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순국선열의 날도 반쪽, 광복회 별도 행사열 것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11.10 05:15


                              순국선열의 날도 반쪽, 광복회 별도 행사열 것



photo


독립유공자와 합동추모식 진행
기존 기념식 명칭도 변경 나서
유족 순국선열 폄훼 강력 반발

광복회(회장 이종찬)가 국가기념일인 ‘순국선열의 날’ 기념식(11월 17일)에 불참하는 대신 명칭을 변경한 별도의 ‘독립유공자 선열 합동 추모식’을 개최하기로 해 논란이 일고 있다. 광복회는 올해 독립기념관장 임명에 반대하면서 광복절 정부 경축식에 불참했는데, 순국선열의 날 행사까지 사실상 보이콧해 정부와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광복회가 최근 “올해부터는 순국선열의 날을 대신해 오는 15일 오전 11시 서울현충원 현충관에서 ‘독립유공자 선열 합동 추모식’으로 진행한다”는 내용의 초청장을 각 지회·지부에 보낸 것으로 6일 확인됐다. 17일 서울 서대문구 독립공원에서 순국선열유족회가 주최하는 ‘순국선열 영령추모제’에는 참석하지 않고 자체 행사인 합동 추모식을 치르겠다는 것이다. ‘순국선열의 날’은 1939년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 제정한 기념일을 광복 이후 대한민국 정부가 계승하고 있는 국가기념일이다.

광복회는 행사 명칭도 기존의 ‘순국선열’ 대신 ‘독립유공자 선열’로 바꿨다. 광복회는 “이제는 생존해 계신 애국지사분들이 국내 5명 등 거의 없는 상황이어서 향후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를 구분하지 않고 독립유공자로 함께 추모하고 기리자는 게 광복회 기본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광복회는 법률개정 특별위원회를 통해 정부와 국회에 기존 ‘순국선열의 날’ 정부 기념식을 ‘독립유공자 선열 합동 추모식’으로 변경해 기념할 것을 제안할 예정이다.

광복회의 이번 불참을 두고 현재 유일한 독립분야 공법단체인 광복회가 순국선열유족회에 대한 노골적인 견제에 나섰다는 해석이 나온다. 광복회는 독립운동 후 생환한 애국지사가 주를 이루는 단체인 반면, 순국선열유족회는 일제 국권침탈 전후부터 1945년 8월 14일까지 일제에 항거하다 순국한 이들의 유족으로 구성돼 있다. 정부는 순국선열유족회 등을 독립분야 공법단체로 추가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해왔다.

순국선열 유족회는 성명을 내고 “광복회의 순국선열 용어 지우기와 순국선열의 날 명칭 변경은 독립운동가 후손들은 물론, 온 국민의 분노에 직면할 것”이라고 했다.

국가보훈부도 광복회의 독단적인 용어 변경과 행사 개최는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보훈부는 “행사 참석 여부는 단체 자율에 맡길 사안이지만, ‘순국선열의 날’ 행사를 위해 지원된 보조금을 사용해 명칭을 변경하는 것은 고려 대상이 아니며, 별도 광복회 주관 기념행사를 진행하는 것은 수용하지 않을 예정”이라고 했다.                                                                                                 <참고문헌>                                        1. 정충신, "순국선열의 날도 반쪽… 광복회 별도 행사열 것”, 문화일보, 2024.11.6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2/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96159 2018.04.12
2405 한반도 공룡 발자국 신상구 199 2024.11.20
2404 대전국제사진축제 신상구 138 2024.11.20
2403 <특별기고> 제85회 순국선열의 날의 유래와 국가기념행사 현황 사진 신상구 134 2024.11.19
2402 80년대 운동권의 성전 '전환시대의 논리' 50년 이어진 오류와 왜곡 사진 신상구 136 2024.11.18
2401 조선 독립만세 외친 이들 위해 기도하고 기록했던 美선교사 신상구 127 2024.11.18
2400 증언으로 재구성한 종량제 30년 신상구 169 2024.11.17
2399 조선시대 과거제도 신상구 292 2024.11.17
2398 배재학당과 벧엘 예베당을 세운 아펜젤러 선교사의 생애와 업적 사진 신상구 197 2024.11.17
2397 벼슬 멀리한 장인, 연암이 과거 포기하자 오히려 기뻐해 신상구 170 2024.11.17
2396 한국문학과 세계문학을 연결고리 한강문학 신상구 151 2024.11.15
2395 원불교 명상법 신상구 165 2024.11.14
2394 한충원 목사가 최근 조카 한강에게 보낸 장문의 공개 편지 신상구 155 2024.11.14
2393 AI 3대 강국 도약, 속도가 관건이다 신상구 149 2024.11.13
2392 휴머노이드 로봇 신상구 146 2024.11.13
2391 K-문학 원조 충청 여성문인 세상에 알릴 것 신상구 129 2024.11.12
2390 벽사(碧史) 한영숙(韓英淑)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145 2024.11.12
2389 노벨문학상 끝이 아닌 시작, 문학번역원 대학원 설립 추진 신상구 123 2024.11.11
2388 성심당 경영학 사진 신상구 124 2024.11.10
2387 성만으로는 덕이 될 수 없다 신상구 144 2024.11.10
>> 순국선열의 날도 반쪽, 광복회 별도 행사열 것 사진 신상구 134 2024.11.10