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암울한 일제강점기에 꽃피운 우리 근대미술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4.16 03:00

                              암울한 일제강점기에 꽃피운 우리 근대미술

                     구본웅이 이상을 그린 〈친구의 초상〉 1935년, 캔버스에 유채, 62x50㎝,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구본웅이 이상을 그린 〈친구의 초상〉 1935년, 캔버스에 유채, 62x50㎝,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서화협회전은 일제의 탄압에 1936년, 제15회전으로 막을 내리고 말았지만 이때가 되면 우리 근대미술은 그런 질곡에도 불구하고 자기 역량을 갖추어 가고 있었다. 지금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에서 열리고 있는 ‘미술이 문학을 만났을 때’는 1930년대 중엽 이후 우리 근대미술 화가들이 당대의 문인들과 어울리며 예술세계를 천착해 나가던 모습을 실감나게 보여주고 있다(5월 30일까지).  
     구본웅, 정현웅, 길집섭, 김용준, 김환기, 이중섭, 최재덕 등 개성적인 화가들과 박태원, 백석, 이상, 이태준, 김광균, 구상 등 전설적인 문인들 사이의 예술적 교감을 보여주는 문헌자료와 인쇄미술 200여 점, 사진 및 시각자료 300여 점, 그리고 미술작품 140여 점으로 마치 장편 다큐멘터리를 보는 듯한 스토리텔링으로 깊은 감동을 전해준다.  
     전시기획력이 뛰어나고 디스플레이가 멋질 뿐만 아니라 유족들이 소장해온 스케치북, 스크랩 북, 편지 등 새로운 자료들이 대대적으로 공개되어 있고 그동안 월북화가라는 이유만으로 작품을 볼 수 없었던 최재덕, 김만형, 길진섭, 김용준 등의 명작들이 다수 소개되어 전시회의 뜻을 더하고 있다.  
     역사적 체감으로 말하자면 일제강점기는 분명 암흑의 시대였다. 그러나 그 어둠을 해쳐나가는 선인들의 몸부림이 문학과 미술 곳곳에 절절이 나타나 있다. 1933년 ‘모던 보이’ 이상은 종로에 ‘제비’ 다방을 열었다. 이곳에서 화가와 문인들은 아방가르드를 표방하며 서툰 솜씨로 모더니즘을 익혀갔다. 구본웅이 그린 친구(이상)의 초상에는 그런 야수파적인 강렬함이 빛나고 있다.  
     김광균이 ‘와사등’에서 보여준 이미지즘은 빠른 속도로 신문화의 충격을 받아들이며 ‘시는 그림같이, 그림은 시같이’ 나아갔다. 그 역동의 문예사조가 암울한 시절에 이루어졌다는 것이 역설로 다가온다. 낭만도 있었다. 출판인 조풍연의 결혼을 축하하는 화첩에는 길진섭, 김환기 등 당대 화가들의 화사한 그림들이 행복을 노래하고 있다.  
     책 표지는 화가의 중요한 장르 중 하나였다. 괴석 옆에 진달래꽃을 그린 김소월의 ‘진달래꽃’부터 아무런 꾸밈이 없는 백석의 ‘사슴’까지 수많은 독서인의 심금을 울렸던 책들의 장정은 이런 분위기에서 나온 것이었다. 본격 미술이 아니라고 치부하기 쉬운 신문 잡지의 삽화들은 문학과 미술이 만나는 현장이었다. 당시 정현웅은 "틀을 깨고 인민 속으로 직접적으로 뛰어드는 가장 새롭고, 가장 강력한 미술양식은 인쇄미술”이라고 외칠 정도였다.  
     역병만 아니었으면 장사진을 이루었을 이 전시회는 우리에게 두 가지 메시지를 강력히 전하고 있다. 하나는 후손들이여, 근대를 무시하지 말라는 무언의 꾸지람이다. 오늘날 세태는 우리 근대미술을 상징하는 ‘한국화 6대가’의 이름은 물론이고 그 존재조차 모른다. 근대가 없었으면 현대도 없는 것이다. 또 하나는 "어느 시대에도 그 현대인은 절망한다”는 이상의 외침이다. 그 외침의 근저에 깔린 힘겨움을 생각하면 오늘을 살고 있는 내가 마냥 부끄러워진다.
                                                                                       <참고문헌>
   1. 유홍준, "암울한 시절에 꽃피운 우리 근대미술", 중앙일보, 2021.4.15일자. 31면.


시청자 게시판

2,038개(20/10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36736 2018.04.12
1657 충청민의 염원 ‘충청대망론’ 부활 움직임 사진 신상구 276 2021.06.13
1656 고사위기의 지방대, 원도심 캠퍼스타운 조성이 해법이다 신상구 282 2021.06.13
1655 한국은행 머릿동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글씨 정초(定礎) 그대로 보 사진 신상구 942 2021.06.13
1654 북한 MZ세대, 北 체제 흔든다 사진 신상구 350 2021.06.12
1653 3000년을 거슬러 올라가는 현충원의 기원 사진 신상구 290 2021.06.12
1652 6만년 전 네안데르탈인, 동물 뼈에 홈 뚫어 숫자 셌다 신상구 303 2021.06.11
1651 계룡산국립공원 지정과 620사업 사진 신상구 412 2021.06.11
1650 <특별기고> 제66회 현충일을 맞이하여 첨부파일 신상구 647 2021.06.11
1649 <특별기고> 제26회 세계 환경의 날을 맞은 한국의 주요 환경 첨부파일 신상구 430 2021.06.11
1648 난관 맞이한 한중 관계 사진 신상구 325 2021.06.09
1647 일중 김충현’ 탄생 100주년 기념 서울 백악미술관서 특별전 개최 사진 신상구 386 2021.06.09
1646 제26회 환경의 날을 맞이하여 신상구 284 2021.06.05
1645 공직자의 양심과 인격을 팔지 말라는 국민의 경고 신상구 290 2021.06.05
1644 조총에 쓰러진 수많은 조선 동학농민군 사진 신상구 336 2021.06.05
1643 &lt;특별기고&gt; 제11회 의병의 날의 역사적 의의와 신상구 343 2021.06.04
1642 의당 박세화 선생의 절명시(絶命詩) 원본, 111년만에 공개 사진 신상구 245 2021.06.01
1641 상해임시정부 법무총장을 지낸 예관 신규식 선생 사진 신상구 2087 2021.05.29
1640 ‘반일’ 이전에 ‘항청’, 속국을 거부한 조선의 싸움 사진 신상구 291 2021.05.28
1639 무엇이 달라져야 하는가! 사진 신상구 349 2021.05.27
1638 세계 분서(焚書)의 역사 사진 신상구 376 2021.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