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충북 괴산군에는 누가 유배(流配)를 왔을까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4.07 02:38

                                                                   충북 괴산군에는 누가 유배(流配)를 왔을까                                                           .

 

    지금의 괴산군(조선시대 괴산군·연풍현·청안현)에 유배 온 인물 중에 일십당(一十堂) 이맥(李陌·1455~1528)이 있다. 충청문화역사연구소 신상구(65) 소장이 최근 '괴향문화' 23집에 실은 '한국선도의 맥을 이은 일십당 이맥의 괴산 유배지 추적과 활용 방안'에 따르면 이맥은 1504년(연산군 10)부터 1506년까지 괴산에서 귀양살이했다. 연산군일기 10년(1504) 3월 15일 자 기사에는 '이맥을 괴산에 부처(付處)했다'고 나온다. '부처'는 가벼운 죄를 짓고 비교적 가벼운 지역에 유배되는 것을 이른다. 당시 사헌부 장령인 이맥은 연산군의 미움을 사서 괴산에 유배됐다가 1506년 중종반정으로 연산군이 물러나면서 다시 벼슬길에 나섰다.

    영의정을 지낸 이준경(李浚慶·1499~1572)도 괴산에 유배를 온 적이 있다. 이맥과 같은 해인 1504년 갑자사화로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사사(賜死)되고 이준경은 6살 때 형 이윤경과 괴산으로 귀양을 왔다가 중종반정으로 풀려났다.

이준경은 죽기 전 붕당의 폐단이 나라를 혼란하게 할 것이란 유소(遺疏)를 올렸다.

   황해도 병마절도사 신응주(申應周·1747~?)는 1783년(정조 7)칙사(勅使)를 대접하려고 보관해 둔 돈을 변통한 죄로 괴산에 유배됐다가 2년 뒤 다시 함경남도 병마절도사에 임명됐다.  

   홍문관 저작(著作·정8품) 김내문(金乃文)은 앞서 이맥, 이준경과 마찬가지로 연산군 10년에 장(杖) 70대를 맞고 청안에서 귀양살이를 했다.

    성종실록 4년(1473) 9월 22일 임금은 연풍에 부처된 이익문(李益文) 등을 양계(兩界 : 함경도·평안도·강원도 일부)에 부방(赴防·변방 파견 근무)해 속죄하도록 했다.

    지금의 괴산읍 정용리에서 태어난 성대훈(成大勳·1572~1636)은 1628년(인조 6) 재물을 탐했다는 죄목으로 연풍에 정배(定配)됐지만 고향에서 불과 1식(息·30리)도 되지 않는다는 사간원의 탄핵이 받아들여져 서변(西邊)으로 이배(移配·다른 곳으로 귀양살이를 옮김)되는 고초를 겪었다.

    '괴산지명지'에는 연풍면 유하리 옛 오수초등학교 뒤쪽에 '유도(柳島)'란 지명이 나온다. 조선시대 귀양지였다고 전하고 있다. 연풍면 소재지로 가는 '응(鷹)고개'는 예전 유도로 귀양 가는 사람들이 이 고개를 한 번 넘으면 영 돌아가지 못했다고 해서 '영고개(永峴)'로도 불린다.

    이들이 괴산·청안·연풍에 각각 귀양은 왔지만 유배지가 정확히 어디인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유배지가 확인된 인물로는 괴산 화암서원 등에 제향된 소재(蘇齋) 노수신(盧守愼·1515~1590)이 있다. 괴산의 대표적인 관광지가 된 칠성면 사은리 산막이옛길 나루터 부근에는 충북도 기념물 74호 '괴산 수월정(水月亭)'이 괴산호를 굽어보는 언덕배기에 있다. '노수신 적소(謫所·유배지)'로도 불리는 이 건물은 1547년(명종 2) 전남 순천으로 귀양갔던 노수신이 양이(量移·멀리 유배된 사람을 가까운 곳으로 옮김)돼 1565년(명종 20)부터 1567년(선조 원년)까지 유배생활을 했던 곳이다.

    노수신의 유배지는 애초 연하동(煙霞洞)에 있었으나 1952년 착공해 1957년 준공한 괴산댐 건설로 연하동이 물에 잠기면서 지금의 위치로 옮겨졌다.

    올해 탄생 500주년을 맞은 노수신은 1588년(선조 21) 영의정을 사임하고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가 됐으나 이듬해 10월 기축옥사에 탄핵을 받고 파직됐다.

                                                                                                              <참고문헌>

    1. 강신욱, "충북 괴산군에는 누가 유배(流配)를 왔을까", 중앙일보, 2015.8.31일자.

                                                           

 

시청자 게시판

2,114개(20/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5323 2018.04.12
1733 문학상, 무엇이 문제인가 사진 신상구 565 2021.10.17
1732 제575돌 한글날의 의미와 유래와 현안 과제 사진 신상구 371 2021.10.16
1731 독일의 베냐민 리스트와 미국의 데이비드 맥밀런이 2021년 노벨화학상 공 사진 신상구 520 2021.10.16
1730 일본계 미국인 슈쿠로 마나베와 독일의 클라우스 하셀만, 이탈리아의 조르조 사진 신상구 466 2021.10.16
1729 2021년 노벨평화상은 필리핀 마리아 레사와 러시아 언론인 드미트리 무라 신상구 374 2021.10.12
1728 UC 버클리대 카드 교수 최저임금 조사연구로 노벨경제학상 수상 사진 신상구 397 2021.10.12
1727 1960년 이후 역대 노벨 문학상 수상자 명단 사진 신상구 415 2021.10.11
1726 문학평론가 유종호의 친일문제에 대한 4가지 소견과 문학평론가 정훈현의 반 신상구 429 2021.10.05
1725 2021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는 미국인 줄리어스·파타푸티안 교수 사진 신상구 439 2021.10.05
1724 동북아역사재단 ‘중국 애국주의와 고대사 만들기’ 집중분석 신상구 377 2021.10.02
1723 1920년 천부경의 세계화를 주도한 전병훈 선생 신상구 465 2021.10.02
1722 노벨상 수상보다 중요한 것 사진 신상구 370 2021.10.02
1721 고려대 이호왕 명예교수 노벨생리의학상 후보에 올라 사진 신상구 371 2021.09.24
1720 한국에서 친일파 연구를 꺼려하는 3가지 이유 신상구 416 2021.09.21
1719 시인 정지용의 생애와 업적 사진 신상구 920 2021.09.11
1718 광기의 사대(事大) : 송시열의 달력과 사진 신상구 498 2021.09.09
1717 심훈 선생 85주기 추모행사 개최 사진 신상구 359 2021.09.08
1716 별을 캔버스로 끌고 온 화가 김환기 사진 신상구 506 2021.09.01
1715 친일파 연구의 선구자 임종국 선생의 연구방법과 역사관 신상구 364 2021.08.31
1714 운산 조평휘 화백, 제19회 이동훈 미술상 본상 수상 신상구 387 2021.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