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동화작가 권정생과 '종'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12.30 02:37

                              동화작가 권정생과 '종'



조선일보

   '강아지똥' '몽실언니' 등으로 널리 알려진 동화작가 권정생(1937~2007). 일본 도쿄의 빈민가에서 노동자의 4남2녀 중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해방 이듬해에 귀국했으나 6·25전쟁 때 가족이 뿔뿔이 흩어졌다. 소년 권정생은 나무장수, 담배장수, 가게 점원 등을 하며 대구, 김천, 상주 등지를 걸인처럼 떠돌았다. 이때 얻은 폐결핵과 늑막염으로 평생 고생했다.

   29세 때 안동의 시골 교회 종지기가 되었다. 혼자 밥을 끓이고 때맞춰 교회의 종을 쳤다. 주일학교 교사를 하며 틈틈이 벙어리, 바보, 거지, 시궁창의 똘배, 강아지똥 등을 주인공으로 동화를 썼다. 1969년 '월간 기독교'에 '강아지똥'이 당선하고 이어 1973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동화 '무명저고리와 엄마'가 당선했다.

   1980년대 초 일직교회 언덕배기에 흙집을 지었다. 대문도 울타리도 없는, 몸 하나 누일 작은 보금자리였다. 가진 게 없었지만 영혼이 누추한 적은 없었다. 그가 쓴 동화는 맑고 아름다웠다. 동화를 써서 꽤 많은 인세를 모았으나 그의 삶은 소박했다. 물욕이 없으니 딱히 갖고 싶은 게 없었다. 시골 교회 종루에 달린 특별할 것도 없는 종을 사랑했을까?

   "다시 태어나서 스물다섯 살 때 스물두 살이나 스물세 살쯤 되는 아가씨와 연애를 하고 싶다. 벌벌 떨지 않고 잘할 것이다." 죽기 이태 전에 쓴 유서에서 다시 태어나면 25세 때 나이가 두셋 어린 아가씨와 연애하고 싶다고 했다. 하지만 그는 전쟁이나 일삼는 얼간이 같은 지도자가 다스리는 세상에서는 절대 다시 태어나고 싶지 않다고 못 박았다.

   무욕과 무소유의 삶을 실천한 이들은 늘 더 많은 것을 갈망하는 우리를 부끄럽게 만든다. 2007년 5월 17일에 세상을 뜬 권정생도 그런 드문 사람 중 하나였다. 허름한 옷을 걸치고 고독과 질병을 벗 삼아 산 그가 10억 원이 넘는 거액을 남긴 걸 알고 다들 놀랐다. 그 유산으로 '권정생어린이문화재단'이 세워졌다.
                                                          <참고문헌>
  1. 장석주, "동화작가 권정생과 '종'", 조선일보, 2019.4.4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20/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95488 2018.04.12
2045 국학박사 신상구, 문학평론 제2집 한국 최초 발간 화제 신상구 615 2024.01.19
2044 문화사학자 신정일 사진 신상구 531 2024.01.16
2043 백제금동대항로 발굴 30년을 경축하여 신상구 640 2024.01.15
2042 <특별기고> 갑진년 새해의 민속학적 의미와 국운 전망 사진 신상구 655 2024.01.08
2041 <특별기고>제11회 세계천부경의 날을 경축하며 사진 신상구 628 2023.12.25
2040 인하대학교 융합고고학과 복기대 교수의 위대한 학문적 업적 사진 신상구 693 2023.12.09
2039 일본이 한국보다 25대 1로 노벨과학상을 많이 받은 진짜 이유 신상구 1056 2023.11.27
2038 <특별기고> 제84회 순국선열의 날의 역사적 의의와 국내외 기 사진 신상구 683 2023.11.18
2037 모바일 오늘 오전 방영하는 현대문명의 대전환 오자 [1] 안창현 1021 2023.09.21
2036 홍범도 흉상 철거 국방부 문서, 어느 시대 문서인지 탄식 사진 신상구 893 2023.09.20
2035 홍범도 장군의 절규 신상구 635 2023.09.02
2034 홍범도, 육사 롤모델 될 수 있나 사진 신상구 754 2023.09.02
2033 윤석열 정권이 생각하는 홍범도의 '죄목' 살펴보니 사진 신상구 1226 2023.08.30
2032 경술국치일 113주년을 맞이하여 신상구 709 2023.08.29
2031 광복회장, 국방부에 “당신들은 독립영웅이 귀찮나” 공개서한 신상구 566 2023.08.29
2030 <특별기고>옥봉 이숙원의 생애와 업적을 추모하고 관광자원화해야 사진 신상구 619 2023.08.26
2029 <특별기고> 8·15 광복 78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경축행사 사진 신상구 1010 2023.08.16
2028 제78주년 광복절 경축식, 이화여대서 열려 사진 신상구 511 2023.08.16
2027 충북 옥천 출신의 김규흥은 상해임시정부를 파괴하는 밀정이었다 신상구 510 2023.08.09
2026 시기 김부용과 김이양 대감 묘 찾기 사진 신상구 722 2023.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