았다. 약 10일 간의 긴급 보존 처리를 마친 뒤 그해 12

월 22일 열린 현장 설명회 이후 ‘백제의 예술혼’, ‘동북아 최고 걸작’ 등의 수식어가 붙었다. 학계에서는 백제 문화의 정수가 담긴 유물, 볼수록 신비한 작품이라는 평가까지 나왔고 1994년 4월 19일 국립중앙박물관에 향로가 전시되자 약 2주 동안 국내외에서 6만 8000여 명이 박물관을 찾았을 정도다.

                                                    2. 용이 연꽃 봉오리를 물다

  금동대향로는 높이 61.8㎝, 무게 11.8㎏의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대작(大作)이다. 앞발을 치켜든 용 한 마리가 막 피어날 듯한 연꽃 봉오리를 물고 있는 듯한 형상이다.

  향로의 뚜껑은 중첩된 형태의 산악으로 묘사됐고 그 위에는 날개를 활짝 편 채 정면을 응시하는 한 마리의 봉황이 보주 위에 서 있다. 봉황 아래에는 5명의 악사가 각각 금과 완함, 동고, 종적, 소 등의 악기를 연주하는 모습이 실감 나게 표현됐다.

  향로의 뚜껑에 장식된 박산은 불로장생의 신선들이 살고 있다는 삼신산을 상징적으로 표현했고 신선을 상징하는 듯한 각종 인물, 동물 산수를 비롯해 상상의 동물도 등장한다.

  반구형 대접모양을 한 몸체는 3단의 연판을 배치했다. 각 연판 안으로 물고 기와 신조, 신수 등을 한 마리씩 도드라지게 부조했고 그 아래에는 용틀임하는 용이 떠받치고 있다.

  금동대향로는 중국 한나라 때 유행한 ‘박산향로’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는 견해가 많으나 섬세한 공예 기술과 조형성, 창의성은 비슷한 사례를 찾기 어렵다. 이 향로는 중국 한 대 이후의 박산향로의 전통과 도상을 계승하면서도 오랜 시차를 두고 백제에서 출현하면서 시대적인 변화와 백제적인 요소가 더욱 가미됐다.

  천상계를 의미하는 정상에는 양을 대표하는 봉황을 두고 그 아래 뚜껑에는 지상의 동물과 인물상(신선), 그 밑 몸체에는 연꽃을 중심으로 수중생물이나 물과 관련된 동물, 제일 아래쪽에는 음을 대표하는 용을 배치한 것으로 음양사상을 기본으로 한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또 전체형상이 용의 입에서 나온 기운으로 연꽃봉오리가 만들어지며 이 연꽃봉오리 속에서 모든 도상이 형성되는 것이 불교의 연화화생을 의미하며 이것을 연화장 세계 또는 수미산으로 보는 견해도 제시된 바 있다.

  아울러 금동대향로가 출토된 절터가 일반적인 수행 사찰이 아니고 백제왕실에서 제사를 지낼 때 사용됐다는 점에서 백제 왕실의 사상관이 담겼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1. 조길상, "1500년 잠에서 깨어난 백제 예술의 극치", 금강일보, 2-23.12.12일자. 2면.

twitter facebook me2day 


시청자 게시판

2,426개(20/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18893 2018.04.12
2045 국학박사 신상구, 문학평론 제2집 한국 최초 발간 화제 신상구 754 2024.01.19
2044 문화사학자 신정일 사진 신상구 688 2024.01.16
>> 백제금동대항로 발굴 30년을 경축하여 신상구 779 2024.01.15
2042 <특별기고> 갑진년 새해의 민속학적 의미와 국운 전망 사진 신상구 842 2024.01.08
2041 <특별기고>제11회 세계천부경의 날을 경축하며 사진 신상구 806 2023.12.25
2040 인하대학교 융합고고학과 복기대 교수의 위대한 학문적 업적 사진 신상구 911 2023.12.09
2039 일본이 한국보다 25대 1로 노벨과학상을 많이 받은 진짜 이유 신상구 1312 2023.11.27
2038 <특별기고> 제84회 순국선열의 날의 역사적 의의와 국내외 기 사진 신상구 825 2023.11.18
2037 모바일 오늘 오전 방영하는 현대문명의 대전환 오자 [1] 안창현 1187 2023.09.21
2036 홍범도 흉상 철거 국방부 문서, 어느 시대 문서인지 탄식 사진 신상구 1018 2023.09.20
2035 홍범도 장군의 절규 신상구 769 2023.09.02
2034 홍범도, 육사 롤모델 될 수 있나 사진 신상구 874 2023.09.02
2033 윤석열 정권이 생각하는 홍범도의 '죄목' 살펴보니 사진 신상구 1346 2023.08.30
2032 경술국치일 113주년을 맞이하여 신상구 907 2023.08.29
2031 광복회장, 국방부에 “당신들은 독립영웅이 귀찮나” 공개서한 신상구 716 2023.08.29
2030 <특별기고>옥봉 이숙원의 생애와 업적을 추모하고 관광자원화해야 사진 신상구 763 2023.08.26
2029 <특별기고> 8·15 광복 78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경축행사 사진 신상구 1422 2023.08.16
2028 제78주년 광복절 경축식, 이화여대서 열려 사진 신상구 650 2023.08.16
2027 충북 옥천 출신의 김규흥은 상해임시정부를 파괴하는 밀정이었다 신상구 663 2023.08.09
2026 시기 김부용과 김이양 대감 묘 찾기 사진 신상구 861 2023.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